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Saturday, February 27, 2016

[News in Depth] U.S. and China Hold Hands on Korean Peninsula Issue: South Korea Is Missing


U.S.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right) smiles brightly at a joint press conference following his meeting with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left) at the State Department building in Washington D.C. on February 23 (local time). On February 24, the White House announced that the U.S. and China had reached an agreement on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ashington D.C. / AP News


On February 24 (local time), the White House announced that the U.S. had reached an agreement with China on the United Nations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Ned Price, spokesperson for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nnounced that United States National Security Advisor Susan Rice and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had agreed to adopt a resolution that went a step further than previous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n North Korea's provocations and also agreed that it was important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how a strong and united response.

The UN resolution, which was described as "unprecedentedly strong" even before it was released, was from start to finish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This symbolically showed that the fate of the Korean Peninsula lied in the hands of these two countries.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and Foreign Minister Wang Yi held a meeting in Washington D.C. on February 23 and finally put a period mark on a fifty-day negotiation. The two men met three times during this time to narrow their differences. A month ago, they engaged in a heated debate over this issue for six hours in Beijing.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meeting / United Nations website


The U.S. and China have conflicting views on the territorial issue in the South China Sea, human rights, and online security, but the two countries still have many areas which they need to cooperate on such as the global economy,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climate change and the Iran nuclear agreement. A major premise existed, that the two countries could not let North Korea, just one among many issues, damage their strategic partnership. On February 24, when Wang Yi met with Rice at the White House, President Obama made a surprise appearance and what he said clearly shows this. President Obama did not mention a word on North Korea and instead stressed his interest in a constructive and productive relationship with China and said that he was looking forward to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presence at the Nuclear Security Summit in Washington at the end of March.

South Korea was not totally absent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latest agreement. South Korea could not join the discussions, since it is not a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but it still took part as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provided the U.S. with intelligence on China's economic exchanges with North Korea. It also pressured China that it would shut dow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open discussions on deploying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raised his voice saying, "This time, it will be the last resolution." But in the process, the Park Geun-hye government stressed its difference with previous governments and ended up crumbling South Korea's relations with China, which we had painstakingly fostered. Due to the closure of Kaesong, South Korean businesses suffered, and the inter-Korean communication channel has been cut off.

If the resolution, which will be adopted a few days from now, is evaluated as an "unprecedentedly strong" resolutio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United States' independen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likely to be weaker than expected. The South Korean foreign ministry announced that U.S.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Daniel Russell would visit South Korea on February 26 and 27 to discuss cooperation on measures concerning North Korea including the UN resolution. The two countries are expected to discuss independent and bilateral sanctions to complement the UN resolution. China's chief delegate at the six-party talks Wu Dawei, also the foreign ministry's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affairs will visit South Korea on February 28 and meet with Hwang Joon-gook, special representative for Korean Peninsula peace and security affairs to discuss responses to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after the UN resolution.

[Editorial] Court Decides Search and Seizure of KakaoTalk Was Illegal, Showing the Dangers of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The court ruled that a search and seizure of the conversations of some KakaoTalk users carried out by the prosecutors and the police without informing the relevant party was illegal. On Wednesday,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canceled the search and seizure of a college student who proposed a silent demonstration titled, "Stay Put" in connection to the Sewol tragedy in May 2014. The bench said that not informing the party in question and taking the contents of all the KakaoTalk conversations during a certain period by just sending a copy of the warrant through fax to the portal employee could not be seen as a fair execution of the warrant.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they must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the suspect and legal representative at the time of the search and that they must notify the date and place unless the situation is urgent. The latest court decision is a natural one that confirmed the illegality of a search, which did not follow basic prosecution procedures.

Leaving such procedural issues aside, we need to point out the problems in the prosecutors' investigation itself. A college student's silent protest to criticize the state's incompetence and irresponsibility concerning the Sewol tragedy, which shocked and angered the entire public, cannot be considered a felony that requires such an urgent and indiscriminate search and seizure. Yet the prosecutors made an embarrassing excuse that they did not take the trouble to notify the person in question because it was a matter of urgency during the trial. The 88-page long conversation, which the prosecutors seized, included a group chat which the person was simply invited to and private conversations such as the one where he asked his younger sibling to "do the laundry." Eventually, the prosecutors did not submit the conversations that they seized as evidence. In other words, they just invaded one's privacy under the guise of a criminal investigation.

The problem is that the search and seizure by the prosecutors and the police is carried out extensively targeting a random mass and not a certain individual. Daum Kakao had announced that the number of user accounts that had been searched by an investigative or intelligence agency last year amounted to 507,124. Among them, the government agencies seized the information on the chatting rooms of 290,000 accounts.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ntire public is helplessly exposed to the police and prosecutors' illegal monitoring of communications without even being aware of it.

Such a reality where illegal searches are rampant further highlight the risks of the anti-terrorism bill. What would happen if the lawmakers passed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and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had the authority to look into the private lives of the citizens without a warrant? It is obvious that this would lead to a routine surveillance of the people and violations of basic rights. Yet President Park Geun-hye pounded her desk and burst in anger at the filibuster carried out by opposition lawmakers to block the National Assembly from passing the anti-terrorism bill. President Park should not forget that her most important duty is to guarantee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and to control state power in a democratic fashion.

[Editorial] Terrorism Prevention Act: Danger! A Law that Allows the NIS to Abuse Its Powers

A Terrorism Prevention Act to protect the people and secure public safety, but one that poses great risks of a state agency abusing its powers and violating human rights, has been proposed by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Chairman Chung Ui-hwa proposed the bill, motioned by the Saenuri Party, at the plenary session on grounds of a national emergency. However, whether the bill will pass is uncertain as The Minjoo Party of Korea engages in filibuster, blocking the bill with marathon speeches.

It is doubtful as to whether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terrorism, yet the bill has the risk of infringing the people's human rights and freedom. First, the concept of terrorism is vague and comprehensive. The bill identifies "activities that endanger a person's life through injury for the purpose of interfering with the state from exercising its authority," as terrorism as well. Given that our government has an allergic reaction to demonstrations,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is bill will not be abused when a person is injured in an accidental collision during a normal rally.



A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this bill allows the government to gather information concerning immigration, financial transactions, and communications services used by a person suspected of being a terrorist. I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suspects a person is involved in terrorism, anyone can be a target of surveillance. The bill includes a problematic clause that allows the government to briefly explain to the person in question of the information gathering and send him a written notice after they have collected the intelligenc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bill allows the government to omit even the least of written procedures to monitor its citizens. The bill also grants the government the authority to request the deletion of a post or picture on the Internet that incites terrorism, and this poses the risk of violat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is bill, the government would establish a national counter-terrorism committee chaired by the prime minister and a counter-terrorism center under its authority, but the actual authority will be in the hands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It is difficult to trust an intelligence agency, which allegedly hacked the cell phones of civilians, fabricated a spy case, and interven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by posting online comments, to use such authority only in preventing terrorism. It is very dangerous to tell the intelligence agency to implement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What's more, the intelligence service is not subject to democratic control in its budget and activities. The NIS is an agency that should reflect on its past as the servant of those in power and undergo reforms, not one that should be given even stronger powers.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proposing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itself raises legal issues. Chung stated a "national emergency" according to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Act, but this lacks logical reasoning. The nation is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now and the nation's situation does not make it impossible for politicians to discuss the bill. We cannot tolerate a procedure with such legal flaws.

