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Friday, April 24, 2015

U.S. lawmakers urge Abe to stick to past apologies

WASHINGTON ― A bipartisan group of U.S. congressmen, including the House Foreign Affairs Committee chairman, called on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to address historical tensions with South Korea to help bolster trilateral cooperation.

The 25 lawmakers, including Reps. Mike Honda and Ed Royce, issued the appeal in a joint letter to Japanese Ambassador to Washington Kenichiro Sasae, just days before Abe begins a visit to the U.S. that includes an address at a joint session of Congress.

“We are at a critical juncture in America’s rebalance to Asia, and we firmly believe that enhanced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will serve as a linchpin of peace and prosperity throughout the Asia-Pacific region and the broader global community,” they said in the letter.

Shinzo Abe

“In this regard, we sincerely hope Prime Minister Abe’s visi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healing and humble reconciliation by addressing the historical issues,” they said. 

The lawmakers also called for Abe to “formally reaffirm and validate the conclusions expressed” in Japan’s two previous statements of apology ― the Murayama and Kono statements ― saying they represent “important chapters in Japan’s efforts to improve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We fervently hope Prime Minister Abe will take advantage of this auspicious milestone during his visit to Washington to enhance Japan’s relationships with its neighbors through a vision of long overdue healing and reconciliation which will contribute to future-oriented cooperation,” they said.

The letter came days after four lawmakers, including Honda, took to the House floor Tuesday to strongly press for an apology from Abe for Japan’s sexual enslavement of Korean and other Asian women for its troops during World War II.

The letter appeared meaningful in that Royce, the Foreign Affairs Committee chairman, cosigned it. Royce, though he has a critical stance of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has taken a neutral position on Abe’s visit in consideration of his title as chairman.

(Yonhap)

Islam in Korea, past and present Two distinct worlds connected for nearly 1,000 years

Korea and the Middle East may look like they have nothing in common.

On the surface, the two regions do not seem to have crossed paths as they have totally different economies, cultures and ideals. Above all, religion may be what divides the two. While the religious heritage of Korea derives mostly from Buddhism, Confucianism and more recently Christianity, the Middle East is deeply rooted in the Islamic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Yet, scholars say the two sides’ cross-cultural relations date back to the seventh century ― the era of the Kingdom of Unified Silla in Korea and, in the Middle East, the Islamic Golden Age. This was when the Muslim world spanned from the Philippines in the East to the Iberian Peninsula in the West. 

“Korea’s first encounter with Islam was purely commercial,” said Lee Hee-soo, Korea’s leading scholar of Islam culture, and 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s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Muslim merchants and traders traveled via the Silk Road to China’s Tang-era capital of Changan, today’s Xian, with which the Unified Silla had close political and business ties, the scholar explained. 

Commercial relations between the two eventually expanded into culture, arts, science and technology with both sides depicting each other in their poems and songs.

The number of Muslims is growing steadily in Korea. (The Korea Herald)

In “Ssanghwajeom,” a lyrical poem from Korea’s Goryeo era, a line says: “When visiting Ssanghwajeom to buy Ssanghwa, a Hoehoe grabbed my wrist.” 

Ssanghwa refers to a Turkish dumpling and jeom means a shop. Hoehoe is a Chinese character for Islam, thus an Arab who owns the dumpling store.

“From this lyric, we can say that there were Muslim merchants in Korea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the first mosque, which they used for prayer, not for missionary work,” said Kim Ah-young, director of the Center for Islamic Studies. 

The two sides maintained their relations mostly in commerce until the Muslims extended their contribution to Korea by advising the Joseon Dynasty in science and technology.

“At that time, the Arabs had the best scientists in the world, and they contributed to Korea’s innovation,” Lee explained.

The Muslim community was invited to recite the Quran during the Joseon’s court ceremonies, indicating their significant presence in the country.

However, Islam in Korea soon disappeared as the dynasty implemented a closed-door policy toward foreign culture and customs except those of China.

It was not until the Korean War (1950-1953) that the Islam culture began reemerging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arrival of troops from Turkey, the second-biggest contingent after the U.S., to aid South Korea in the inter-Korean conflict.

In terms of religion, Islam became recognized following the foundation of the Korea Muslim Federation in 1965 in Seoul.

