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Sunday, April 1, 2018

업체선 비닐수거 거부 .. 쓰레기봉투 넣으면 과태료 낼 수도

수도권 10여 곳 재활용 수거 거부
서울·인천·수원 등 아파트단지 혼란
오염 심한 비닐만 종량제 봉투 허용
"민간 대신 지자체가 관리 맡아야"
재활용품 수거 업체들이 비닐과 스티로폼 수거를 중단하겠다고 예고한 1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의 한 아파트 단지 분리수거장에 당분간 플라스틱 수거가 안 된다는 안내 문구가 부착돼 있다. [우상조 기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의 A아파트는 요즘 페트병 때문에 고민이 많다. 지난달 29일 재활용 폐기물 수거 업체에서 “1일부터 페트병 등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와서다. 500가구가 넘는 이 아파트에서는 하루 평균 1t가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나온다. 업체에서 당장 수거하지 않으면 쌓아둘 곳이 없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입주민에게 공지하긴 했지만, 페트병 등을 계속 집 안에 쌓아놓으라고 할 수도 없고 걱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수도권 일부 아파트 단지들이 비닐류와 페트병 등 플라스틱류 폐기물 처리를 놓고 비상이 걸렸다. 재활용 폐기물 처리업체들이 수거를 거부하면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할 상황에 놓여서다.
한국자원수집운반협회 등에 따르면 현재 폐기물 수거 문제가 불거진 곳은 서울·인천과 수원·용인·화성·안산·파주·고양·남양주 등 경기도 10여개 지자체의 일부 아파트 단지다.
대부분 100가구 이상이 사는 대규모 단지다. 지자체가 재활용품을 직접 수거하는 단독주택과 달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수거 업체와 개별 계약을 맺어 재활용 폐기물을 처리한다. 헌 옷이나 종이·고철 등 이른바 ‘돈 되는 재활용품’을 모아서 수거 업체들에 팔아 일정 금액을 돌려받는 식이다. 돈 안되는 비닐·스티로폼 등의 수거도 맡아왔다.
그런데 수거 업체들이 이달 1일부터 폐플라스틱 등의 수거 중단을 선언했다. 중국이 환경문제 등을 이유로 폐플라스틱, 폐지 등 24개 재활용품 수입을 중단하면서 수출길이 막혀 가격이 대폭 하락했다는 것이 이유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재활용품 수집업체인 강필주 미주자원 대표는 “지난해 7월부터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중단하면서 미국·유럽의 폐지 등이 국내로 들어와 국내 폐지 가격이 ㎏당 150원 정도에서 현재 40~50원 수준까지 떨어졌다”고 말했다. 플라스틱과 폐지를 재활용하면서 얻은 이익으로 비닐까지 처리했던 재활용 업계 입장에선 손해가 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를 놓고 일각에선 “재활용 폐기물 수거 비용 일부를 지자체 등이 일부 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충북 청주시 등 일부 지자체는 플라스틱류 수거지연 및 수거거부에 따른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관련 업체에 수거·운반 비용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경로 한국자원수집운반협회 부회장은 “팔지도 못하는 것을 돈을 주고 사 와야 하기 때문에 수거 비용 보전 등 조치가 없다면 우리만 손해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예고 없는 수거 금지에 주민들은 불만이다.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할 경우 법에 따라 3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다만, 음식물찌꺼기가 남아있는 등 오염이 심해 재활용이 어려운 비닐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한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서울 강동구의 한 아파트에 사는 주부 김모(46)씨는 “관리사무소에서도 스티로폼과 비닐 등의 처리 방법에 대해 제대로 설명을 못 하고 있다”며 “마냥 집안에 쓰레기를 둘 수 없어 일단 종량제봉투에 버리고 있지만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지영일 아파트관리사무소협회 용인시지부장도 “수거 업체의 입장도 이해하지만, 대책을 마련할 시간도 주지 않고 중단 통보를 해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해당 지자체들로도 관련 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용인시와 수원시에는 각각 아파트 420여 곳과 280여곳에서 문의를 해왔다고 한다. 이들 지자체는 재활용 업체에 “당초 아파트 단지와의 계약대로 수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수원시 등 경기도의 일부 지자체는 비닐과 스티로폼에 이어 플라스틱류도 직접 수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도 지난달 30일 25개 자치구에 비닐·스티로폼을 재활용품으로 배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하지만 이물질을 씻어내지 않은 비닐·스티로폼은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해 주민의 불편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 성동구의 주부 이미영(38)씨는 “매주 비닐 포장돼 스티로폼에 들어있는 반찬을 배달시켜 먹는데, 이걸 일일이 다 씻어서 버리란 것이냐. 사실상 비닐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란 의미 같다”고 말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재활용품 수거와 처리 문제를 민간 업체에만 맡긴다면, ‘돈이 되느냐, 안 되느냐’하는 시장 논리에 좌우될 수밖에 없다”면서 “지자체가 업체에 위탁하거나, 관련 인력과 재원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최모란 기자, 임선영 기자 moran@joongang.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