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Friday, May 27, 2016

가계 실질소득 2분기 연속 감소..저소득층 소득 감소폭 커

[한겨레] 물가 수준을 반영한 가계 소득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벌어들인 소득 대비 지출 수준을 보여주는 평균소비성향은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지갑이 얇아지면서 씀씀이는 더 줄인 것이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지난 1~3월 월평균 가구당 명목소득(전국기준)은 455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0.8% 늘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가 몰아쳤던 지난해 3분기(0.7%) 이후 가장 낮은 소득 증가율이다. 기획재정부는 “취업자수 증가폭이 둔화되는 등 고용시장이 나빠지고 (저금리에 따른) 이자소득 감소가 가계소득을 끌어내렸다”고 분석했다. 올 1분기 취업자수는 1년 전에 견줘 28만7000명 늘었는데, 지난해 1분기(35만4000명)에 견줘 6만명 남짓 취업자 증가폭이 줄어든 것이다.
물가 수준을 반영한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은 0.2% 감소했다. 이로써 실질소득은 지난해 4분기(-0.2%)에 이어 2분기 연속 뒷걸음쳤다. 실질소득이 2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지난 2010년 4분기~2011년 1분기 이후 5년 만이다. 실질소득 감소는 명목소득 증가율이 낮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물가 오름폭은 더 컸기 때문이다.
형편에 따라 소득 여건은 크게 달랐다.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명목소득은 1년 전에 견줘 2.9% 감소했고, 소득 하위 40%(2분위)도 0.9% 줄었다. 반면 소득 상위 40%(4분위)와 상위 20%(5분위)는 각각 0.9%, 1.8%씩 소득이 늘었다.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를 중심으로 가계 소득이 감소했다는 뜻이다.
특히 1분위 소득이 감소한 것은 그간 흐름에 견주면 다소 이례적인 현상이다. 2014년 7월 기초연금 도입을 비롯해 근로장려금(EITC) 확대 등 현 정부 들어 저소득층의 소득을 보완해주는 복지 제도가 확충된 터라 여타 분위보다 1분위 소득 증가율이 다른 분위 소득 증가율을 압도해온 게 사실이다. 지난 한 해만 봐도 1분위 소득 증가율은 4.9%로, 5분위(0.6%)는 물론 전체 평균(1.6%)를 크게 앞질렀다.
이런 점에서 수년째 이어져오던 소득 분배 개선세가 올해들어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정부는 부인했다. 김이한 기재부 정책기획과장은 “2014년 7월 기초연금이 도입되면서 지난해 1분기 1분위 소득 증가율(7.6%)이 매우 높았다. 이런 기저효과가 올 1분기에 반영됐다”며 “하지만 올해 기초연금과 근로장려금 수급 기준이 확대되고 (고령화에 따른) 수급자도 늘어날 예정이어서 전반적인 소득 분배 개선세는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소득에서 세금 지출액 등을 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 비중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72.1%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1분기 기준으로는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가장 낮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