This not only further led the opportunity for Muslims to spread the word of Allah and Prophet Muhammad in South Korea through the holy book of Quran, but also to establish the country’s first official mosque for both Muslims and Koreans in 1976.

There are now 15 mosques nationwide, with about 200,000 Muslims, including ethnic Koreans.

Econo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e Middle East have flourished in recent decades. 

In the 1970s and 1980s, a slew of Korean laborers went to the region to build its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bridges. The Middle East construction boom helped spu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t home.

Over the last 40 years, about 70 percent of Korea’s overseas construction and energy infrastructure projects are in the Middle East. 

Also, almost 90 percent of the country’s energy import sources such as crude oil come from the Middle East. 

“The two sides were destined to be partners,” Lee said. 

“The Middle East is a very important market for Korea, which should now pass down our economic development model to the region like the Arabs di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Unlike the prolonged wrangling relations between Islam and the West, Korea has not faced any historic or political conflict with the Middle East in their relationship that extends more than 1,000 years.

Islamic countries generally have a friendly image of Korea, and hallyu, or the Korean wave, has reached the Middle East region where the popular Korean TV drama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has been enjoying high ratings, Lee noted.

However, Islam is often viewed negatively especially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the U.S. and due to terrorism by militant groups such as Islamic State and al-Qaida.

Experts said such terrorist organizations, which are being condemned by Muslim leaders and scholars, are only a “very small part” of Islam, or less than 1 percent of some 1.6 billion people in the 57 states of the Organization of Islamic Cooperation. 

As Korea seeks to find a second business opportunity in the Middle East following the 1970s-1980s construction boom, the time is ripe for the country to deepen its understanding of Islam. 

Koreans need to learn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economics, culture and religion so the two sides can maintain a sustainable and healthy relationship, scholars said. 

By Park Hyong-ki (hkp@heraldcorp.com)

POSCO to retain Saudi project’

POSCO has reportedly retained its joint project with Saudi Arabia to develop social overhead capital and an automobile factory, as Middle Eastern authorities reaffirmed the collaboration despite a graft scandal surrounding Korea’s largest steelmaker. 

According to steel industry insiders, Saudi Arabian Finance Minister Ibrahim Abdulaziz Al-Assaf met with POSCO chairman Kwon Oh-joon on Wednesday and said the collaboration will be carried out as planned. Assaf visited Seoul as part of Saudi Arabian oil producer Aramco’s delegation. 

“The deal creates a win-win situation. While POSCO needs to improve its financial health and find a new growth engine, Saudi Arabia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 own manufacturing infrastructure. This will not be shaken by a felony allegedly committed by former management,” an industry official was quoted as saying to the Chosun Ilbo newspaper. 

In March, POSCO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the Saudi Arabian government for the joint development project. 

Under the deal, POSCO will sell 38 percent of a POSCO E&C stake to Saudi Arabia’s sovereign fund, PIF, for 1.5 trillion won ($1.36 billion) and establish a joint venture for the development. 

POSCO affiliate Daewoo International will take about a 15 percent share of Saudi Arabia’s newly established state-run automotive company to participate in the design, parts supply and assembly processes. 

However, the plan hit a snag when prosecutors launched an investigation into the alleged slush fund created by POSCO E&C management. The company is also under a Vietnamese investigation for another embezzlement allegation. Kwon told reporters last month, “It might be difficult to push ahead with the Saudi Arabian project.”

Currently, all vehicles in Saudi Arabia are imported. The Saudi Arabian government is pushing for the construction of automotive factories in the country to provide domestic cars for every citizen in the Middle Eastern country. 

By Bae Ji-sook (baejisook@heraldcorp.com)

[Weekender] Korea, Middle East eye stronger partnership Two sides expand cooperation for second regional boom

The economies of South Korea and the Middle East are inseparable.

Korea depends on the Middle East’s abundant energy resources to fuel its manufacturing sector, while the region has counted on Korea’s construction workforce to modernize its infrastructure since the 1970s and 1980s or the “first Middle East boom” era.

The two economies now seek to expand their partnership beyond energy and plant construction to health ca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food as they seek a second Middle East boom in the post-oil era.

Korean government officials and analysts say young professionals in diverse new industries are expected to lead the boom in the region.

