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Thursday, April 9, 2015

Sunken Ferry Still Seek Truth

Jang Sun Bok


Jang Sun Bok holds a photo of her son, Jun Woo, who died on the Sewol ferry last year for a photograph at her home in Ansan, South Korea, on Friday, March 6, 2015. Photographer: Heesu Lee/Bloomberg

The photo of Jang Sun Bok’s son resembles so many others taken by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ewol ferry as it sank last year: A boy wearing a life jacket, smiling and flashing a V-sign in the cabin of the listing ship.
The photos are displayed by the memorial near Danwon High School south of Seoul, and on message boards in the capital. Many of the faces don’t look scared; survivors have said they assumed help was on its way and, told by the captain to wait in their cabins, they captured the moment on their smartphones.
Jang sees something more in the image of her son Jun Woo, then 17 years old and one of 250 students who died on their school trip to the resort island of Jeju. She’s sure he took it to remind her of what he said before he left: if anything happens, accept it and believe it was supposed to be.
“It’s the first time I’ve ever seen him smile for the camera,” she said in an interview last month at her family’s home in Ansan, not far from Jun Woo’s school. “I think he took this for us as a message. This photo is what keeps me living.”
Nearly a year after the sinking, families of the Sewol victims still face the dilemma that Jun Woo sought to settle for his mother: whether to move on and try to rebuild their lives, a choice many feel means letting go of their children when pain is a link to their memories. It also means leaving to other families the struggle to find out what really happened.
That burden is what Jang’s husband Lee Su Ha calls the “secondary damage” inflicted on the Sewol families. It’s most acute for the parents of the lost students, because while it wasn’t just the teenagers who lost their lives that day, the images of them waiting for an evacuation order that never came literally made them the faces of the April 16 disaster.

Political Fallout

Their parents were thrust into the political fallout, with almost every issue divisive; whom to blame for the botched rescue operation; the debate on lifting the ferry and when to do it; compensation and who should pay it; and whether the official investigation panel, which includes some members nominated by the families, should be given power of prosecution.
The struggles have only prolonged the agony.
“There are people who are trying to make us into fighters, but that’s asking us to give up the rest of our lives and stay miserable,” Lee said. “The families have already done enough to make the issues known.”
Lee and Jang felt it even before their son’s body was found on May 3, more than two weeks after the sinking. They kept Jun Woo’s corpse in a temporary morgue, and stayed with the other families at the base for the search effort in Jindo out of a sense of solidarity. Two days later, their own relatives demanded they bring him home for a funeral.
Looking back, the couple said they don’t find it strange that at the moment their son’s body was foun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ir duty to the other families. It was a sign of how deeply the families were already feeling let down by the government, first over the inadequacy of the emergency response and later over the stalling of an official investigation.

‘Nervous’

“It was when people were getting nervous because family members one after another were leaving Jindo as they recovered their kids,” Lee said. “Though it probably wasn’t feasible, all of us should have delayed the funerals until the truth was clear, it could have been a tool to pressure the government.”
Faced with a lack of information and the perception that political squabbles were preventing a probe, the parents’ mistrust of the government began early and only increased.
Many laid the blame for that on the way President Park Geun Hye seemed to move on from Sewol issues once her ruling Saenuri party held its ground in local elections in June. She made no mention of the ferry in her speech at the National Assembly in October, even with politicians still haggling over the conditions for an official probe.

Heightened Fears

Park’s silence heightened fears among the families that a cover-up was under way. In the absence of an official version of events, alternative narratives including conspiracy theories, filled the void. One was that the country’s spy agency was involved in operating the vessel, and another that the ferry was sunk deliberately.
To keep up the pressure on the government, the parents formed a support group. Each day, they share information about marches or other protest events. The parents published a book called ‘Please, Come Back on Friday’ that gives their accounts of the sinking and memories of their children.
Lee Woo Geun has put his life on hold in memory of his son Jung In. A single parent since losing his wife 15 years ago, Lee told his daughter Yoon Ah she can have his full attention after he’s protested for as long as three years.
Picketing is a form of penance as well as protest, he said.
“I was at work in a meeting when my son called from the ship, so I told him to follow instructions from his teacher and hung up,” Lee said. “He said ’Dad I love you,’ and that was it. I never knew that that would be the last moment with him.”

Avoiding People

Lee tries to avoid meeting people he knew before April 16, including his mother, because it reminds him of his son. Only his daughter has prevented him from committing suicide. Protesting also provides a sense of purpose that no longer exists in his old life, he said.
“Being here and spending time with people removes my trauma,” he said. “It’s true that when everything is over, I will have to go back to my normal life. For now, it’s hard to move on.”
Lee Jong Chul tells a similar story at the parents’ tented protest site near the government complex, where he’s been sleeping amid the traffic noise of one of the city’s busiest roads since July and washing every day in the nearby subway station. Despite developing hearing problems and partially losing his eye sight, he said he finds comfort in the protest.

