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Wednesday, September 2, 2015

이회창 "朴대통령, 자신이 생각하는 것만 정의라고 독단" "유승민 왕따, 이래선 안된다고 생각"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2일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한 '대통령의 리더십 특강'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전방위적 비판을 쏟아냈다. 

지난 1997년, 2002년, 2007년 등 모두 세 차례 걸쳐 대선에 출마했던 이 전 총재가 공개석상에서 대중을 상대로 연설한 것은 지난 2012년 대선 이후 처음이다.

이 전 총재는 이날 특강에서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사퇴 파문을 언급하며 박 대통령에게 포문을 열었다.

그는 당시 박 대통령이 유 전 원내대표를 '배신자'로 낙인찍었다며 "유 의원이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배신자라는 욕이 막 쏟아져 나오고, 왕따시키는 것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것을 보면서 이래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 대세에 몰려 부화뇌동하는 이런 분위기는 정말 유해한 분위기"라고 비판했다.

유 전 원내대표는 지난 2000년 2월 당시 이회창 총재 시절 여의도 연구소 소장으로 발탁되면서 정계에 발을 디딘 인연이 있었다. 

이 전 총재는 "이 사회가 패기 넘치는 사회가 되느냐, 아부하는 사회가 되느냐는 것은 리더들, 특히 대통령의 리더십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대통령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것만 정의라고 독단하는 것은 아닌지, 옛날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의 수직적 통치 형태로 회귀하려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통일 대박론'에 대해서도 "통일에 대한 여러 가지 기대와 환상이 나와서 어떨 때는 이것을 현실적으로 조금 조향을 할 필요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면서 "유포리아(과도하게 들뜬 감정)라고 할까, 이런 분위기도 감지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남북고위급 접촉 이후 남북간 교류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는 데 대해서도 "군사적 대치와 대량살상무기 등에 대한 현실적 접근 없이 막연하게 남북관계 정상화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데, 그걸 자꾸 들먹이는 것은 오히려 국민에게 환상을 갖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통령과 총리의 관계 설정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은 앞으로 총리에게 역할 분담으로 일을 시켜야 한다"면서 "총리는, 대통령과 항상 맞서 싸우란 얘기는 결코 아니지만, 대통령이 싫어해도 바른 소리를 하고 직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총재는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해 "민주화 투쟁을 했지만, 대통령이 된 이후에는 굉장히 비민주적인 일을 많이 했다"면서 "날치기 강행 처리를 자행하고 의원들을 빼가는 등 인위적 정계 개편을 했다"고 비판했다.

이 전 총리는 정치권 일부의 개헌 요구에 대해선 "헌법 개정은 필요없다. 제도보다 대통령과 총리들의 관념이 정말 바뀌어야 한다"며 '운영의 묘'를 강조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