Saudi hospital employees look at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built by SK Telecom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ndang, at King Abdullah Specialist Children Hospital in Riyadh, Saudi Arabia, on April 19.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ndang)

“The Middle East has been actively preparing for the post-oil era by fostering other industrial sectors. This will further create opportunities for Korea to make inroads into the market,” said Lee Kwon-hyung, head of the Africa and the Middle East team at th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A number of lucrative projects in the Middle East are in store for the Korean industry following President Park Geun-hye’s recent visit to four countries ― the UAE, Kuwait, Saudi Arabia and Qatar.

In addition to business opportunities created by the 2020 Qatar World Cup and the 2020 Dubai Expo, industrial projects worth some $760 billion will be launched by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until 2017.

In March, the Korean government signed an agreement with Saudi Arabia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system 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s, or SMART. Together, they will seek to enter other global markets with the technology.

This will also help Korea to win nuclear reactor deals worth some $2 billion in Saudi Arabia. 

Health care is another sector in which the two partners will join forces to create value-added services. 

Korea’s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has signed a contract to build a cancer center for women in Saudi Arabia’s capital of Riyadh by 2018. 

SK Telecom, the country’s biggest mobile carrier, and its partn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ndang are currently develop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s at six state hospitals in the largest Arab country. 

One of the hospitals opened early this month. 

“Patients from the Middle East used to prefer the U.S. and Europe for medical treatment. But more of them tend to visit Korea for medical tourism which shows that Korea’s medical service has competitiveness,” Lee of the KIEP said. 

In the 1970s-1980s, Korea sent tens of thousands of engineers and laborers to the Middle East.

Since then, Korean companies have won a slew of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region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two sides’ economic growth.

By Park Han-na  (hnpark@heraldcorp.com)

[단독] 성완종, 서산장학재단 동원 청와대에 ‘사면 진정’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취임 직후
회원·주민 1만1945명 탄원서 받아
내년 총선 겨냥…지난달 두차례나
‘1년새 140여차례 통화’ 의혹 증폭
고 성완종(64) 전 경남기업 회장이 내년 20대 총선을 앞두고 지난달 서산장학재단 회원 1만1945명을 조직적으로 동원해 청와대에 진정을 넣는 등 3차 사면을 받으려 한 것으로 24일 확인됐다. 지난해 6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500만원을 선고받아 국회의원직 당선무효가 확정된 성 전 회장이 총선 출마를 위해 현 정부 실세들에게 특별사면을 부탁했다고 성 전 회장 쪽 인사가 검찰 조사에서 진술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세번째 사면 로비를 뒷받침하는 정황이 또다시 드러나 관련 수사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최태현 청와대 민원비서관은 24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성 전 회장 재판이 대법원까지 끝났음에도 지난달 3일과 13일 서산장학재단 아산시지부, 서울남부지부로부터 성 전 회장을 선처해달라는 탄원서를 청와대에서 두차례 받았다”고 밝혔다. 최 비서관은 “아산시지부 사무국장 외 9445명, 서울남부지부 2500명이 재판에 대한 이의를 제기해 법원행정처로 이첩했다”고 설명했다.
서산장학재단 지부장들은 회원과 주민을 상대로 올해 초부터 탄원서를 모았다. 보령지부장을 맡은 김한태 보령시의원은 “장학재단이 각 지부에 요청을 해서 회원과 주민 등 탄원서 2000~3000장을 올해 1월께 재단 본부에 전달했고, 그 뒤 탄원서가 접수됐다는 정부 공문을 받았다. 사면인지 복권인지 있게 되면 (탄원서를) 참고하겠다는 취지의 공문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고 말했다. 성 전 회장이 1991년 설립한 서산장학재단은 시·군 10개 지부 아래에 읍·면·동 지회를 두고 있다.
서산장학재단 회원들이 청와대에 진정을 넣은 것은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2월27일 취임한 지 나흘 뒤였다. 경남기업의 정치자금 로비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은 성 전 회장과 이 실장이 지난 1년간 140여차례 통화한 기록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이뤄진 2차 사면 때도 성 전 회장이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 등을 통해 사면을 추진했다는 주장이 나온 상황이어서 3차 사면 시도 과정에서 청와대 인사들과 접촉이 있었는지 주목된다. 성 전 회장은 참여정부 때인 2005년과 2007년 두차례 사면을 받았다.
박유리 기자 nopimuli@hani.co.kr