정청래 필리버스터...“IS 테러 할 생각 마! 박근혜 말 허위다” "테러방지법, 영장 없이 핸드폰 뒤지고 은행계좌 털겠다는 법"

"IS(이슬람국가)에 경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말씀 잘못하셨어요.
우리나라에는 당신들이 와서 테러하려고 해도 다 잡아들일 수 있어요."

27일 필리버스터에 나선 정청래 의원이 주목받고 있다. 정 의원은 박근혜가 지난해 12월 8일 "기본적인 법 체계조차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IS도 알아버렸다"고 주장한 데 대해 국가정보원법과 국가대테러활동지침 등 기존 시스템을 사례로 들면서 정면으로 반박했다.


추미애 의원에 이어 17번째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주자로 나선  의원은 "테러방지법의 핵심은 테러방지법이 아니다"라며 "박정희 정권이 유신헌법으로 독재를 했듯이 박근혜 정권은 테러방지법으로 독재의 길로 가려 하고 있다"며 "북한이 로케트를 쐈는데 국정원은 왜 국민의 계좌를 추적하려 하느냐"라고 반문했다.

"박근혜 말대로라면 대한민국은 테러 무법천지 국가였나"

정 의원은 "박 대통령의 말대로라면 대한민국은 테러의 무방비, 테러의 무법천지 국가였다는 말이냐"며 "어떻게 있는 것을 없다고 얘기하나"며 "테러방지를 위한 형법도 있고 국정원법도 있고 국가대테러활동지침도 있다"며 "대한민국은 테러방지를 위한 법률이 없다는 허위정보를 IS가 알았을까봐 두렵다. IS가 대통령 말만 믿고 혹시 테러하려고 마음 먹었다면 얼마나 큰일인가.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라고 꼬집었다.

정 의원은 "우리나라에는 명백한 대테러법이 있고 국가공무원들, 군인들, 경찰, 향토예비군이 있다. 테러를 충분히 막을 만한 능력도 있고 의지도 있다"며 "IS 요원 여러분, 박 대통령이 테러를 막을 방책도 없고 법도 없다고 말한 것 믿으면 안 된다. 큰 일 난다. 공항에 오면 바로바로 잡힐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테러방지법, 영장 없이 핸드폰 뒤지고 은행계좌 털겠다는 법"

정 의원은 새누리당이 내놓은 테러방지법에 대해선 "국정원법과 국가대테러활동지침, 국가 비상사태에 준하는 54개의 법률, 이 3가지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 이외의 것 3가지를 첨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1)법원의 영장 없이 국민의 핸드폰을 뒤져서 사찰하겠다는 조항, (2)영장 없이 은행계좌를 털겠다는 조항, (3) 테러가 의심될 만한 인물이 있으면 미행하고 추적할 수 있는 권한, 이 3가지를 더 달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 3가지를 빼면 직권상정을 포기하고 새누리당도 이 법안을 포기할 것이다. 이 3가지 때문에 하는 것"이라며 "이 3가지 때문에 대통령도 책상을 10번 치면서 난타 공연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 의원은 국가정보원법 조문이 담긴 문서를 들어 보이며 주요 내용을 소개했다.

국가정보원법(일부 발췌)
제3조(직무) ① 국정원은 다음 각 호의 직무를 수행한다.
1. 국외 정보 및 국내 보안정보(대공, 대정부전복, 방첩, 대테러 및 국제범죄조직)의 수집·작성 및 배포
2. 국가 기밀에 속하는 문서·자재·시설 및 지역에 대한 보안 업무. 다만, 각급 기관에 대한 보안감사는 제외한다.
3. 「형법」 중 내란의 죄, 외환의 죄, 「군형법」 중 반란의 죄, 암호 부정사용의 죄, 「군사기밀 보호법」에 규정된 죄,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죄에 대한 수사

그는 "특히 박 대통령은 잘 들어주시기 바란다"며 국정원의 직무를 규정한 제3조를 거론했다. 정 의원은 "국정원은 이렇게 엄청난 수사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또한 1982년 대통령 훈령으로 제정된 '국가대테러활동지침'도 소개 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아마 십중팔구 이것을 안 읽어봤을 거예요. 황교안 총리도 안 읽어봤을 거예요. 국무총리가 의장인데. 김광진 의원이 물어보니까 누군지 몰라요. 그런데 눈치는 빨라서 0.36초 만에 반응하더라고요. 굉장히 반사신경이 좋은 분이에요. 순간적으로 머리가 좋은 국무총리도 읽어보시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그는 국가대테러활동지침에 대해 "굉장히 꼼꼼하게, 테러 때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테러를 어떻게 막아야 되는지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차라리 이것을 법으로 만들자. 전 이것을 법으로 하자고 하면 찬성하겠다"고 말했다.

민중총궐기 결론, "무지한 박근혜! 더 이상 기대할 것 없다” “박근혜 3년 자행한 만행들에 민중 분노가 하늘 찔러”

27일 오후 3시 초록색 조끼를 입은 시민 2만여명이 서울광장에 모여 4차 민중총궐기대회를 열고  ‘박근혜 독재 심판하자’ ‘나라 꼴이 엉망이다’ 등의 현수막을 들고 취임 3년을 맞은 무지한(몹시 무식하고 폭력적인 사람)박근혜의 실정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ㆍ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노동,사회단체들의 연대체인 민중총궐기 투쟁본부는 이날 대회사를 통해 “박근혜 정권은 근로기준법의 취지를 전면 부정하는 불법 정부지침을 통해 일반해고를 강행했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100억원에 팔아 먹고, 개성공단을 폐쇄하는가 하면 사드 배치를 강행해 중국의 보복에 민중을 노출시켰다”고 소리 높여 규탄했다.

투쟁본부는 “박근혜 정권의 반민주ㆍ반민생 폭주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야당 선대위원장은 개성공단 폐쇄에 찬성한다는 말을 거리낌 없이 하고, 테러방지법이 강행되고 있음에도 중재안을 내세우고 있는 등 야당 또한 참담한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연단에 등장한 노동자 농민, 시민들은 저마다 박근혜 정권의 노동개악 중단, 세월호 진상규명,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진정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 한반도 사드배치 반대 등을 요구하는 각계각층 규탄과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참가자들은 또한 위안부 합의 무효화, 쉬운 해고 중단, 밥쌀 수입 저지, 청년 일자리 창출, 역사교과서 국정화 철회 등 대정부 12가지 요구사항도 발표했다.

민중총궐기투쟁본부 이에 앞서 지난 26일 는 일자리노동, 농업, 민생빈곤, 청년학생, 민주주의, 자주평화, 인권, 한일위안부 합의, 세월호, 생태환경, 사회공공성, 재벌책임 등 12개 분야의 민중총궐기 요구안을 발표했다.

27일 오후 서울 시청광장에서 열린 4차 민중총궐기에서 참가자들이 노동개악 중단, 박근혜 독재 심판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민중의 소리

이날 민중총궐기 대규모 도심집회에는 집회 시작 전, 지난 11일 전남 보성을 출발 17일간 도보로 전국 횡단 행진을 이어온 백남기 도보순례단이 시청광장에 도착 집회에 합류하자 집회 참가자들은 박수와 환호로 이들을 맞았다.