Seeking the Cause

“We can’t just sit around and wait for the government to work things out for us,” said Lee, 46, whose son Min Woo died along with 31 other classmates and his teacher. Only one student survived from the class. “We need to figure out the cause and to make sure we know who ordered what, and ultimately punish those responsible.”
The protest site has become a community of sorts, where parents exchange information and the latest newspaper reports. On what would have been Lee’s son’s birthday in December, they celebrated with cake.
But their numbers are dwindling as monotony and pressure to return to jobs and remaining family take their toll. Of about 30 Sewol family members when Lee came in July, only one other parent remains and the site is maintained by volunteers.
There are fewer hunger strikes and other events, and Lee thinks the issues are slowly being forgotten. What keeps him going is a sense that justice hasn’t been served, and that not enough has been learned to prevent a recurrence of the disaster.

Fighting On

“As a parent, you want to do everything for your kid and that’s why families are still able to fight for this,” he said. “Our kids have gone and for us parents, we can go with them, but at least we need to know why it happened.”
For Lee and the other parents maintaining their protest, much will depend on the findings of the official investigation, which began only in March and has the option to run for as long as 18 months. Trials involving crew and coast guard members have focused only on direct causes of the accident, concluding that the Sewol sank from making a steep turn, which dislodged cargo on an overloaded ship made unstable by expansion work.
The government also hasn’t decided whether to salvage the Sewol, an estimated $111 million job demanded by the families for the probe and to complete the search for bodies. Park broke her silence on the issue yesterday, telling secretaries she’ll consider both expert and public opinion on raising the vessel.
The final death toll of 304 includes nine people still officially classified as missing, among them a father and six-year-old son on their way to Jeju to chase a dream of running a tangerine farm. The mother’s body was recovered; their five-year-old daughter survived.

Not Found

Park Eun Mi’s daughter Da Yun is one of the missing. Despite suffering from a nerve disease that’s taking her hearing, Park stands outside the presidential Blue House to demand the raising of the Sewol. She has no plan to give up.
“I would like to ask the President to keep her promise, to do everything in her power to find them,” she said. “We are somebody’s mother, somebody’s father, we’re the families of those who are missing and there’s absolutely nothing we can do until their bodies are found.”
At their home near the school, Jun Woo’s parents made a different choice. Not because they’re any less angry with the government or politicians who delayed the probe, but because they don’t want to give up more of their lives to the tragedy.
And because their son told them to move on.
So Jun Woo’s father started a small business that allows him to work from home, and the couple bought a dog, Kongyi, who’s become the project of their second son, Tae Jun. They decided to give financial support to two children via charities, one overseas and one in South Korea.
“It’s understandable for those still in grief, they’ve lost a child,” Lee said. “But they have a very difficult life ahead of them if they don’t let go. They will continue to suffer. How miserable is that?”
Two Hours Turn Class Trip Into Shipwreck Horror for South Korea ‘I Think I’m Going to Die,’ Student on Korean Ferry Told Grandma ‘Sincere Wishes,’ Fading Hope in South Korea’s Season of Grief Korean Crew Tells of ‘Walking on Walls’ Just Before Ferry SankPresident Park Says South Korea Ferry Crew Actions ‘Like Murder’