곁가지 NO, '박근혜 대선자금 의혹' 이렇게 가려지고 있다 1차 목표, 2012년 朴 대선캠프 불법자금 의혹 차단하는 것

곁가지 NO, '박근혜 대선자금 의혹' 이렇게 가려지고 있다
1차 목표, 2012년 朴 대선캠프 불법자금 의혹 차단하는 것
 
오주르디 칼럼 
[플러스코리아타임즈=오주르디] 줄기가 곁가지로, 곁가지가 줄기로 대체된다. ‘성완종 리스트’가 가리키는 것은 이완구나 홍준표, 김기춘이 아니다. 이들은 곁가지다. ‘리스트’가 가리키는 핵심은 2012년 대선 당시 친박 3인방(홍문종-유정복-유병수)이 ‘검은돈’을 받았다는 대선자금 의혹이다.

뒷전으로 밀려난 대선자금 의혹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당시 박근혜 캠프 직능총괄본부장이었던 허태열 전 비서실장에게 7억원을, 2012년 대선 당시 홍문종 의원과 서병수 시장에게 각각 2억 원씩을, 유정복 시장에게 3억을 줬다는 망인의 폭로는 엄청난 폭발력을 지닌 폭탄의 ‘뇌관’이다. 불법대선자금 의혹으로 번질 경우 박근혜 정권의 정통성이 뿌리째 흔들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느새 ‘친박 3인방 의혹’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그 자리를 ‘이완구 3천만 원’과 ‘홍준표 1억 원’, ‘김기춘 10만 달러’가 대신한다. 언론들은 ‘이완구-홍준표-김기춘’ 관련 보도를 쏟아내고, 여당은 ‘성완종 특별사면 비리’가 노무현 정부의 소행이라며 맞불 작전에 나선다. 이러면서 본말 전도 현상이 빠르게 진행된 것이다. 곁가지가 줄기를 밀어내는 형국이다.
포털에 등장하는 기사 개수를 세어보면 ‘이완구-홍준표’ 관련 기사가 대선자금 의혹(홍문종-허태열 등)에 비해 수십 배나 많다.(뉴스타파 조사/4.9~4.20) 사안의 중요성이나 주고받은 액수에 비추어 봐도 후자가 전자보다 훨씬 비중이 커야 하건만, 며칠 사이에 거꾸로 뒤집힌 것이다.


신속한 본말전도… 곁가지가 줄기, 줄기가 곁가지

부여·청양 재선거에 출마한 이완구 총리에게 건넸다는 3천만 원, 한나라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홍준표 지사에게 줬다는 1억 원, 2006년 박 대통령을 수행해 독일에 갈 때 김기춘 전 비서실장에게 여비조로 제공했다는 10만 달러, 이런 것들이 전면에 등장하면서 불법대선자금 의혹은 뒷전으로 밀린 상태다.
지난 대선에서 ‘친박 3인방’의 역할은 컸다. 실질적으로 이들이 ‘박근혜 당선’을 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홍문종 의원의 캠프 직책은 조직총괄본부장. 전국을 지역단위로 나눠 ‘중앙->광역시도->시군구->읍면동’에 이르는 피라미드식 조직을 구성해 선거를 관리했다. 당시 언론들은 홍 의원이 주도한 조직총괄본부가 719개 단체를 영입했으며, 60만 명에 달하는 소속인원을 거느린 거대조직이었다고 보도했다. 당시 본부에는 상근직원만 200명이 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정복 인천시장의 당시 직책은 직능총괄본부장. 전국단위의 노조, 운수조합, 버스조합, 택시조합, 비용사협회, 요식업 단체 등등 직업·업종별 조직을 활용해 박근혜 후보의 지지지층을 확보해 나가는 역할을 했다. 많은 돈을 뿌려야 하는 자리다. “직능 분야의 조직을 관리하기 위해 1,000억 원이 필요했다”는 얘기도 있다. 당시 박근혜 캠프 관계자가 언론에게 한 말이니 상당한 신빙성을 부여해도 좋을 듯하다.