‘백남기 도보순례단’ 단장 정현찬 가톨릭농민회장은 “11월 14일 백남기 농민을 비롯해 3만명의 농민이 이땅의 농업을 포기할 수 없다고 외쳤지만, 농민들에게 돌아온 건 폭력정권의 물대포였다!”면서 “100일이 넘게 병상에 누워있지만 지금 이시간까지 일언반구 없는 박근혜 정권에서는 더 이상 기대할 것도 바랄 것도 없다”며 박근혜 정부의 무책임 몰인정을 목소리 높여 비판했다.

순례단은 “박근혜 정권은 위안부 할머님들의 고통과 민족의 자존심을 단독 10억엔에 팔아먹는 친일 반민족 폭거를 자행하고,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를 빌미로 개성공단마저 폐쇄했다”면서 “사드배치를 강행하고 대규모 전쟁연습을 감행해 한반도가 다시 백척간두에 서게됐다”고 맹렬히 비판했다.

이어 “이 모든 문제의 근원에는 박근혜 정권이 있다. 이 땅의 민생과 평화를 지킬 방법은 민중 스스로의 투쟁 뿐이다”라며 정권에 맞서 싸우겠다는 결기를 다졌다.

이번 4차 민중총궐기 대규모 도심집회는 본 행사에 앞서 서울 곳곳에서 각 단체별로 사전대회를 갖고 서울광장으로 합류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는데, 먼저 백남기 도보순례단은 오후12시 백남기 농민의 모교인 중앙대학교로 집결 서울광장까지 행진으로 합류했다.

서울역에서 결의대회를 갖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3000명은 오후 1시에 서울역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오후 3시경 서울광장으로 합류했다. 광화문광장에서는 세월호 진상규명 특별법 개정 촉구대회가 열렸다.

"백남기를 살려내라!"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이 지난 해 2차 민중총궐기 집회에서 경찰의 살인 물대포에 맞아 쓰러진 농민 백남기 농민이 입원해 있는 서울대병원을 향해 행진하고 있다. © 뉴시스

참가자들은 오후 5시 30분쯤 ‘생명 평화의 일꾼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책임자 처벌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도보 순례단’을 선두로 첫 집결장소인 서울광장을 출발해 을지로입구, 종각, 종로5가, 대학로로 이어지는 3.7㎞ 구간을 행진했다.

오후 7시10분쯤 최종 목적지인 서울 혜화동 마로니에공원에서 이어진 집회에서 엠뱃 유손 국제건설목공노련 사무총장은 “세계 노동조합은 박근혜 정부의 비민주적인 행태를 반대하고 이에 맞서는 캠페인을 이어가고 있다”며 “역사는 반복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제1차 민중총궐기 당시 경찰이 쏜 물대포를 맞고 현재까지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백남기 농민의 장녀 백도라지씨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박근혜 정권 규탄 발언을 했다.

그는 “이날 집회에서는 경찰이 시위대를 호위해줬는데 이럴 것이었다면 왜 1차 민중총궐기엔 물대포를 쐈는지 답답한 마음이 든다”며 “지금 테러방지법을 두고 국회에서 필리버스터가 이어지고 있는데, 테러방지법이 통과된다면 문명적이지 못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남기 농민을 살려내라!" 민중총궐기 행진대열이 종로5가 네거리에서 경찰의 행진 방해로 30여분간 항의 농성에 들어갔다

이날 경찰은 오후 6시 20분쯤 종로5가 부근에서 약 27분간 교통정리를 하겠다며 집회 참가자들의 행진을 잠시 제지했다. 당시 경찰과 집회 참가자들 사이에 고성이 오가는 등 언쟁이 일었지만 이날 행사는 별다른 충돌 없이 오후 7시 40분쯤 마무리됐다.

필리버스터 23번째 이학영, “국가비상사태라면 당당히 대통령이 선포하라”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번째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주자로 국회 본회의장에 섰다. 그는 정의화 국회의장이 국가비상사태란 이유로 테러방지법을 직권상정한 것과 관련, “정말 국가비상사태라면 대통령이 당당히 선포하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무제한 토론을 통해 테러방지법이 필요한 현 상황이 진정한 국기바상사태냐고 반문했다. 그는 “과거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비상사태로 10월 유신을 선포했다”며 “정말 국가비상사태라면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국가비상사태임을 선포하고 왜 국가비상사태인지 선후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헀다. 그는 “국회의장이 국가비상사태라고 규정한다고 해서 국가비상사태가 되는 것이냐”며 직권상정을 반대했다. 


이 의원은 10월 유신, 5ㆍ18민주항쟁 등에서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됐다며 현 상황을 국가비상사태로 규정할 수 없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10월유신도 박정희가 직접 했는데"… 이학영 "국가비상 선포, 왜 국회의장이?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해야"

국회방송 화면 캡처
[쿠키뉴스=조규봉기자] "10월 유신도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선포했는데, 왜 정의화 국회의장이 국가비상사태라면서 테러방지법을 직권장정하는지 모르겠다. 박정희 대통령이 그랬듯, 이번 국가비상사태서포 또한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하는 거 아닌가?"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번째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주자로 나서면서 테러방지법을 직권상정한 것에 대해 정의화 국회의장과 박근혜 대통령을 직접 겨냥해 이 같이 비난했다.

이 의원은 오후 필리버스터를 통해 “정의화 국회의장이 국가비상사태란 이유로 테러방지법을 직권상정했는데, 정말 국가비상사태라면 대통령이 당당히 선포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테러방지법이 필요한 현 상황이 진정한 국기바상사태냐"고 비꼬았다. 

그는 “과거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비상사태로 10월 유신을 선포했다”며 “정말 국가비상사태라면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국가비상사태임을 선포하고 왜 국가비상사태인지 선후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유신정권 당시의 고문받은 사람들의 예를 들며 "야만적인 고문장면은 어느장면 어느시대의 것이냐. 항일 독립운동 악행을 연상케 한다"며 강력 비판했다. 이에 대해 여당 의원들이 반발했고, 정갑윤 국회 부의장도 "테러방지법과 관련 있는 발언만 해달라"며 연설을 저지했다.

한편 테러방지법을 저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야당의 필리버스터가 100시간을 돌파했다. 28일 오전 9시20분 권은희 국민의당 의원이 필리버스터를 시작해 12시20분까지 3시간 동안 필리버스터를 진행했다. 이어 이학영 의원이 연단에 올라 테러방지법 저지 연설을 시작했다.

지난 23일 오후 7시6분 첫주자 김광진 더민주 의원의 연설으로 시작됐던 필리버스터는 27일 오후 11시 6분 더불어민주당의 진선미 의원 발언 때 총 100시간을 넘어서면서 '한국 정치사'에 획을 긋고 있다. ckb@kukinews.com 

'참서비스인' 정청래 영상 화제 "정문헌이 누구냐면…" "저 분이 NLL 폭로해 검찰 수사까지 받은 의원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화제다. 11시간 39분의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 진행 방해 전략) 기록을 만든 것도 그렇지만, 연설 도중 화제를 끊임없이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이날 연설 도중 자신을 '참서비스인(참Service人)'이라고 명명했다. "지금 왜 테러 방지법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말씀드리고 있다. 아침에 늦게 일어나셔서 시청하시는 분들을 위해 대한민국의 참서비스인으로서 서비스를 말씀드린다"고 했다.

그러자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이 "주제와 상관 없는 이야기 하지 말고 빨리 토론하세요"라고 지적을 했다. 이에 정청래 의원이 "될 수 있으면 국민들께서 새누리당의 이 극악무도한 행태에 대해서 많이 알았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에서 정문헌 의원의 발언에 대해서 제가 답변하고 있다"고 하자 정문헌 의원이 재차 "빨리 주제 토론하라"고 재촉했다.