[특별기고] 세월호 ‘진실’ 없이 우리 미래도 없다

검찰 진상조사 못할 가능성 컸기 때문에 특위 만들어 진상 규명하려던 것
참사 발생 1년 앞두고 나온 정부 시행령안 세월호 진상규명 방해 압권
아이들의 죽음 거름 삼아 후손에 좋은 사회 물려줄 계기 차 버리지 말아야
세월호진실삽화
지금 이 나라에는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세월호 사고 피해 유족들이 사고 1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진상규명도 되지 않은 것에 항의하면서 삭발한 채 1박 2일 도보 행진을 하고, 찬비를 맞으며 광화문에서 노숙을 하고 있다. 그들은 세월호 특위의 시행령안을 폐기하라고 요구한다. 그런데 다른 편에서 정부는 아직 진상규명도 되지 않았는데 배ㆍ보상금 신청하라고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왜 이 비극적인 사고의 피해 유족들이 이렇게 삭발까지 해야 하는가? 유족들이 사고의 진상 밝혀달라는 것 외의 어떤 요구도 하기 이전인 사고 직후 새누리당은 유가족 특례입학, 의사자 인정 등 보상 조치 카드를 끄집어낸 적이 있다. 그래서 유족들이 지나친 요구를 한다는 여론을 조성해서 단식농성하는 유족 앞에서 ‘폭식 투쟁’이라는 반인륜적인 반대시위가 일어나기도 했다. 국정원은 단식 농성했던 유민 아빠 김영오씨를 사찰까지 하였다.
진상규명은 물론 책임 소재가 밝혀지지 않았는데, 배상금을 지불한다는 것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지만, 배상 신청자에게는 “앞으로 이의 제기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받겠다고 하니 배ㆍ보상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분명해 보인다. 과거의 인권침해 사건 피해자 유족들은 국가의 보상금을 받은 이후 ‘특혜 집단’ ‘자식 목숨을 돈으로 바꾼 사람’으로 매도되었으며, 추가 진상규명 요구나 국가의 사과요구를 접었다. 그들에게 배ㆍ보상금은 덫이었다.
세월호 침몰은 해상교통사고인가? 그런 측면도 있다. 그런데 드러난 수많은 자료나 증언에 의하면 구조할 수 있었던 아이들 상당수가 죽은 것이다. 그렇다면 사고의 원인뿐만 아니라, 정부의 구조 실패에 대한 진상을 밝혀야 한다. 누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지 밝혀야 이런 안전사고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그것은 유족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 모두의 알 권리 문제다. 어느 부모가 손가락이 골절되도록 살려고 발버둥치다 죽어간 사랑스럽고 귀한 자식의 시신을 보고서 죽음의 원인을 묻지 않은 채 살아갈 수 있을까?
검찰이 진상조사를 제대로 하지 못할 가능성이 컸기 때문에 국민적 합의기구인 세월호 특위를 만들었고, 진상을 규명하려 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정부는 처음부터 특위가 수사권을 갖는 것을 극력 반대해 왔고, 야당이 그들의 고집에 굴복하자 그 다음에는 유족의 진상규명 요구에 거부감을 보인 사람들을 위원으로 추천했다. 그런데 특위의 조사 개시에 전혀 의지를 보이지 않던 정부가 참사 발생 1주년을 코 앞에 두고 제출한 시행령안은 그 동안의 모든 진상규명 훼방 과정을 종합한, 단연 압권이다.
국민들은 ‘이제 특위가 구성 되었으니 진상규명이 잘 되겠지’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특위가 제대로 진상규명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과 인력이 있어야 하고, 관련 정부 부처가 자료 제공 등 협조를 해주어야 한다. 진상규명 의지를 가진 전문가들이 조사를 지휘해야 한다는 점이 특위의 성패를 좌우한다. 그래서 시행령이 법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그런데 여야가 합의해서 통과된 특별법도 수사ㆍ기소권이 없어서 특위는 이빨 빠진 호랑이가 될 판인데, 시행령마저 법의 취지를 살릴 수 없다면 이후의 결과는 불문가지다.
이번에 해수부가 제출한 시행령안은 세월호 특위를 무력화할 가능성이 큰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우선 조직의 인사와 예산을 통괄하는 사무처장이 친박계 인사로 알려져 위원장과 호흡을 맞추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 그 밑에 해수부가 파견하는 기조실장이 ‘진상규명 업무를 종합ㆍ조정’하는 막강한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진상규명국’은 독자적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조사 결과를 분석’만 하도록 했다. 위원회 조직에서 최종 결정권은 위원들이 갖고 있지만, 사무국에서 인력과 예산을 통제하고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을 경우 위원회는 아무런 실권 없는 자문기구로 전락하게 된다.
우리가 기존 관료 조직 대신에 위원회를 만들어서 국가적 과제를 처리하는 이유는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특별 사안을 독임제 관료 조직에게 맡겨서는 안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세월호 특위처럼 조사 대상이 되어야 할 해수부 같은 정부 기관이 조사의 주체가 되겠다고 하면, 국민적 신망을 받는 위원이나 위원장이 아무리 제대로 하려고 해도 실제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게 된다. 정부가 사무국을 장악해서 위원장과 위원들을 들러리로 만들 작정이었으면 이런 조직을 만들 필요가 없었다.
만약 이 시행령대로 특위가 활동한다면 사무처장이나 기조실장은 청와대나 해수부 등 구조 당시 책임을 가진 기관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할지, 사고 현장의 해경 선원 등 주요 인물들의 핵심 증언을 청취하려 할지 의문이다. 하급직 민간 조사관들이 아무리 애를 써도 파견 공무원 출신 기조실장이나 조사국장의 벽을 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 동안 이 정부나 해수부가 해온 일을 보면 그들은 진상규명 보다는 그것을 차단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설사 조사 보고서가 위원회 심의 테이블에 올라가더라도 애초 유족들을 비하하거나 진상규명을 반대했던 몇 위원들이 목소리를 높이면서 억지 논리로 위원회 의사 결정을 파행으로 몰고 갈 가능성도 있다. 그렇게 되면 이 위원회는 아무런 성과 없이 내부 분쟁만 계속하다 문을 닫을 수 있다. 언론과 국민은 진상규명은커녕 갈등만 일으키는 이런 특위를 바라고 그렇게 줄기차게 요구했던 거냐고 오히려 유족이나 시민단체를 비난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석태 세월호 특위 위원장은 “정부 여당이 방해공작을 하고 있다”고 보면서 시행령 철회와 대통령 면담을 요청한 상태다. 청와대는 아직 답이 없다. 만약 정부가 이런 식으로 진상규명을 방해하려 한다면, 박근혜 대통령이 진도체육관에서 유족들 앞에서 한 ‘원인 규명’약속은 모두 거짓이 된다. 유족들이 배ㆍ보상과 진상규명을 맞바꾸는 순간 유족들은 고립되고 잊혀질 것이다. 진상규명도, 책임소재 규명도 없이 특위가 마무리되면 유족들은 과거 국가폭력의 피해자들이 그랬듯 국가 내의 ‘비국민’으로 살아갈지 모른다.
지난 70여년 동안 우리는 국가의 무책임과 피해자의 억울함이 악순환하는 것을 지긋지긋하게 보아왔다. 그런 일을 또 반복해야 하는가? 더구나 이 사건은 과거 군사정권 시절에 발생한 고문, 의문사 등과 같은 국가 범죄 사안이 아니다. 따라서 이 정부가 조사를 이렇게 방해할 이유가 없고, 보상안을 계속 들먹거리면서 유족들에게 모멸감을 줄 이유가 없다.
이 특위는 국가의 안전관리 체계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하는 우리사회의 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한 아주 좋은 기회이고, 그것을 통해 국가의 부재, 정부의 무대응에 허탈해하고 있는 유족과 국민들에게 정부가 약간이라도 신뢰를 얻을 기회다. 아이들의 죽음과 유족의 상처를 거름 삼아 장차 이 땅에 살아갈 후손에게 좋은 사회를 물려줄 수 있는 이 계기를 발로 차 버린다면, 우리에게는 과연 무슨 미래가 남아 있을까?
김동춘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김동춘

