HOME

Wednesday, December 7, 2011

정권 실세 박영준, 거짓말했나?

이미 구속된 이국철 SLS그룹 회장과 박영준 전 국무조정실 차장 간에 진실게임 양상으로 전개되던 지난 2009년 5월 일본 술 접대의 전말이 드러나고 있다.

박 전 차장은 "술값은 내 지인이 계산한 것"이라고 주장해왔지만, 별도의 '3차' 술자리가 있었고 이 자리에는 김형준 전 청와대 춘추관장까지 동석했었다는 것. 게다가 사건 무마 시도까지 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청와대에도 불똥이 튀게 됐다.

"없었던 것으로 하자" 요청 후 "술 안 얻어먹었다"는 기자회견

▲ 지난 2010년 8월 이명박 대통령으로 지경부 차관 임명장을 박영준 전 국무차장ⓒ청와대

7일 <중앙일보>와 <조선일보>에 따르면 SLS 그룹일본법인장을 지냈던 권 모 씨는 최근 검찰에 출석해 "박영준(51) 전 국무조정실 차장 접대 자리에 김형준 전 청와대 춘추관장이 동석했으며, 그가 나중에 'SLS가 돈을 낸 3차 술자리는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요구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권 씨는 지난달 28일 검찰에 출석해 "2009년 5월 22일 일본 접대 자리에는 박 전 차장과 그의 지인인 강모씨 외에 김 전 관장도 있었다"며 "나와 대기업에 함께 재직해 친분이 있었던 김 전 관장이 그날 술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앞서 박 전 차장은 "술자리에 공직자도 있었다"고 말했을 뿐 김 전 관장의 참석 사실은 함구했었다.

권 씨는 또 "이국철 회장이 지난 9월 박 전 차장에 대한 술접대 의혹을 제기한 직후 김 전 관장이 전화로 나의 귀국 및 검찰 출석 여부를 문의해 '귀국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며 "그러자 김 전 관장이 'SLS가 술값을 계산했던 3차 술자리는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요구해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고 진술했다는 것이다.

당초 "해외출장을 수없이 다녀도 밥까지 다 내 돈 내고 먹었다"고 주장하던 박 전 차장은 권 씨와 김 전 관장의 통화 이후 시점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해 "SLS 측 인사가 동석했던 것 같지만 그 쪽이 술값을 내지 않았다. 지인이 계산했다"며 증빙자료까지 공개했었다.

보도대로라면 이 역시 잘 짜여진 한 편의 시나리오인 셈이다. 당사자인 김 전 관장은 언론과 통화에서 "사실이 아니다",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총선 출마를 위해 최근 사퇴한 김 전 관장은 지난 6월부터 춘추관장을 지냈었다. 2009년 5월 시점에는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었다. 게이오 대학 상학과를 졸업한 '일본통'인 김 전 관장은 전 SLS 일본 법인장 권 모 씨와는 국내 한 대기업에서 같이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靑 '권력형 비리 근절 대책회의' 하긴 하나?

이날 보도는 몇 가지 측면에서 파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정권 실세' 박영준 전 차관의 기존 주장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것.

박 전 차관은 이같은 개인적 문제 외이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미얀마 광구 개발 건 등 현 정부와 이상득 의원의 트레이드마크나 다름없는 자원외교 분야에서도 여러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이날 <조선>과 <중앙>보도대로라면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2년 전 박 전 차장의 일본 출장에 동행했을 뿐더러 사건이 불거진 이후에는 일종의 '증거 인멸' 시도까지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 박태규 씨 건으로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사퇴해 검찰을 들락거리고 이국철 회장이 "신재민 전 차관 말고 박영준 전 차장 등에게도 접대했다"고 폭로한 지 나흘 뒤인 지난 9월 27일 이 대통령은 "측근비리라고 해서 비리가 나오고 있다. 정말 이대로 갈 수 없는 상황이다. 앞으로도 이런 비리가 발생하면 철저하게 조사하고 국민들에게 의혹을 다 밝혀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었다.

그날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오늘 오후 처음으로 '권력형비리 근절 대책회의'를 열고 윗물을 맑게 해야 깨끗한 정부를 정착시킬 수 있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했다"며 "이를 위해 '권력형비리 근절 대책회의'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임 실장은 자신이 회의를 주재하고 법무부장관과 총리실장, 경찰청장, 청와대 민정수석 등이 고정멤버로 참석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었다.

임 실장은 "저를 포함해 어느 누구든 비리 의혹이 제기되면 철저하게 조사를 해 조치를 취하기로 오늘 회의에서 합의를 했다"며 "회의 내용도 필요하면 공개할 계획"이라고 전했었다.

그런데 이후 회의 내용은 단 한 번도 공개된 바 없고 심지어 회의가 열리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지지 않았다. 청와대 박정하 대변인은 이 회의체에 대한 수 차례 질문에 "확인해보겠다"고만 답했었다.

청와대는 오는 12일부터 조직을 개편하면서 "민정수석실 내에 청와대 내부를 감찰하는 감찰2팀을 공식화하겠다"고 밝혀놓고 있다.
 

/윤태곤 기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