여기에 정청래 의원은 "정문헌 의원은 NLL을 폭로해서 검찰 수사까지 받은 분입니다. 지금 얘기하고 있는 분은 정문헌 의원입니다. NLL 대화록을 무단으로 유출해서 폭로했다가 검찰 수사까지 받으신 분입니다"라고 두 차례 강조해서 지적했다. 정청래 의원은 이어 정문헌 의원에게 "저하고 이야기해봤자 손해예요. 정문헌 의원 말은 (생중계에) 안 나가요"라고 대꾸했다. 

정문헌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7년 10월 남북 정상 회담에서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을 했다"고 주장, 2012년 대선을 '색깔론'으로 물들인 장본인이다. 정문헌 의원은 이명박 정부 통일비서관 출신이다. 이런 이력 때문에 정문헌 의원이 불법으로 남북 정상 회담 대화록을 유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가 됐다.

이후 국가정보원은 남북 정상 회담 대화록을 공개하는 초유의 일을 벌였다.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지만, 이미 새누리당이 대선 국면에서 문재인 후보를 '종북'으로 몰아가는 데 성공한 후였다. 

정청래 의원과 정문헌 의원의 이 대화는 누리꾼들 사이에 화제로 떠올랐다. 누리꾼들은 "사이다 발언", "정문헌 시무룩", "이 시대의 참 서비스인이다"라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야당 의원들의 필리버스터는 연일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주말이지만 유일하게 TV에서 생중계하고 있는 <국회방송>은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오르내리고 있고, 필리버스터에 나선 의원들은 검색어 순위 상위권을 오르내린다. 마국텔(마이 국회 텔레비전)이라는 말도 나온다. 국회방송을 그대로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하는 <팩트TV> 유튜브 채널은 실시간 시청자 수가 평균 3만 명을 상회하고 있다. 주말을 맞아 야권 지지자들이 필리버스터에 더욱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MBN이 여론 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25일 전국 성인 540명을 대상으로 '테러 방지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국민 안전을 위해 현재 원안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의견은 42.0%였다. 반면 "인권 침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테러 방지법 반대" 의견이 25.3%, "국정원의 권한을 줄이는 내용 등을 담은 수정안 통과" 의견이 23.6%로 나타났다.

원안 통과(42.0%)에 비해 '수정 통과', '입법 반대' 의견이(48.9%)가 6.9%포인트 더 높게 나온 것이다.  

현재까지 국민들의 필리버스터에 대한 피로도는 감지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 조사는 휴대 전화(60%)와 유선 전화(40%) 임의 전화 걸기(RDD) 자동 의견 방식으로 진행했고, 응답률은 4.5%,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2%포인트였다.

▲ 맨 왼쪽이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이다. ⓒ국회방송

[사건뎐(傳)]북한 건달이 보위사 직파간첩으로 몰렸다 무죄받은 사연.."국정원 수사관이 3류 첩보소설 쓰지마라 더니"