노란리본 단 션 헵번 "왜 아이들이 첫 구조대상 아니었나"

오드리 헵번 아들 션 헵번 "세월호 가족들 정말 중요한 일 하고 있다"며 격려

"세월호 가족들이 정말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세월호 가족들의 요구는) 한국의 미래, 특히 인권을 보호하는 일이다."

오드리 헵번 가족과 416가족협의회, 사회혁신기업 트리플래닛이 함께하는 '세월호 기억의 숲' 조성 계획이 9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발표됐다.

'세월호 기억의 숲' 조성은 오드리 헵번의 첫째 아들이자 '오드립 헵번 어린이재단'의 설립자인 션 헵번 페러(Sean Hepburn Ferrer)가 '세월호 사고 희생자를 추모하고,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트리플래닛'에 제한하여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이날 헵번 가족은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로 가슴에 노란 리본을 달았다. 특히 션 헵번의 아내 카린 호퍼 헵번 페러는 노란 장갑을 착용했고, 딸 엠마 헵번은 노란 스카프를 목에 둘러 눈길을 끌었다.

션 헵번은 "세월호 가족들이 정말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내 가족에게 미래에 세월호 사고와 같은 일이 생기지 않도록 더 좋은 환경 만들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세월호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을 격려했다.

그는 "이 자리는 정치적인 이슈를 떠나 인도적인 차원에서 가족 대 가족으로서 마음을 같이 하기 위해 모였다"며 "(세월호) 가족에게 편안한 안식처를 제공하고 싶었다. 이 장소가 계속 존재하길 바란다. 그리고 이 장소를 볼 때마다 더 이상 이런 참담한 비극이 발생하질 않길 바란다"고 기억의 숲 조성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 함께한 416가족협의회 최경덕(성호 아빠) 씨는 "지금도 노숙 중인 가족 있다. 이 상황에서 너무 빨리 하는 추모 행사에 참여하는 것 같아 싸우고 있는 가족들에게 미안하다"면서도 "온전히 가족들을 추모할 수 있는 그때까지 싸우느라 추모할 시간이나 휴식할 시간 없을 것 같지만, 너무 많이 힘들어 할 부모님들에게 좋은 제안을 해주신 트리플래닛과 헵번 가족에게 감사하다. 부모님들에게 한번 쉬어가는 쉼표가 될 것 같다"고 고마워했다.

◇ 션 헵번 "왜 아이들이 첫 구조대상 아니었는지 의구심"

션 헵번은 한국 사회를 향한 따끔한 메시지도 남겼다.

이날 션 헵번은 한국과의 인연을 밝히기도 했는데, 그는 35년 전 한국에서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 '인천' 제작을 위해 1년간 한국에서 머문 경험을 전하면서 "그 당시 한국은 지금과는 매우 다르다. 그럼에도 고쳐지지 않았는 게 있는데, 그것은 기업의 탐욕"이라고 했다.

그는"기업가들이 너무 많은 것들을 바라다보니 이런 사건이 일어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한국의 '교육'에 대한 아쉬움도 전했다.