많은 돈 필요했을 홍문종-유정복-서병수

서병수 부산시장의 당시 직책은 당무조정본부장. 선거자금과 보급품 조달 등 캠프 살림을 총괄하는 자리였다. 새누리당 사무총장을 겸하고 있었으니 당과 캠프의 살림을 모두 도맡아 관리한 셈이다. 선거자금에 대한 공식적 책임자이기도 했다.
선관위가 규정하는 선거운동 범위를 지키면서 대규모 조직을 동원·관리하는 건 불가능하다. 선관위에 신고할 수 없는 지출이 많이 발생했을 거라는 얘기다. 회계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거액의 자금을 외부에서 당겨쓰지 않고는 대선 같은 큰 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뉴스타파>가 당시 박근혜 캠프 출입기자를 인터뷰한 내용이다.
“보통 먹으면 한 2만원 3만원 짜리 먹었으니까 100만 원은 최소 넘어갔을 것 같은데요. 그걸 거의 정기적으로 자주 했으니까 액수가 꽤 돼죠? 저희가 농담으로 이걸 어떻게 신고하냐고, 이거 걸리는 거 아니냐고 물어봤는데 그냥 하하하 웃고 대답 안 했던 것 같아요.”


치부 감추기 위해 동원되는 꼼수들

언론은 ‘이완구-홍준표-김기춘 의혹’에 집중하고, 새누리당은 ‘성완종 특별사면’을 노무현 정부가 주도했다며 비리 의혹을 제기한다. 대통령은 “정치개혁 차원에서 완전히 밝힐 필요가 있다”며 이번 의혹을 ‘정치권 전반’의 문제로 확대함으로써 논지를 희석시키려 한다. 법무부장관은 전 정권 비리 운운하며 노골적으로 검찰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검찰은 ‘이완구와 홍준표가 먼저 소환대상’이라고 말한다.
이러는 이유는 뻔하다. ‘성완종 리스트’가 2012년 박근혜 대선캠프 불법자금 의혹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일차 목표일 것이다. 또 불가피하게 대선자금 수사로 이어질 경우 ‘우리만 당하지 않겠다’는 게 그 다음일 터, ‘야당도 불법자금 받았다’는 근거를 찾아내 맞불 작전을 펴서라도 최소한 ‘비기기 게임’으로 몰아가겠다는 꿍꿍이다.
조그만 꼬리로 큰 몸통을 가리려 하고, 작은 곁가지로 굵은 줄기를 대신하려 하고, 사소한 것으로 중요한 것을 덮으려 한다. 치부를 감추기 위한 다양한 꼼수가 펼쳐지고 있다.



[팩트체크] 미 9·11 사태 vs 세월호…1년 뒤 비교 하니

[팩트체크] 미 9·11 사태 vs 세월호…1년 뒤 비교 하니
세월호 참사 이후 어떤 조치를 취해야하나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됐던 게 미국 9.11 사태였습니다. 사고의 성격 자체는 다르지만 진상조사나 국가 차원의 개조 방안을 마련하는 것. 그 당시 미국을 참고한 바가 많은데요. 그렇다면 9.11 발생 1년과 세월호 참사 후 1년은 어땠을까요? 여러 시사점이 있을 거란 판단으로 오늘(16일) 팩트체크에서 이 부분 짚어보겠습니다.
방송사 : JTBC http://www.jtbc.co.kr ▶ JTBC 뉴스룸 월~일 20시00분 방송 ▶ 홈페이지 : http://news.jtbc.co.kr ▶ 공식 트위터 : https://twitter.com/JTBC_news ▶ 공식 페이스북 : https://www.fa...
YOUTUBE.COM

[김어준의 파파이스#47] 투명인간 성완종 그리고 광화문진압공작

[김어준의 파파이스#47] 투명인간 성완종 그리고 광화문진압공작
1. 김어준 총수: "성완종 게이트 의문?"
2. 정청래 최고의원: "성완종 사건 촉설?"
3. 최윤아(세월호 희생자 윤민이 언니):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고 행동합니다."
4.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대변인:
"총리는 초대하고 경찰은 길을 막고... 인양방식 문제있다."
5. 이하 팝아티스트:
"잘가라는 인사도 못하게 하는 정부, 분노한 민심이 되돌아 갈 것이다."
한겨레TV 시사탐사쇼! 금요일 밤 11시 1. 김어준 총수: "성완종 게이트 의문?" 2. 정청래 최고의원: "성완종 사건 촉설?" 3. 최윤아(세월호 희생자 윤민이 언니):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고 행동합니다." 4. 유경근...
YOUTUBE.COM

노무현 죽이고 조희연 물어뜯은 검찰의 횡포 [기자의 눈] 민주주의 짓밟는 사법 권력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다."