북한 보위사령부에서 직파돼 국내외에서 간첩활동을 벌인 혐의로 기소됐지만 1심과 2심 법원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 받은 홍강철씨. 정지윤기자
북한 보위사령부에서 직파돼 국내외에서 간첩활동을 벌인 혐의로 기소됐지만 1심과 2심 법원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 받은 홍강철씨. 정지윤기자
‘북한 보위사령부(보위사) 소속 공작원이 탈북자를 가장해 국내에 잠입한 뒤 적발돼 국가보안법상 간첩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됐다.’
2014년 3월 서울중앙지검은 ‘보위사 직파간첩’ 홍강철씨(43)를 적발해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원이 탈북자 합동신문센터(현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에서 그를 조사 하던 중 간첩 혐의를 밝혀냈다는 것이었다. 당시 언론은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했고, ‘탈북자로 위장한 간첩이 국내에 암약하고 있다’는 의심으로 여론은 떠들썩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댓글 공작 의혹으로 궁지에 몰렸던 국정원의 필요성이 재확인된 것이라며 여론을 몰아갔다.
하지만 불과 반년 만에 검찰의 발표는 뒤집어졌다. 2014년 9월 서울중앙지법은 홍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은 항소했지만 지난 19일 서울고등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보위사 직파 간첩’이라던 홍씨는 1심 판결 이후 석방돼 ‘자유의 몸’이 됐다.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 남한의 사법부가 북한의 간첩에게 농락 당하고 있기라도 한 걸까.
지난 25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 예수회센터에서 홍씨를 만났다. 이날 이 곳에선 홍씨의 변호를 맡은 ‘민들레·국가폭력 피해자와 함께 하는 사람들’ 후원 행사가 열렸다. 행사를 앞두고 2시간에 걸쳐 사건 전반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의 목소리는 수시로 높아졌다. 홍씨의 이야기와 1·2심 법원 판결문을 바탕으로 ‘보위사 간첩 사건’을 들여다봤다.
■법원의 판단… ‘의문스럽고, 의심스럽고, 앞뒤도 안 맞는 국정원·검찰 수사’
검찰 수사는 의외의 지점에서 허점을 드러냈다. 1심과 2심 재판부 모두 검찰이 8차례에 걸쳐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 중 일부에 대해 “증거 능력이 없다”고 판시했다. 형사소송법 244조의 ‘진술거부권’과 ‘변호인 조력권’이 홍씨에게 불분명하게 고지됐다는 것이다. 진술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자신의 의사대로 한 것인지 입증할 만한 영상녹화가 없었다는 지적도 따랐다. 검찰 수사는 그 시작부터 허술했던 셈이다. 홍씨는 그의 기소 사실을 공표된 뒤에야 구치소에 면회를 온 변호사와 처음 만났다.
일러스트=김상민 기자
일러스트=김상민 기자
검찰 수사의 허점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검찰이 제기한 공소 사실에 따르면 홍씨는 1998년 평양 강건종합군관학교를 졸업하고 1999년 조선노동당에 입당해 2012년 5월 보위사 공작원으로 선발됐다. 보위사령부는 국가안전보위부, 인민보안부와 함께 북한의 3대 정보·사찰기관으로 이 중 군을 정치적으로 감시하는 기관이다. 한국으로 치면 국군기무사령부에 해당된다.
검찰에 따르면 홍씨는 2013년 6월 보위사 ‘윗선’의 지령에 따라 북한과 중국 접경 지역에서 탈북 브로커 ㄱ씨를 납치하려다 미수에 그친 혐의를 받았다. 또 그 해 8월 홍씨는 탈북자와 탈북자 단체 동향을 파악하라는 등의 임무를 받고 국내에 잠입한 혐의도 받았다.
하지만 재판부는 홍씨가 받고 있는 혐의를 모두 인정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홍씨, 애초 홍씨를 국내 경찰에 제보한 ㄱ씨, 이들과 연관된 다른 탈북자들 등이 한 진술과 법정 증언을 대비하면서 검찰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1심과 2심 재판부는 검찰 주장에 대해선 의문과 의심을 드러냈고 홍씨의 주장이 더 설득력 있다고 봤다.
재판부는 검찰이 파악한 홍씨의 국내 잠입 경위에 대해선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취지로 판시했다. 홍씨가 북한 국경을 넘기 위해 택한 우회 경로와 이후 중국, 라오스, 태국을 거쳐 국내로 입국한 과정에 대해서 재판부는 “보위사의 정식 공작원이 그 정도로 복잡하고 고생스러운 경로를 거쳐 탈북할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 그는 독방서 84일 동안 1000여장의 자필진술서를 써야만 했다.
“홍씨가 탈북자 합동신문센터에서 대부분 기간 동안 격리된 채 혼자서 조사를 받았던 점, 지속적으로 진술서를 반복 작성하도록 요구받았던 점, 피의사실에 부합하는 진술서를 작성하기까지는 국정원 수사관으로부터 수정·보완을 요구받기도 했던 것으로 보이는 점….”
2심 재판부는 또한 홍씨가 합동신문센터에서 쓴 진술서 중 상당 부분의 증거 능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검찰 수사는 물론 앞서 진행된 국정원의 조사 역시 법정에서는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이다.
합동신문센터는 탈북자들이 국내에 들여와서 처음 머무는 공간이다. 이곳 조사를 무사히 통과하면 하나원으로 옮겨진다. 합동신문센터는 국가보안시설 최고수준인 ‘가’급으로 지정돼 있다. 국정원, 기무사, 경찰 등이 합동으로 ‘위장간첩’ 여부 등을 심사하는 곳으로 국정원 산하기관에 가깝다.
앞서 홍씨는 2013년 8월 국내에 입국한 뒤 합동신문센터에서 9월 3~17일 1차 조사를 받았다. 이어 그 해 10월15일부터 다음해 1월6일까지 84일간 2차 조사를 받았다. 홍씨의 변호인이 재판부에 제출한 의견서에 따르면 홍씨가 당시 쓴 자필진술서는 1차 조사에서 250여장, 2차 조사에선 1000여장에 이른다. 재판부는 2차 조사 당시 홍씨가 쓴 진술서에 대해 “특신상태(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일러스트=김상민 기자
일러스트=김상민 기자
“정말 아무도 모르게 개죽음 당할 것 같았어요.” 홍씨는 합동신문센터에서 국정원 수사관으로부터 조사를 받던 때를 떠올리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 때 진술이 이렇게 발전했어요. 처음엔 수사관이 ‘보위부 공작원하다가 입국한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라고 얼렀어요. 거기서 주는 담배를 얻어서 폈는데, 한번은 ‘담뱃값을 하라’고 하기에 그 말에 담긴 뜻을 눈치 못 채고 ‘담뱃값이 얼마냐’고 물어본 적도 있어요(웃음). 나중엔 ‘내가 공작원이라고 하면 수사관들이 상금 타나보다’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내가 보위부는 조직도 잘 모르니까 보위사 공작원을 했다고 합시다’, 이렇게 말하게 된 거예요.”
■ 홍씨, “국정원 수사관이 ‘3류 첩보소설 쓰지 마라’고 했다”
홍씨는 1973년 함북 무산에서 태어났다. 1992년 전문학교, 1998년 초급장교 양성기관에서 공부했다.
홍씨는 1999~2002년 북한과 중국 접경 지역에서 국경경비대로 근무했다. 당시 중국 밀수꾼들이 그에게 ‘뒷돈’을 주는 일이 잦았다고 했다. 이것이 보위사에 발각돼 7개월 동안 조사를 받으면서 보위사를 어느 정도 알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2013년 8월 탈북했다.
검찰의 공소 사실에 따르면 홍씨는 2013년 5월 함경북도 내 보위사 사무실에서 김모 초소비서에게서 공작원이 돼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그는 김모 비서에 대해 “국경경비대를 그만둔 뒤 직접 밀수 사업을 하면서 뒷돈을 쥐어줬던 관리들 중 하나”라고 했다.
“날마다 ‘숙제’를 내줘요. ‘오늘은 김모 비서에 대해 한번 써봐’. 쓰고나면 ‘제대로 된 것 같지 않으니 다시 써오라’고
했거든요. 그렇게 계속 쓰는 거예요. 수사관이 ‘공작원은 맹세문을 읽고 서약서와 이력서를 쓴다더라’고 알려주면서 ‘이력서 한번 써봐라’고 시키기도 했죠. ㄱ씨 납치 사건에 대해서도 처음엔 ‘내 장모가 ㄱ씨가 남한 간첩인 것 같으니까 납치해서 보위부에 넘기고 (당시 탈북 브로커를 하다 붙잡혀 있던) 아내를 꺼내오자고 했다’고 썼더니 ‘사람 놀리냐’면서 다시 쓰라고 해요. 나보고 ‘3류 첩보 소설 쓰지 말라’고 하더라고요.”
북한 보위사령부에서 직파돼 국내외에서 간첩활동을 벌인 혐의로 기소돼 1·2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 받은 홍강철씨. 정지윤기자
북한 보위사령부에서 직파돼 국내외에서 간첩활동을 벌인 혐의로 기소돼 1·2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 받은 홍강철씨. 정지윤기자
■‘나쁜 토대’ 지닌 ‘보위사 공작원’… “국정원이 북한을 이렇게 모를까”
검찰은 국정원 수사관들이 “북한서 여유로운 생활을 했다”는 등의 홍씨의 진술을 의심해 추궁한 끝에 그가 보위사 공작원이란 걸 밝혀냈다고 했다. 홍씨는 어이없어했다. 그는 북한서 그가 돈을 버는 데 집착한 계기가 ‘나쁜 토대’에 있다고 했다. ‘출신 성분’을 따지는 북한에서 출세를 할 수 없자 대신 돈을 많이 벌어 보상받고자 했다는 것이다.
홍씨는 북한의 수재들이 모인 강건종합군관학교를 졸업했다. 하지만 한국전쟁 당시 우익단체인 ‘서북청년단’의 한 분파에 소속돼 전투를 벌이다 사망한 큰아버지 때문에 홍씨가 출세할 길은 막혀 있었다. 이 때문에 국경경비대에 근무할 때부터 엇나가기 시작해 밀수와 탈북 브로커 등 ‘돈이 되는 일’에 손대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다.
“제도에 대한 반감이 있으니까 그런 일을 한 거죠. 당에 대한 충심이 있으면 그랬겠어요. 국경경비대에 있으면서 탈북자들 잡는 걸 보고 ‘당장 굶어죽게 생겼는데 중국 가서라도 먹고 살아야지, 사회주의가 대체 인민한테 좋은 게 뭐냐’고 생각했죠. 나중엔 돈이 생기니까 경찰·군인·고위관리 죄다 나한테 ‘설설’ 기더라고요. 그런데서 쾌감을 느낀 거죠.”
홍씨는 일종의 북한 ‘건달’이었던 셈이다. 그는 “주먹세계에서 조금 날렸다”면서 “다만 조폭은 아니었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사정에 대해서도 설명했지만 국정원 수사관들에게 먹히지 않았다고 했다. 합동신문센터 조사 초기엔 수사관들에게 “머저리들, 그런 수준으로 어떻게 대북 첩보를 하느냐”고 대들기도 했단다. 북한 현실을 몰라도 너무 모르더라는 것이다. 그가 밀수꾼을 하면서 보위부 관리들에게 뇌물을 줬다고 하면 수사관들이 되려 “북한 보위부가 어떤 곳인데 그런 돈을 받느냐”고 했다고 한다. 홍씨는 “국정원 사람들이 남한이 아니라 북한 보위부 편에 서서 말하는 것 같더라”고 말했다.
경기 시흥 소재 탈북자 합동신문센터(현 북한이탈주민보호 센터) 전경. 경향신문 자료사진
경기 시흥 소재 탈북자 합동신문센터(현 북한이탈주민보호 센터) 전경. 경향신문 자료사진
■“탈북자 인권 철저히 무시하는 합동신문센터 조사 방식 바꿔낼 것”
1·2심에 걸쳐 무죄를 선고 받은 홍씨는 나중에 대법원서 최종적으로 무죄임이 확정된다면 한국에서 무역업을 해보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홍씨가 그보다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건 그가 겪었던 합동신문센터 조사 방식을 바꾸는 일이다. 그는 ‘독방 폐지’ ‘변호사 등 접견권’ ‘자유로운 통행권’ 등을 언급했다.
“독방에 들어가니까 세상 밖에 버려진 기분이 들었단 말이죠. 저 같은 경우엔 제 뒤로 수사관 한 명이 걸어다니면서 ‘(책상에) 손 올려라’ ‘손 모아라’ ‘바로 앉아라’ 등 제 자세까지 일일이 지적했어요. 탈북자들은 북한 보위부처럼 수사기관은 응당 그렇게 하는 걸로 받아들이는 거죠. 인생 밑바닥에서 살았다고 탈북자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봐요.”
현재 홍씨는 가톨릭 신부들의 지원을 받아 서울 모처에서 생활하고 있다. 아직 ‘보위사 공작원 홍강철씨 사건’에 대한 검찰의 상고 여부는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진선미 의원 “테러방지법이면 대선 총선 다 조작 가능하다”“박근혜 책상 열 번 쳤다구? 난 가슴을 열 번 친다, 쾅쾅쾅!”