션 헵번은 "세월호가 침몰할 때 나오지 말라는 안내 방송이 있었다고 하는데, 왜 아이들이 그런 명령을 지켜야 했는지, 왜 아이들이 첫 번째로 구조대상이 되지 못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교육'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뭐가 그리 숨길 게 많은지, 또 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지, 이번 사고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이를 통한) 변화가 필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

션 헵번의 아내인 카린 호퍼 헵번 페러는 "부디 포기하지 말라"는 말을 세월호 유족에게 건넸다.

이날 기자회견 전 1시간 정도 세월호 가족들과 대화를 나눈 카린 헵번은 "엄마로서 유족들이 겪는 아픔과 고통에 통감한다"며 "사랑하는 아이들을 잃은 가족들에게 부디 '포기하지 마라'는 말을 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지금 진행하고 있는 일들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주시길 바란다"며 "그렇다면 더 좋은 발전된 모습을 남길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세월호 가족들을 응원했다.

세월호 실종자 은화 양의 어머니 이금희 씨는 "세월호 사고를 기억해 주셔서 고맙다"는 말로 화답한 뒤 "세월호 희생자들은 엄마고, 아빠고, 자식이고, 어느 한 가족의 가족이었다. 그런데 그 참사를 가족들이 실시간으로 지켜봤다. 가족이 죽어가는 걸 봤다"고 안타까운 심정을 전했다.

이어 "사회를 바꾸기 위해 많은 부모가 밖으로 나왔고, 지금도 싸우고 있다"며 "엄마이기에, 부모이기에 얼마나 더 싸워야 하는지 모르겠다. 오늘로 359일째다. 딸이 아직도 세월호 속에 있다. 그게 너무 싫다. 실종자 가족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유가족이 되고 싶다"며 눈물을 흘렸다.

이금희 씨의 갑작스러운 눈물에 기자회견장은 숙연해졌다. 헵번 가족들 역시 고개를 숙이며 안타까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끝으로 이 씨는 "가족이기에, 사람이기에, 인간의 존엄성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기자회견을 마치고 세월호 가족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든 세월호 배지를 헵번 가족에게 달아줬다

한편 나무를 심어 울창한 숲을 만듦으로써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을 위로하는 '세월호 기억의 숲' 조성 기념식은 10일 오후 진도에서 열린다.

진도군(군수 이동진)의 부지협조로 팽목항에서 가까운 진도군 내에 조성될 예정으로, 조성 재원은 오드리 헵번 가족이 기부한 기금에 크라우딩 펀딩을 더해 마련될 예정이다.

조성될 숲에는 은행나무가 식재되며 건축가 양수인 교수의 재능기부로 추모 시설물인 '세월호 기억의 방'이 건립된다.

기억의 방에는 희생자와 실종자 304명의 이름과 희생자들의 가족 및 생존한 아이들이 직접 작성한 메시지 등이 각인된 상징물이 설치된다.

세월호 1주기에 해외로... 부산 구청장들 구설수 부산 구청장 12명 일본 방문 계획... 공무원노조, "외유성 관광" 규탄

기사 관련 사진
▲  부산광역시 구청장·군수협의회 소속 기관장 12명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맞춰 일본 연수를 떠나기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금정구청에서 열린 부산시 구청장·군수협의회 정기총회 모습.
ⓒ 금정구청

부산지역 기초단체장들이 세월호 참사 1주기 시점에 해외 연수를 예고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부산시 구청장·군수협의회(아래 협의회) 소속 12개 구청장들은 오는 13~16일까지 일본 도쿄와 사이타마, 세토우치 등을 둘러보는 이른바 '선진사례 벤치마킹'을 실시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이번 방문이 "일본 각 지역의 문화창조와 문화교류 현장을 직접 답사하고 국내 문화산업 및 행적혁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시코쿠의 대표적 관광지 나오시마섬을 비롯해 고라쿠엔정원, 오미야 분재미술관 등이 주요 방문 대상지이다. 협의회는 이들 지역을 방문해 지자체별로 사업추진시 이들 사례들을 접목하는 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공무원노조 "일본 외유성 관광... 낯부끄럽다"

하지만 공무원단체는 이를 "낯부끄러운 일본 외유성 관광"이라고 규탄하고 나섰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부산본부는 9일 성명을 내고 구청장들이 해외 방문 계획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벤치마킹에 참여하는 구청장들은 한·일 수교 50주년을 기념하고 상호발전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위함이라 주장하지만 주요 방문지를 살펴보면 그 취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최근 일본의 역사왜곡에 견주어 봤을 때 구청장들의 방문이 적절치 못하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아베 정권에 대해 범정부차원의 대응도 준비하고 있는 시점에 최일선 구청장들이 국민의 정서를 거슬리며 외유성 해외출장을 떠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노조는 구청장들이 세월호 1주기인 4월 16일까지 해외 방문을 한다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아직까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실종자 9명과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국민적 애도기간에 이러한 관광성 외유는 구정의 최고 책임자들이 취할 행동은 결코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구청장들에게 일본 방문 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동시에 "세월호 희생가족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의 애통함에 지역의 단체장들도 동참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전했다. 