듣고 또 들어 진부한 얘기지만, 현대 대의 민주주의의 핵심에 선거가 놓여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래서 민주주의 국가임을 표방하는 대한민국도 대통령, 국회의원 그리고 교육감 등 우리 삶을 좌지우지하는 권력자를 선거로 뽑는다. 그런데 최근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 과연 이런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회의적이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을 검찰이 '허위 사실' 유포를 이유로 공직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하고, 법원이 이에 맞장구를 쳤다. 2심, 3심이 남아 있지만 현재로서는 1심의 결과가 뒤집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만약 100만 원 이상의 벌금형이 확정된다면, 서울 시민의 선거로 뽑힌 교육감이 또 검찰 몇몇의 힘으로 끌어내려지게 된다. 

여기서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선거 과정에서 제대로 확인 못한 사실을 공개리에 공표한 것을 옹호할 생각은 없다. 지금 따져봐야 할 것은, 그런 허위 사실 공표가 서울시 교육감을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인지 여부를 왜 일개 검사 몇몇과 이에 맞장구치는 판사 몇몇이 최종 결정하느냐는 것이다.

이렇게 '시험'으로 뽑힌 일개 공무원에 불과한 이들이 '선거'로 뽑힌 권력을 번번이 소환하는 상황을 과연 민주주의라고 볼 수 있을까? 이런 식이라면, 선거를 할 게 아니라 검사나 판사에게 맞춤한 교육감 더 나아가 지방자치단체장, 국회의원, 대통령까지 선택하게 하는 게 차라리 효율적일 것이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을 둘러싼 이번 상황은 한국 민주주의가 검사나 판사로 상징되는 사법 권력에 얼마나 유린되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명확히 보여준다. 

따지고 보면, 그 동안 여야의 가능성 있는 앞날이 창창한 정치인이 몇몇 검사나 판사가 휘두른 칼에 목이 날아간 사례가 얼마나 많은가? (그런 족쇄가 될 엉터리 '정치 자금법'을 개혁을 표방하며 국회의원이 앞장서 제정한 사실도 꼭 기억해 두자.) 당장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극적인 죽음도 결국은 검찰의 작품이 아니었던가?

더욱더 역설적인 것은 이런 사법 권력의 등극이 바로 민주화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이번에 밝혀진 박상옥 대법관 후보의 과거 행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사법 권력은 해방 이후 독재자의 '개' 노릇을 하면서 자리를 보전해온 어두운 역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나마 민주화 이후에 권력이 개방되고 '법치'가 강조되면서 이들은 자율성을 갖게 되었다. 

그렇게 민주주의가 허락한 자율성을 통해서 힘을 얻은 사법 권력이 지금 그 민주주의를 뿌리째 흔들고 있다. 이런 상황을 도대체 언제까지 보고만 있을 것인가? 이대로 방치하다간, 결국 대한민국은 사법 권력이 지배하는 허울뿐인 민주주의 국가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더 늦기 전에, 또 다시 크게 물리기 전에, '개'에게 재갈을 물려야 한다.   

"대통령의 부지깽이 권력... 민심은 이미 싸늘히 식어" [현장] 민주노총, 서울 등 17개 지역에서 총파업... 세월호 가족들 동참

기사 관련 사진
▲ 서울광장 가득 메운 민주노총 '총파업 집회'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집회에 참석해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적연금 강화 및 공무원 연금 개악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서울시민 여러분, 박근혜 정부 2년 동안 행복하셨습니까? (…) 박근혜 정권은 우리 아이들의 꿈과 미래마저 지켜주지 못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부지깽이 같은 권력으로 민심을 잡으려 하지만, 이미 민심은 싸늘히 식었습니다."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

24일 오후 3시께, 서울 중구 시청 앞 광장에서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형형색색 깃발 200여 개가 나부꼈다. 이날 서울광장에서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한상균, 아래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모여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서울광장에 모인 1만여 명 민주노총 조합원(주최 측 추산, 경찰 추산 8000명)들은 정부를 상대로 ▲노동시장 구조개악 철폐 ▲최저임금 1만 원으로 인상 ▲공적연금 강화 및 개악 중단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등을 요구했다.