진선미 의원이 정청래의원의 바통을 이어 받고 테러방지법 본회의 처리를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 의사일정 방해) 18번째 주자로 나서 28일 01시 현재 9시간째를 넘겼다.
진선미 의원은 27일 오후 4시20분부터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에 이어 국회 본회의장에서 테러방지법에 대한 무제한 토론 18번째 주자로 등장했다. 진기록과 신기록, 갖가지 에피소드를 낳고 있는 이번 필리버스터는 이제 세간에 관심의 핵으로 떠올랐다.
진선미의원이 가슴을 열 번 쳤다. 진선미의원은 27일 오후 4시20분부터 국회 본회의장 필리버스터 18번째 주자로 나서 28일 01시 현재까지 9시간을 넘기고 있다.
진 의원은 이에 앞서 자신의 SNS 페이스북 계정에 “제 페이스북에 테러빙자 ‘전국민 감시법’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올려달라”면서 “소통의 진수를 보여드리고 싶다”고 사전에 결기를 다졌다.
이어 “저는 이 시간, 테러를 빙자한 전국민 감시법을 막아 헌법의 가치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위해 국회에 있다. 조금전 정청래 의원이 토론 도중 국정원장이 마음만 먹으면 저 진선미를 테러의심자로 지목하고 다 털어볼 수도 있다고 말씀하신다”고 정청래의원의 다음 주자로서 본회의장 상황도 전했다.
진 의원은 테러방지법 반대토론의 이유에 대해 “그 대상이 진선미, 저 일수도 있지만 지금 이 글을 보고 제 목소리를 듣고 계시는 바로 여러분일 수 있기 때문에 이 국민사찰법은 더더욱 위험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진 의원은 연단에 올라 자신의 변호사 시절 일화를 소개하면서 “의뢰인들이 찾아와 하나같이 내가 여기까지 올 줄 몰랐다는 말을 하더라. 의뢰인들을 만나보면 이런 법으로 소송까지 당할 줄 몰랐다고 말하더라”라고 발언을 시작했다.
진선미 의원은 이어 “테러방지법에 대한 문제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고, 내 문제가 아니더라도 내 아이, 내 친구, 내 동료 중 누구라도 이 법의 자의적인 해석으로 또, 누군가의 자의적인 폭력으로 피해자가 될 수 있다”면서 본격적으로 지난 2012년 대선 국정원 댓글사건을 들고 나왔다.
이날 필리버스터를 위해 준비한 자료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 민병주 전 국정원 심리전단장의 국정원법·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유죄를 선고한 서울고등법원의 항소심 판결문 등이었다.
진 의원이 읽어 내린 판결문에는 국정원 심리전단의 트위터 글이나 인터넷 댓글 등과 이에 대한 재판부의 판단 등을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었다. 주로 대선 전에 주요 국면에서 국정원 심리전단 직원들이 여당 후보에게는 유리하게 쓴 글과 야당 후보에는 극히 불리하게 쓴 음해성 글들을 조목조목 나열했다.
진 의원은 법원 판결문 중에서도 “피고인들과 심리전단 직원들이 대선과 관련해서도 특정 후보자를 당선되게 하거나 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이같은 활동을 했음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다”는 대목과, 원세훈 전 원장이 ‘국정원장 지시 강조 말씀’을 통해 국정원 심리전단팀으로 하여금 이같은 불법적인 활동을 지시했다고 법원이 판단한 대목에서는 비교적 또박또박 읽어 내리고 상세한 설명을 덧붙이기도 했다.
진 의원은 원세훈 전 원장이 야당을 ‘종북좌파’라는 말로 규정했다며 국정원 직원들로 구성된 심리전단팀 활동을 진두지휘했다고 법원이 판단한 부분 “요컨대 국정원장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의견이 여론으로 형성되거나 형성될 가능성이 있을 때 이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것을 지시했다”에서는 목소리 강세를 한껏 높였다.
이와 관련 “테러방지법이 통과됐을 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지난 대선 때는 국정원장이 종북 여부도 판단하고 좌파 여부도 판단했다, 테러방지법이 통과되면 테러위험인물인저 여부도 국정원장이 마음대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단정했다.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에서도 테러방지법을 추진했다’는 내용에 대해 “김대중 정부 시절에 추진했던 법은 당시의 야당 의원들인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대와 민주당의 반대, 그 정부에서 처음 만들어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반대로 입법이 좌절됐다”면서 “우리는 이게 왜 안되느냐, 박근혜 정권에서 여당인 새누리당 의원 중에 한 분 정도는 테러방지법에 문제제기하는 분을 볼 수 없겠느냐”고 따져 물었다.
지난 2012년 12월 14일 대선 선거 5일 전에 TV토론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이번 사건(국정원 여직원 댓글 조작 발각)이 저를 흠집 내고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민주당의 모략으로 밝혀지면 문재인 후보가 책임져야 한다”라고 말한 것을 전제했다.
진 의원은 “검찰 수사로 민주당의 주장이 모략이 아닌 진실로 밝혀진 만큼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몫이 됐다”면서 “3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여전히 국정원의 개혁도, 대통령의 사과도, 새누리당의 사과도 듣지 못하고 오히려 테러방지법이라는 더 어이없는 벽을 마주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에 덧붙여 “박근혜 대통령은 책상을 열 번 쳤다고 한다, 저는 제 가슴을 열 번 치고 싶다”라면서 자신의 주먹으로 가슴을 열 번 쳐 보이기도 했다.
한편, 지난 23일 오후 7시5분부터 김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시작한 필리버스터가 이날 진선미 의원까지 합산한 시간이 100시간을 돌파하자 이종걸 원내대표가 성명을 발표하고 이번 필리버스터에 대해 의회민주주의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고 자평했다.

