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Tuesday, September 29, 2015

"폴크스바겐 계열사 아우디 210만대·스코다 120만대도 조작" 독일 검찰, 폴크스바겐 전 CEO 수사 착수

독일 자동차업체 폴크스바겐의 디젤차 배출가스 눈속임 사태로 인한 파장이 나날이 확대되면서 자동차업계 최대 스캔들로 번지고 있다. 

폴크스바겐 그룹 계열의 다른 브랜드도 조작 연루 사실이 속속 확인되는 가운데 스캔들 이후 사퇴한 전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검찰 수사도 시작됐다.

28일(현지시간) 폴크스바겐 그룹 계열의 아우디 대변인은 '유로 5' 레벨 엔진의 아우디 디젤차량 210만 대에도 문제의 배출가스 저감 눈속임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서유럽에서 팔린 것이 142만 대, 독일 57만7천 대, 미국 1만3천 대로, A1, A3, A4, A5, TT, Q3, Q5 등 총 7개 모델에서 조작이 확인됐다.

그룹의 또다른 브랜드인 체코의 스코다도 이날 자사에서 생산된 차량 120만 대가 문제의 저감 소프트웨어와 관련이 있다고 발표했다. 

폴크스바겐 그룹은 앞서 전 세계적으로 모두 1천100만 대의 디젤차량이 눈속임 소프트웨어로 배출가스 검사를 통과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앞서 확인된 폴크스바겐 브랜드 500만 대와 이번에 확인된 아우디, 스코다 총 330만 대를 제외하면 300만 대 가량의 다른 브랜드 차량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폴크스바겐 그룹은 이들 3개 브랜드 외에도 스페인업체 세아트, 고급차 브랜드 포르셰, 람보르기니, 벤틀리, 부가티를 포함해 모두 12개 브랜드를 보유 중이다. 

이번 조작에 폴크스바겐 임직원이 어느 정도까지 연루돼 있는지에 대한 수사도 시작됐다. 

폴크스바겐 본사가 위치한 독일 볼프스부르크를 관할하는 브라운슈바이크 지방 검사는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지난 23일 사퇴한 마르틴 빈터코른 전 CEO를 상대로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빈터코른 전 CEO가 배출가스 눈속임 소프트웨어의 장착 사실을 사전에 알고 있었는지, 그에게 사기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등에 중점을 두고 수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독일 법률 하에서는 법인이 아닌 개인에 대해서만 기소 가능하며, 사기죄로 기소되면 최고 10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빈터코른 전 CEO는 감독이사회에 전달한 사퇴 성명에서 폴크스바겐 내 만연한 부정행위에 놀랐다고 밝히면서 자신은 이 같은 사실을 이전까지 알지 못했지만 회사의 앞날을 위해 물러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폴크스바겐이 지난 2011년에 배출가스 조작에 대한 내부기술자의 경고를 무시했다는 등의 보도가 나오면서 빈터코른의 이같은 주장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앞서 독일 일간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존탁스차이퉁(FAS) 등은 27일 폴크스바겐 소속 한 기술자가 당시 상급자에게 "배출가스 조작 행위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법에 저촉된다"고 보고했으나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FAS는 그러면서 "8년간 폴크스바겐의 지배자로 군림한 빈터코른이 조작 사실을 몰랐을 리가 없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일간 빌트암존탁은 문제의 조작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던 보쉬가 2007년 폴크스바겐에 해당 소프트웨어를 배출가스 조작에 불법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위기에 빠진 폴크스바겐을 구하기 위해 빈터코른 후임으로 임명된 마티아스 뮐러 신임 CEO는 사태 수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독일 언론에 따르면 뮐러는 27일 폴크스바겐 그룹 전체 임직원 60만 명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이번 추문에 관해 전면적이고 투명한 조사가 이뤄질 것임을 약속했다.

아울러 로이터통신은 폴크스바겐이 폴크스바겐과 아우디, 포르셰 브랜드의 연구개발(R&D) 책임자를 해임했다고 보도하는 등 책임자에 대한 처벌도 이어지고 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