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11일 "부동산으로 돈 버는 나라에서는 혁신·창업 기업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날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대한민국에 제일 흔한 게 돈이다. 부동자금이 1천조원이다. 그게 다 부동산에서 번 돈"이라며 "부동산에서 번 돈은 부동산으로 가지 혁신·창업 기업으로 안 간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남에 가서 '부동산으로 돈 번 사모님들 벤처펀드 1조원 만들면 큰 상 주겠다'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했다"며 "부동산 광풍이 우리 경제를 어렵게 만드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대우건설[047040] 재매각과 관련해 "상당 기간을 갖고 대우건설을 재정비해 값을 올려 팔겠다"며 "2∼3년 기간 동안 대우건설의 경쟁력을 높여 민간에 매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초 대우건설 매각이 무산되고 나서 "당시 국내외 대부분 기업을 다 접촉하고 매각을 추진했음에도 실패한 것이기 때문에, 더는 잠재적 매수자를 찾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조급히 매각을 추진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이 회장은 대우건설에 대해 "예측보다 훨씬 빠른 변화가 나왔는데, 그게 남북 경제협력"이라며 "(경협이) 가시화하면 대우건설의 유용성이 굉장히 커진다. (매각이) 실패했던 가격의 두 배는 받아야 하지 않겠나. 주당 5천원이 아닌 1만원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남북 경제협력에 대해 "크고 넓고 위험해 한두 개 금융기관이 할 수 없고, 그러는 게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날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산업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기업은행[024110], 일반 기업, 외국 기관과 국제 금융그룹까지 남북 경협에 힘을 합쳐야 효과를 내고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며 이같은 견해를 밝혔다.
그는 최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선양, 단둥 지역을 다녀왔다고 소개하면서 "중국, 러시아, 한국, 미국이 다 같이 협조해야 하는 문제"라며 "(단둥에서) 신의주를 보니 감회가 새롭더라. 발전의 여지, 포텐셜은 많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회장은 산업은행이 2대주주인 한국지엠(GM)의 신설법인 설립 논란에 대해 "(이사회에) 구체적 안건이 올라온 게 아니고, (한국에) 신설법인을 만들 수도 있다는 보고 차원이었다고 한다"며 "GM 측으로부터 구체적인 확답을 받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외이사 한 분이 신설법인의 구체적 내용, 기대되는 효과와 목적을 이사회에 올려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안다"며 "구체적 내용이 밝혀져야 찬성할지 반대할지 정하겠지만, (GM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면 기본협약에 위배되는 만큼 금지 가처분 신청을 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한국GM의 정상화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에 대해선 "GM과 합의한 게 10년에 걸친 투자와 신차 배정"이라며 "그 계획은 유효하다. 금호타이어[073240]도 마찬가지다. 정상화에 시동 건 게 불과 두세 달 밖에 안 되기 때문에 (시기가 이르다)"고 반박했다.
이 회장은 "기업 부실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0여년 동안 전통적 제조업이 한계에 달했고, 부실화 징후가 많아서 재정비하고 구조조정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는데, 그게 잘 되지 않아 누적된 결과"라며 기업 부실화에 대한 '전 정권 책임'을 거론했다.
그는 "무수히 많은 부실 대기업을 지난 정부가 산업은행에 떠맡겨 누적된 문제를 임기 중 하나씩 풀어가겠다"며 "어떤 기업도 산업은행 밑에 들어오면 나가기 싫어하는 경향이 굉장히 강해지는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가 있다. 그런 기업이 독립심과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 부분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이날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대한민국에 제일 흔한 게 돈이다. 부동자금이 1천조원이다. 그게 다 부동산에서 번 돈"이라며 "부동산에서 번 돈은 부동산으로 가지 혁신·창업 기업으로 안 간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남에 가서 '부동산으로 돈 번 사모님들 벤처펀드 1조원 만들면 큰 상 주겠다'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했다"며 "부동산 광풍이 우리 경제를 어렵게 만드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대우건설[047040] 재매각과 관련해 "상당 기간을 갖고 대우건설을 재정비해 값을 올려 팔겠다"며 "2∼3년 기간 동안 대우건설의 경쟁력을 높여 민간에 매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초 대우건설 매각이 무산되고 나서 "당시 국내외 대부분 기업을 다 접촉하고 매각을 추진했음에도 실패한 것이기 때문에, 더는 잠재적 매수자를 찾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조급히 매각을 추진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이 회장은 대우건설에 대해 "예측보다 훨씬 빠른 변화가 나왔는데, 그게 남북 경제협력"이라며 "(경협이) 가시화하면 대우건설의 유용성이 굉장히 커진다. (매각이) 실패했던 가격의 두 배는 받아야 하지 않겠나. 주당 5천원이 아닌 1만원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남북 경제협력에 대해 "크고 넓고 위험해 한두 개 금융기관이 할 수 없고, 그러는 게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날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산업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기업은행[024110], 일반 기업, 외국 기관과 국제 금융그룹까지 남북 경협에 힘을 합쳐야 효과를 내고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며 이같은 견해를 밝혔다.
그는 최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선양, 단둥 지역을 다녀왔다고 소개하면서 "중국, 러시아, 한국, 미국이 다 같이 협조해야 하는 문제"라며 "(단둥에서) 신의주를 보니 감회가 새롭더라. 발전의 여지, 포텐셜은 많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회장은 산업은행이 2대주주인 한국지엠(GM)의 신설법인 설립 논란에 대해 "(이사회에) 구체적 안건이 올라온 게 아니고, (한국에) 신설법인을 만들 수도 있다는 보고 차원이었다고 한다"며 "GM 측으로부터 구체적인 확답을 받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외이사 한 분이 신설법인의 구체적 내용, 기대되는 효과와 목적을 이사회에 올려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안다"며 "구체적 내용이 밝혀져야 찬성할지 반대할지 정하겠지만, (GM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면 기본협약에 위배되는 만큼 금지 가처분 신청을 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한국GM의 정상화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에 대해선 "GM과 합의한 게 10년에 걸친 투자와 신차 배정"이라며 "그 계획은 유효하다. 금호타이어[073240]도 마찬가지다. 정상화에 시동 건 게 불과 두세 달 밖에 안 되기 때문에 (시기가 이르다)"고 반박했다.
이 회장은 "기업 부실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0여년 동안 전통적 제조업이 한계에 달했고, 부실화 징후가 많아서 재정비하고 구조조정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는데, 그게 잘 되지 않아 누적된 결과"라며 기업 부실화에 대한 '전 정권 책임'을 거론했다.
그는 "무수히 많은 부실 대기업을 지난 정부가 산업은행에 떠맡겨 누적된 문제를 임기 중 하나씩 풀어가겠다"며 "어떤 기업도 산업은행 밑에 들어오면 나가기 싫어하는 경향이 굉장히 강해지는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가 있다. 그런 기업이 독립심과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 부분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