정청래 "CIA가 대선 때 댓글 달던가?" 11시간 39분 新기록…野, 96시간째 연설 중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27일 한국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 진행 지연 전략) 신기록을 수립했다. 정 의원은 이날 새벽 4시 41분부터 국회 본회의장 연단에 올라 오후 4시 20분까지, 11시간 39분 동안 테러 방지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지난 24일 같은 당 은수미 의원이 세운 10시간 18분의 국내 최장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정 의원은 연단에 올라 현행 법으로 테러 방지가 가능하다며, "국가정보원 '몰빵'법"인 테러 방지법을 제정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미국 CIA의 사례를 들며 "미국은 정권이 교체되도 CIA 국장이 바뀌지 않는다"며 "그 이유는 미국 CIA는 대선 때 댓글을 달지 않기 때문이고, FBI는 댓글을 단 CIA 요원에 대해 '정치 개입이 아니다'라고 대선 3일 전에 결론을 내리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나아가 "국정원 국내 파트를 담당하는 2차장은 존재할 필요가 없다"며 오히려 국정원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국정원의 국내 정보력은 경찰 정보력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경찰 정보과 형사들이 국정원 (국내 파트) 직원보다 더 많다"고 말했다. 

대선 개입으로 지탄을 받으며 개혁 대상이 된 국정원의 권한을 오히려 강화하는 것은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박 대통령을 향해 "국민 행복 시대를 연다고 해 놓고, 국민 항복 시대를 열고 있다"며 "국민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유신 질주 본능을 멈춰 달라"고 호소했다.

정 의원이 연단에서 내려간 후에는 같은 당 진선미 의원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현재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의원들은 27일 오후 6시 20분 현재 총 96시간 동안 필리버스터를 진행하고 있다. 