"1000만 명 '장그래'가 희망을 꿈꿔도 될 것, 노동자가 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등 구호를 외치고, 오른손을 높이 들며 민중가요를 부르는 모습은 일반적인 노동 집회와 비슷했다. 다만 이날 서울광장에는 평소와 다르게 곳곳에서 '노란 리본'이 함께 휘날렸다. 각 조합 이름이 새겨진 깃발에는 어김없이 '정부 시행령 폐기·세월호 진실 인양'이라는 노란색 꼬리표가 붙어있었다.

유가족들 쑥스러운 '팔뚝질'... "국민 안전 책임진다던 정부, 오히려 인권 유린"

기사 관련 사진
▲ 총파업 대회, 각 단위 사업장 깃발에 달린 노란 리본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서 각 단위 사업장이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며 깃발에 노란 리본을 달고 참가하고 있다.
ⓒ 유성호

기사 관련 사진
▲ 한상균 위원장 "박근혜 정권 끝장내자"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 참석해 파업선포 대회사를 하고 있다. 이날 대회사에 나선 한 위원장은 "민주를 역행한 정권, 민생을 파괴한 정권, 노동을 짓밟는 정권, 단 한명도 구조하지 못한 정권에 맞서 권력을 뒤흔드는 총파업투쟁으로 비틀거리고 휘청거리는 박근혜 정권을 끝장내는 마지막 일격을 가하자"고 말했다.
ⓒ 유성호

이날 서울광장에는 세월호 참사 유가족 30여 명도 '잊지 않을게'라고 새겨진 노란 점퍼를 입고 참석했다. 민주노총 지도부 바로 뒷자리에 앉은 세월호 가족들은 집회 참석이 처음인 듯 주변을 두리번거렸다. 한 유족 어머니는 쑥스러운 듯 옆자리 어머니와 웃으며 소극적으로 오른팔을 들어 '팔뚝질'을 했지만, 이내 구호에 맞춰 "노동자 단결 투쟁"이라 크게 외쳤다.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은 "모두 안 된다고, 준비되지 않은 총파업은 필패라고 했지만 우리는 해냈다"며 "이른바 '성완종 게이트'는 박근혜 게이트와도 같다는 것을 이미 전 국민이 알고 있다, 세월호 진실을 밝히기 위한 범국민적 투쟁이 확대되는 이때 노동자들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그간 밀리고 뺏겼던 노동자의 권리를 다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위원장(고 전찬호군 아버지)도 무대 위에서 동참의 뜻을 밝혔다. 그는 "지난 4월 16일 수많은 국민이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러 광화문 분향소로 향했지만, 정부는 공권력을 동원해 국화꽃을 든 유가족과 시민들을 막아섰다"며 "국민 안전을 책임져야 할 경찰이 오히려 유족들을 겹겹이 에워싸는, 비인간적이고 인권을 유린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세월호 인양'의 책임도 전가하려 한다. 대한민국에 정말 대통령이 있는지 묻고 싶다"며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안전하게 살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사회가 될 때까지 우리 가족들이 먼저 박근혜 대통령에게 답을 물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가 "이윤보다 생명과 안전이 우선시되도록 노동자들도 끝까지 함께 해달라"고 외치자, 앞에 앉은 조합원들이 박수와 환호성으로 답했다.

'박근혜 정권 퇴진' 문구도 등장... "정부가 서민들 잘 못 건드렸다"

기사 관련 사진
▲ '끝내자! 박근혜, 가자! 총파업'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 참석해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적연금 강화 및 공무원 연금 개악 중단 등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유성호

기사 관련 사진
▲ '공적연금 강화'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 참석해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적연금 강화 및 공무원 연금 개악 중단 등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유성호

기사 관련 사진
▲ 카트 끌고 총파업 투쟁 나선 홈플러스 조합원 민주노총 홈플러스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 참석해 근로조건 개선과 최저임금 1만원 인상 등을 요구하며 행진을 벌이고 있다.
ⓒ 유성호

연대 발언과 결의문 낭독 등 1시간 30분 가량 집회를 한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오후 4시 30분께 지도부를 선두로 을지로입구와 종로 2가 등을 지나는 행진을 시작했다. 지도부 바로 뒤에는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홈플러스 노동조합 마트노동자 20여 명이 가슴에 노란 리본을 달고 홈플러스 '카트'를 끌었다. 20개 카트에는 차례대로 "최저임금을/1만 원으로/ 박근혜 멈춰/UP 1만원" 글자가 쓰여 있었다.   