“천안함 1번어뢰 보는 건 돼도 촬영은 안된다” 선체는 영구전시… 어뢰는 모조품만 촬영허용 “재판영향 우려” “뭐가 두려운가”

군이 천안함을 공격한 결정적 증거로 제시한 이른바 ‘1번 어뢰추진체’에 대해 군이 일반인 뿐  아니라 언론에게도 촬영을 금지시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증거물인 천안함 선체 잔해의 경우 영구전시하기로 결정한데다 하루에도 몇차례씩 일반인들의 견학과 자유로운 촬영도 허용하면서 유독 어뢰추진체에만 접근에 제한을 두는 것은 이중적 태도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애초 1번어뢰를 공개 전시했던 전쟁기념관에는 4년 넘게 모조품만 전시하고 있다.
또한 어뢰추진체가 북한제인지 여부를 밝혀줄 이른바 어뢰설계도는 국방부가 아닌 국정원이 회수해간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의문을 낳고 있다.

최근 천안함 침몰사건 5주기를 맞아 일부 취재진이 어뢰추진체 촬영을 요청했으나 국방부의 거부로 촬영을 하지 못했다. 심인보 뉴스타파 기자는 9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지난달 17일 국방부 조사본부를 방문해 어뢰추진체를 촬영하고자 했으나 처음부터 촬영은 안된다고 해서 취재기자만 들어가 보고 나왔을 뿐 촬영기자는 들어가지 못했다”며 “약 2주일 정도 계속 이메일 등을 통해 촬영요청을 했으나 국방부는 이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어뢰추진체 모조품. 사진=조현호 기자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어뢰추진체 모조품. 사진=조현호 기자
 
그 사유는 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황성훈 국방부 정책기획과장(대령)은 9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어뢰추진체 취재여부에 대해 “재판중이며 증거로 사용되기 때문에 촬영에 제한된다는 것이 국방부 조사본부와 법무실 등이 함께 논의해서 나온 결론”이라며 “어뢰추진체가 (법원에서) 증거로 채택되면 군이 이 증거물을 어떻게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재화 국방부 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 감정지도평가과장도 9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어뢰추진체 취재여부에 대해 “어뢰추진체의 경우 재판이 진행중이라 증거물 훼손이나 변형을 해선 안된다고 해서 재판이 끝날 때까지 촬영은 안된다”며 “국방부 조사본부에 전시는 했으나 사진촬영을 해간 사람들이 포토샵을 통해 변형한 뒤 편집, 보도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과장은 “올해 8~9월 쯤으로 예상되는 1심 재판의 종결이 이뤄지면,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반인들에게도 원하면 보여는 주되 촬영을 금지시킨 것과 관련해 이 과장은 “일반인들의 스마트폰 촬영도 안된다”며 “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위는 안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애초 천안함 선체 잔해와 마찬가지로 어뢰추진체도 평택 2함대로 옮기려 했으나 ‘임의로 훼손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을 수 있으니 그냥 그대로 조치해두라’고 검사가 요구한 것으로 안다고 이 과장은 전했다. 그는 “최근에도 어뢰추진체 촬영을 허용하는 게 어떠냐고 질의했으나 담당검사가 ‘아직은 안된다’는 입장이어서 어떻게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도 “재판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어뢰추진체 모조품. 사진=조현호 기자
 
이에 따라 지난 2010년 5월부터 12월까지 어뢰추진체를 공개 전시했던 전쟁기념관은 2011년부터 ‘진품’ 어뢰추진체 대신 ‘모조품’을 4년 넘게 전시하고 있다. 이 모조품은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제작됐으며, 흡착물질이 붙어있는 상태와 휘어진 모습, 녹이 슬어있는 모습까지 유사하게 만들어져 있다. 현재 이 어뢰추진체 모조품은 전쟁기념관 국군발전실에 있다. 2010년 당시 촬영이 허용됐을 때 어뢰추진체 프로펠러 구멍에 ‘가리비’가 들어있다는 사실이 정밀촬영을 한 블로거에 의해 드러났다. 이후 군은 어뢰추진체를 전쟁기념관에서 국방부 조사본부로 옮겼다.