“김종인도 낙선대상” 2016년 총선 유권자 운동 얼마나 파괴력 발휘할까

2월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총선시민네트워크 발족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기억, 심판, 약속’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서성일 기자
2월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총선시민네트워크 발족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기억, 심판, 약속’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서성일 기자
뒤늦은 총선시민네트워크 발족… ‘시민참여’ 통로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시대는 변하는데 정치는 변하지 않고 후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주저앉아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2월 17일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 2016년 총선시민네트워크(이하 총선네트워크)가 발족했다. 이날 발족식 참가자는 ‘기억’, ‘약속’, ‘심판’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치켜올리는 퍼포먼스를 했다. 부문별 대표들이 발족 선언문을 낭독했다. 1000여개의 시민사회단체가 모였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네트워크, 경제민주화와 먹고사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을’들의 총선연대, 보육연석회의, 총선청년네트워크 등 35개 의제별 및 지역별 연대기구도 함께했다. 민주노총은 총선네트워크의 참관단체로 머물렀지만 한국노총은 시민사회의 총선연대 운동체에 처음으로 참여했다. 안진걸 총선시민네트워크 공동운영위원장은 다음과 같이 의의를 밝혔다. “요즘 같은 분위기에서 1000여개 단체가 참여하는 것도 쉽지 않지만 한국노총이 들어온 것도 처음이다.” 4월 13일 총선. 채 50여일도 남지 않았다. 총선 시민유권자 운동은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2012년, 기자는 그해 총선을 앞두고 이번과 같이 결성된 ‘2012 총선유권자 네트워크’ 발족과 전망 기사를 썼다. 이해 발족식은 2월 9일 열렸다. 2012년 총선은 4월 11일에 치러졌다. 올해는 2012년보다 이틀 후(4월 13일)에 총선이 치러진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올해 유권자운동은 출발부터 많이 늦었다. 특히 4년 전의 경우 발족식에서는 18대 국회에서 예산안 날치기에 참여한 정치인 143명의 명단을 낙천 대상으로 발표했지만 올해는 그러지 않았다.
당시 일정을 보면 2월 14일 4대강 찬동인사 명단 30명, 17일 한·미 FTA 참여 정치인 160명. 20일 언론분야에서 종편방송 만드는 데 앞장선 정치인 10적(敵)을 발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들 명단은 당시 총선연대가 개설한 홈페이지(rememberthem.kr)에 게재됐다. 각 부문별 요구에서 중복된 인사들을 중심으로 ‘4관왕’, ‘5관왕’으로 뽑인 인사를 집중 낙선 대상으로 선정한다는 전략이었다. 선거를 일주일 앞둔 4월 4일 발표된 집중 낙선 대상 후보 10인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김석기, 김종훈, 민병주, 서장은, 이재오, 정병국, 하태경, 허준영, 황우여, 홍일표. 새누리당이 9명이었고, 친여 성향의 무소속이 1명이었다. 이 가운데 낙선된 인사는 무소속으로 경북 경주에서 출마했던 김석기 전 서울경찰청장 및 새누리당 후보로 서울시 노원병에 출마했던 허준영 전 경찰청장, 서울시 동작갑에 출마했던 서장은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등이었다.
“그래도 10명 중 3명이 낙선을 했으면 약 33.3%가 낙선한 셈이니 전혀 성과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이재근 총선시민네트워크 공동사무처장의 말이다.
늦기는 했지만 올해도 비슷한 형태로 진행된다. 2월 23일 청년네트워크가 발족하면서 공천 부적격자 20명의 명단을 발표했고, 이날 환경연합은 원전 확대나 핵무장을 주장하거나 4대강 사업 옹호 및 국토 난개발 조장 등 반환경 정책 추진 17인 명단을 발표했다. 총선시민네트워크는 여기에 테러방지법을 발의한 22명의 국회의원을 우선적으로 ‘집중 낙천 대상’으로 발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총선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한 핵심 인사는 “국정화 네트워크가 제출한 명단 초안의 경우 상당수가 새누리당 지도부에 쏠려 있는데, 현실적으로 그 사람들이 공천에서 배제될 가능성도 낮고, 실제로 수도권보다는 경북과 경남에 쏠려 있어 실효성이 의심된다”며 “그럼에도 네트워크의 정체성 측면에서 그 사람들을 선정하지 않을 수도 없고, 그 사람들을 배제한다면 정책적으로 옳지 않아 내부적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뿐 아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과거 2004년 총선시민연대 당시 비리·부패 전력으로 ‘비례대표 부적격 후보자’로 선정된 적이 있다. 아직 유권자위원회가 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김종인 대표를 ‘집중 낙천 대상자 명단’에 포함시킬 것인가를 두고 내부적으로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또 다른 핵심 관계자는 “전교조 법외노조화, 국정 파탄, 국정교과서 추진 책임이 있는 여권의 황우여나 김진태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한·미 FTA 전도사’ 김현종 전 통상교섭본부장의 경우 최근 ‘개성공단 폐쇄 가능’ 발언으로 낙천 리스트에 우선 게재될 야권 인사로 이견이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김 대표의 경우 과거 부적격으로 확정되었던 인사가 지금 거론되는 것처럼 비례 공천을 받는다면 당연히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과 집중 낙천 대상자에는 과거지사보다 현안 관련자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말했다. 어쨌든 이번에는 낙천·낙선 대상 명단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까.
2월 24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2016년 총선시민네트워크 등 단체가 국가기관 선거 개입 시민감시 캠페인단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 정용인 기자
2월 24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2016년 총선시민네트워크 등 단체가 국가기관 선거 개입 시민감시 캠페인단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 정용인 기자
2월 24일, 서울 광화문 세월호 광장. 기자회견이 열렸다. 국가기관 선거 개입 시민감시 캠페인단 출범 기자회견이다. 기자회견이지만 이날 행사는 기자들로부터 질의응답도 없이 40분 만에 끝났다. 유심히 살펴봤다. 3월 2일에는 청와대, 국정원, 국방부 보훈처, 행자부 등에 선거 개입 금지 요구서를 발송하고, 3월 21일부터 31일까지는 민방위 교육장 전국 캠페인, 4월 1일부터 8일까지는 사건 현장 순례 인증캠페인을 시작한다고 하지만 캠페인에 구체적으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안내는 없다. 진행상황을 볼 수 있는 총선네트워크의 공식 홈페이지나 SNS, 연락처에 대한 소개도 없다. 기자회견문을 보면 일반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는 딱 하나, 총선네트워크의 공식 이메일 주소(ask2016change@gmail.com)만 공개되어 있을 뿐이다. 결국 네트워크 실무자들만의 퍼포먼스로만 캠페인을 치르겠다는 것일까.
“그날 기자회견이 관성적으로 준비된 면은 있다. 야권이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으로 분열되어 있고, 또 정의당·녹색당·노동당 등 진보정당도 각자 목소리를 낼 뿐 연대에 대한 생각은 없는 최악의 선거다. 비록 늦었지만 그래도 뭐라도 하자고 1000여개가 넘는 시민단체가 모인 충정을 이해해 달라.” 안진걸 운영위원장의 말이다. 안 위원장이 이번 유권자 운동에서 과거와 가장 차별화되는 아이템으로 꼽은 것은 ‘3분 정치’ 모바일 앱이다. ‘3분 정치’는 약 3분이면 자신이 거주하는 동네에서 출마하는 후보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으로, 이름은 ‘3분 카레’와 같은 즉석식품에서 착안했다고 덧붙였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3월 10일 전후로 공개할 예정이다. 여기서 다시 의문. 과거 2012년 총선 때 총선네트워크가 만든 ‘리멤버뎀’과 같은 유권자 정치인 검증사이트는 왜 활용하지 않는 걸까. ‘리멤버뎀’은 시민정치마당이라는 사이트에 연계되어 작동되고 있는 중이다. 관련해 전후사정과 연관되어 있는 한 시민사회단체 인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2008년 촛불시위를 전후로 사실 기존의 단체 및 조직과 다른 새로운 흐름, 결이 만들어졌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네티즌들의 자발적 참여라든가, 팟캐스트나 인터넷 커뮤니티, 생활협동조합 등의 새로운 흐름을 기존의 시민사회단체는 포용하지 못하는 것 같다.” 서로 다른 지향의 사람들과 ‘제휴’하는 것에 대해 결국 ‘시민사회적 정체성’을 고집하다 보니, 결과나 성과를 축적하지 못하고 매번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관성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2016년 총선 유권자 대응이 늦어지게 된 것에는 야권 상황도 무관하지 않다. 한 축으로는 ‘야권정당 연대로 1대 1 구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시민사회 원로 중심의 ‘다시민주주의포럼’ 중심의 총선 대응논리와 종전 유권자운동의 관계설정을 놓고 벌어진 내부 입장 차이도 올해 총선네트워크 대응이 늦어진 요인이기도 하다. 일단 2월 17일 발족한 ‘2016 총선시민네트워크’는 다시민주주의포럼과 앞서 온라인 네티즌 운동 개인과 단체들 역시 다 망라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관성’을 벗어난 결기를 2016년 총선시민네트워크는 보여줄 수 있을까. 판단하기에는 아직 50일에 가까운 시간이 남아 있다.
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역사적으로 나라가 힘든 고비를 겪어왔지만 5.18이나 6.10에서 보듯 결국 명운을 구하고 미래를 열어온 것은 시민이었는데 우리 시민사회를 보면 성장은 더디게 이뤄진 반면 너무 빨리 쇠퇴한 측면이 있다”라며 “결국 참여하고 행동하는 시민, 선거혁명을 스스로 이뤄낼 수 있는 시민이 지금 필요하다”고 말했다. 총선 국면을 맞아 다시 시민들의 정치적 귀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안진걸 2016총선시민네트워크 공동운영위원장 “일부지역에선 거리 낙선 운동도 진행할 것” 
2012년에도 기사를 썼다. 올해 발족식을 보니 당시 핵심 모토였던 기억, 약속, 심판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 지난 총선 때보다 대응도 늦었다. 아무래도 관성이 지배하는 게 아니냐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시민사회 대응력이 이전보다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유권자 운동으로 낙천·낙선 운동이 대중적으로 알려진 2000년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지금은 야당이 분열되어 있고, 북핵문제와 테러방지법 등 내·외부적 이슈 때문에 선거 분위기라고 하기 어렵다. 비록 늦었더라도 대응은 해야 한다. 그래서 설 연휴가 끝난 직후부터 집중 논의를 시작해 2월 17일 발족식을 했다. 분야별 의제별로도 정책 발표와 낙천·낙선자 명단 발표가 잇따라 이뤄지고 있다.”
당시 오프라인에서 낙천·낙선 운동은 규제되지만 온라인이나 SNS는 푸는 방식으로 유권자 운동의 토대가 만들어졌다. 그런데 얼마나 활용되었는지 모르겠다. 2012년 활동에 대한 평가는 이뤄졌나.
“내부적으로 평가는 진행했다. 너무 낙선 명단이 많이 선정되면 파괴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었다. 예를 들어 FTA를 찬성한 정치인 160명을 다 낙선 명단에 포함시키는 것은 실효성이 없다. 최대한 좁혀 누구라도 납득할 수 있는 리스트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때도 집중 낙선 유권자 운동 명단이 만들어져 발표되는 방식이었다. 이번에도 4관왕, 5관왕 식으로 뽑게 되는 것인가. 당시 그 집중 낙선 명단을 보면 새누리당 일색이라 실효성이 없다는 평가도 있었다.
“각 부문별 의제에서 중복된 인사를 주요 낙선 대상자로 선정하는 방식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정당 이합집산 상황이 다 정리되지는 않았지만 이번에는 야권 인사도 포함될 것으로 본다.”
보수정부가 시민사회단체를 ‘진보적 시민단체’의 틀로 가둔 게 결국 유권자 운동의 지적이 그나마 통할 수 있는 곳을 야권으로 국한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이 아닌가.
“현실적으로 여당 인사가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은 유권자 운동은 당연히 지난 8년 집권세력에 대한 심판을 전제로 한 것이다. 야당이 집권세력은 아니지 않은가. 지난 8년의 보수정권, 특히 3년의 박근혜 정권에 대한 심판 선거라는 것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럴까. 그러면 다시 유권자 운동이 정파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명단 발표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보나.
“적어도 몇백 몇천 표의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수도권과 부산·경남지역에서는 꽤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경남과 경북, 부산은 영남권으로 하나로 묶어 유권자 운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프라인에서 낙선운동을 하는 것을 선관위가 규제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은 불복종 운동도 계획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정교과서나 전교조 불법화와 관련이 있는 황우여의 경우 인천 지역단체 유세장에서 낙선을 호소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유권자 운동과 무관하게 개인적으로는 현실적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나.
“사실 아무리 심판 목소리를 내더라도 크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갈라져 있는 야권정당이 단일화하지 않으면 다 질 것으로 본다. 개인적으로는 어찌되든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민의당에만 양보하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총선시민네트워크의 공식 입장은 아니지만 야권연대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거부하는 세력은 선거 패배의 책임을 져야 한다. 지금 일각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새누리당이 180석을 넘어 200석까지 가져가게 된다면 한국 사회는 공식적으로 1987년 이전으로 회귀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