행렬이 을지로입구역 근처 롯데호텔 앞을 지나자, 외국인들이 나와 이를 유심히 바라봤다. 독일에서 업무차 방한했다는 브리짓 스펠만(Brigitte Spielmann)씨는 "(오늘) 임금 투쟁을 한다고 들었다, 의견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것은 좋은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세월호 소식을 자국 뉴스에서 봤다며, "몇 년 전 독일에서도 비슷한 사고가 있었다, 12명을 끝내 찾지 못했지만 결국 1년 반이 걸려 선체 인양에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시각, 충북·대전·경북·부산·제주 등 16개 지역에서도 약 6만 750여 명이 모여 총파업 대회를 열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각 지부 사업장에서 부분파업 등으로 함께 한 전체 총파업 참가 인원은 26만 명에 이른다. 유족과 함께하는 416연대 활동가에 따르면, 각 지역에는 세월호 가족협의회 유가족들도 2명씩 참가해 연대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집회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 유가족 오병환(고 오영석군 아버지)씨는 "원래 이렇게까지 안 해도 됐는데, 정부가 상황을 이렇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세월호(참사)로 국민들을 구하지 못해 결국 이렇게 국민들이 일어났다, 정부가 애초부터 서민들을 잘못 건드린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오씨는 오랜 거리생활로 인해 얼굴이 까맣게 그을려 있었다.

일부 조합원들 청와대 행진 시도... 경찰 차벽에 막혀

기사 관련 사진
▲ 민주노총 총파업 '박근혜 정권 규탄 전단 살포'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를 마친 뒤 거리행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이들 위로 박근혜 정권을 비판하는 전단이 뿌려지고 있다.
ⓒ 유성호

기사 관련 사진
▲ 서울도심에 뿌려진 '박근혜 정권 규탄 전단'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각역 인근에서 박근혜 정권을 비판하는 전단이 뿌려지자, 지나가는 시민들이 전단을 주워 살펴보고 있다.
ⓒ 유성호

한편, 정부는 앞서 이번 민주노총 총파업과 관련 '근로조건 개선과 상관없는, 정부 정책을 대상으로 한 불법파업'이라고 규정하며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제 경찰은 이날 서울광장 인근에 118개 중대, 9400여 명의 병력을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민주노총 지도부는 "파업은 노동자의 고용과 임금 등 근로조건과 직결된 요구로 정당하다. 박근혜 정부는 부당하게 총파업을 탄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합원들은 결의문을 통해 "탐욕이 응축된 세월호로 304명 꽃 같은 목숨을 몰살시킨 정권, 정권 실세들의 부정부패 악취가 진동하는 박근혜 정권은 퇴진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오늘 총파업을 시작으로 2015년 투쟁을 시작한다. 오는 5월 1일 노동절에는 10만 노동자가 서울로 모여 박근혜 정권의 '퇴진'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진에 참가한 8000여 명의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경찰과의 별다른 충돌 없이, 이날 6시 50분께 서울 종로구 관철동 보신각 앞 사거리에서 마무리 발언을 한 뒤 해산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조합원들이 애초 예정했던 코스를 벗어나 청와대 방면으로 행진을 시도했으나, 경찰 차벽에 막혀 해산했다.

기사 관련 사진
▲ 거리로 나선 민주노총 '가자 총파업이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를 마친 뒤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적연금 강화 및 공무원 연금 개악 중단 등을 요구하며 행진을 벌이고 있다.
ⓒ 유성호

기사 관련 사진
▲ 청와대로 행진하는 민주노총 조합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를 마친 뒤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적연금 강화 및 공무원 연금 개악 중단 등을 요구하며 청와대를 향해 행진을 벌이고 있다.
ⓒ 유성호

기사 관련 사진
▲ 청와대로 행진하는 민주노총 조합원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를 마친 뒤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적연금 강화 및 공무원 연금 개악 중단 등을 요구하며 청와대를 향해 행진을 벌이고 있다.
ⓒ 유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