무엇보다 어뢰추진체 촬영금지 방침은 천안함 선체 공개 방침과는 상반돼있다. 가장 큰 증거물인 천안함 선체의 경우 영구전시하기로 결정해 지난해 12월 2함대 내에 조성한 안보공원으로 이전했으며, 일반인들의 견학과 촬영을 모두 적극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를 두고 어뢰추진체 촬영을 거부당했던 심인보 뉴스타파 기자는 9일 “어뢰 추진체를 완전히 공개하지 않는 것은 뭔가를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느낌이 들었다”며 “다른 진실이 드러날까 두려워하는 것인지, 다른 의혹이 제기될까 두려워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재판을 이유로 아무 정보도 공개하지 않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선체의 경우 북한의 만행 현장을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촬영까지 허용한 것이며, 규모가 너무 크다”며 “또한 선체는 우리 것이고, 어뢰추진체는 북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체갖고는 (의문이 제기된다는 등의) 거론을 하지 않지만 어뢰추진체 갖고는 사진 조작해서 재판에 영향을 줄 주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어뢰추진체 모조품. 사진=조현호 기자
 
이와 함께 어뢰설계도의 경우 국방부는 애초 기밀이라는 이유로 비공개 처분을 했다가 최근에는 아예 국방부가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개하지 못한다고 밝히는 등 오락가락한 대처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안함 의혹을 제기해온 블로거이자 민중의소리 뉴욕특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원식씨가 지난해 11월 청구한 어뢰설계도 정보공개 요구에 대해 국방부는 그달 17일과 24일(이의신청) 잇달아 기각 통지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방부는 비공개 결정 통지서를 통해 “상기자료(어뢰설계도)는  군사기밀보호법에 따라 비밀로 지정된 자료로써 공개시 국가안보 및 외교문제 발생 등에 따라 공개할 수 없다”며 “다만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임을 입증할 수 있는 어뢰 설계도와 일부 재원은 국방부가 발간한 합동조사결과 보고서에 수록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방부는 최근엔 이 어뢰설계도 자체를 국방부가 갖고 있지 않다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화 국방부 조사본부 과장은 9일 “설계도는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원기관인 국정원으로 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합조단 보고서에 제시된 이른바 1번 어뢰추진체. 현재 국방부 조사본부가 보관중이다. 사진=합조단 보고서
 
심인보 뉴스타파 기자는 “지난달 취재시엔 자신들이 안갖고 있어서 국정원에 공개여부 문의한 뒤 알려주겠다고 했으나 그 뒤 얘기가 없어서 공문까지 보냈지만 아직까지도 답이 없다”며 “군이 (천안함 사건의 증거물로) 한 번 받은 설계도를 카피도 않고 돌려줬다는 것이 이상하다”고 말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보안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 같은데, 기밀로 돼 있는지는 모르겠다”며 “원 소스가 국정원이라는 것은 처음 듣는 얘기”라고 말했다. 

국가정보원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국정원 대변인은 9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어뢰설계도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는 것이 우리의 답변”이라고 밝혔다.
  
천안함 함미
 

세월호 가상 시나리오 속에 '악마'가 있다 [토론회] 세월호 1년 “권력 가진 이들은 처벌 안 받고 실무자들만 처벌”

16일이면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년이 된다. 하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점이 많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9일 오후 서울 참여연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주기 연속토론회에서 “국회 국정조사, 검찰조사, 감사원 감사, 해양심판원 조사 등이 있었지만 우리 가족들은 아직도 왜 세월호 사고가 참사로 바뀌었는지 왜 국가는 한명도 구조하지 못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족들이 여전히 제기하는 의혹은 뭘까. 

검찰 수사결과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의 직접적인 원인은 과적된 화물과 급격한 변침이다. 사고 당일 세월호는 최대 화물 적재량인 1077톤의 2배 정도의 화물을 과적했다. 대신 배의 안전과 직결되는 평형수, 청수(식수 등), 기름 등을 기준보다 적게 실었다. 평형수는 배가 흔들리는 경우 오뚝이의 추와 같이 배 가장 밑바닥에서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평형수를 뺀 것이다. 평형수는 선원들 사이에서 ‘생명수’로 불린다.

이런 상황에서 이준석 선장은 선실을 이탈해 침실로 가버렸다. 항해는 3등 항해사와 조타수에게 맡겼다. 조타수는 선박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키의 조작을 담당하는 사람이다. 당시 조타수는 우현 변침을 시도하던 중 원하는 대로 변침이 되지 않자 당황해 임의로 조타기를 우현 측 대각도로 돌리는 잘못을 저질렀다. 그러자 선수는 급속히 좌현쪽으로 기울었다. 과적된 화물 역시 급격하게 쏠렸고 세월호는 더욱 더 좌현 측으로 기울게 됐다. 
  
▲ 세월호 침몰 구조현장 모습
 
1. 검찰 수사의 한계, 가상의 시나리오

여기까지가 검찰의 수사결과다. 하지만 한계가 있다. 검찰 수사 결과는 ‘추정’에 기반했기 때문이다. 박주민 변협 세월호특별위원회 변호사는 “검찰이 발표한 원인은 가상 시나리오다. 합리적일 수는 있지만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검찰은 선원들의 증언을 토대로 해당 결론을 도출했다. 조영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변호사도 “특히 최근 세월호 선원에 대한 재판에서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고 밝혔다.  

가족들이 인양을 요구하는 이유 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세월호 관련 재판들을 기록한 <세월호를 기록하다>의 저자 오준호 작가는 “침몰 원인이 조타과실이라면 이 조타과실이 어떤 구동원리를 통해 침몰로 이어졌는지 봐야한다”며 “공간 자체를 눈으로 보고 검증하지 않으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오 작가는 이어 “가령 64개의 CCTV가 확인됐다는데 선체에 더 많은 CCTV가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확인을 해봐야한다”고 덧붙였다. 

2. 왜 단순 실무자들만 처벌하나

검찰 수사에 따르면 세월호는 안전규제를 전혀 지키지 않고 운항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청해진해운이나 선원들의 개인적인 불법비리로 이를 바라봤다. 하지만 가족들은 좀 더 큰 문제를 지적한다. 무엇이 청해진해운과 선원들에게 안전규제를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신호를 주었는지를 봐야한다는 이야기다. 가령 세월호는 241회 왕복 운항하는 동안 139회나 과적운행을 했는데 이를 단순히 실무자들만의 탓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관련된 의문은 더 이어진다. 이명박 정부 시절 노후선박 사용연한이 20년에서 30년으로 늘어나지 않았다면 세월호는 운항될 수 없는 배였다. 또 세월호가 침몰하기 전날, 해양수산부는 선장의 휴식시간에 1등 항해사가 선장을 대신해 조종할 수 있게 하는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런 규제 완화는 누가 주도했고 그 과정에 해운업계의 로비는 없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밝혀진 바가 없다. 오준호 작가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자유로워지고 현장에서 기술을 다룬 사람만 처벌받았다”고 꼬집었다. 

  
▲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출동한 목포해경 123정이 선체에서 탈출하는 이준석 선장을 구조하는 모습. 사진=해경 동영상 갈무리
 
3. “뛰어내리게 유도해봐” 명령에도 구조 안 했다

구조와 관련한 의문은 차고 넘쳤다. 먼저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부실관제다. VTS는 연안 지역을 오가는 선박들에 대한 관제업무를 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진도 VTS 근무자들은 수백명 승객을 태운 세월호가 관할 수역에 진입하면서 진입보고를 하지 않았음에도 교신을 시도하지 않았다. 또 세월호가 항로를 이탈해 표류하는 순간에도 이상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후 진도 VTS근무자들은 사고발생을 통보받고 세월호와 약 30분간 교신을 했지만 이런 정보를 구조팀에 전하지 않았다. 

사고접수 이후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것은 목포해양경찰청 소속 123정이다. 사고접수 후 약 40분이 지난 오전 9시 35분께다. 그런데 123정은 도착하자마자 세월호의 선수 방향으로 항했다. 일반적으로 여객선의 경우 승객들이 머무는 선실의 출입구는 선미에 있으며 선원들이 머무르는 곳이 선수쪽이다. 조영관 변호사는 “사고 현장에 10시 9분에 도착한 어업 지도선이 도착 직후 선미로 다가가 승객 구조활동을 하였던 것과 비교할 때 123정의 구조활동은 이해할 수 없는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123정의 이상한 행동은 이후에도 이어진다. 오전 9시 57분께와 10시 5분께 목표해양경찰서장은 123정에 이렇게 말했다. “정장, 그러면 다시 한 번 침착하게 방송해서 반대 방향 쪽으로 뛰어내리게끔 유도해봐. 지금 그 안에 갇힌 사람들이 웅성웅성하는 상황에서 제일 먼저 한 사람만 밖으로 빠져나오면 다 줄줄이 따라 나오니까 방송해서 방송 내용이 안에까지 전파될 수 있도록 한 번 해보세요.” 그러나 123정장은 끝까지 퇴선 방송을 하지 않았다. 

4. 어디에도 없는 국정원과 청와대

세월호 참사와 관련돼 국정조사와 검찰 조사, 감사원 감사까지 진행됐지만 가족들이 제기하는 이 같은 문제들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세월호 국정조사는 지난해 6월 2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90일간 열렸지만 청문회 증인채택 문제를 놓고 여야간 힘겨루기만 하다가 끝났다. 청문회는 열지도 못했다. 조영관 변호사는 “그나마 국정조사 의의라고 할 수 있다면 약 2주 동안 22개 관련기관에 대해 기관보고를 받은 것이 전부”라고 평가했다.

검찰 조사 역시 비슷하다. 검찰은 사고 원인과 관련해 해운업계 비리 등 구조적 비리에 대해 언급은 했으나 단순히 직접 관련자의 비리 혐의를 나열하는데 그치고 말았다. 조영관 변호사는 “그나마 감사원 감사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문제점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조사했지만 감사대상을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에 한정해 실제 많은 의혹이 있는 국방부, 국정원, 청와대는 감사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