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값이 폭등을 거듭하면서 강남권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50%대로 급락하고 서울 전세가율도 60%대로 추락해, 거품 파열 징후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5일 KB국민은행의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평균 68.5%를 기록하며 70% 아래로 추락했다. 2015년 5월(68.8%) 이후 2년8개월 만에 최저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16년 6월 75.1%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이후 아파트값이 꿈틀대기 시작하면서 감소세로 돌아서더니 올해 1월(69.3%) 처음으로 70%의 벽이 무너지더니 점점 낙폭이 커지고 있다. 아파트값이 계속 급등 행진을 거듭하면서 상대적으로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
한국감정원 통계에서도 2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이 69.3%를 기록, 2015년 10월(70.0%) 이후 처음 70% 밑으로 떨어졌다.
특히 아파트값 폭등을 주도하고 있는 강남권의 전세가율은 50%대로 급락, 거품이 극심한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강남구는 53.3%로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전세가율이 가장 낮았고 서초(55.9%)·송파구(57.6%) 등 강남 3구와 용산구(56.7%)도 50%대에 그쳤다.
이처럼 전세가율이 낮아지면서 월세 수요도 크게 줄어, 한때 40% 가까이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최근 들어 20%대로 급락했다.
2월 서울 전월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1만7천583건으로 작년 3월(1만7천809건) 이후 가장 많았으나 이 가운데 월세 아파트는 5천189건으로 전체의 29.5%에 그쳤다. 나머지 70.5%는 전세 거래였다.
부동산전문가들은 적정 전세가율을 70%로 본다. 전세가율이 그 아래로 급락하면 그만큼 아파트값이 거품이 많이 끼어있다는 의미로, 거품 파열이 임박했다는 징후로 받아들인다.
특히 올해는 미연준의 4차례 금리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져 한미간 금리역전을 우려한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2월에만 국내에서 3조원이상 빠저나가는 등 금융시장 불안이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국내금리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다가 트럼프 미국정부의 무역전쟁 선포로 그나마 우리경제를 견인해온 수출마저 어려움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실물경제 불안도 커지고 있다.
한때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부산은 28주 연속으로 아파트값이 하락하는 등 서울과 세종시를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는 이미 거품이 빠지면서 역전세난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반면에 전국 투기자금이 "가자 서울로!"라고 외치며 서울로 몰려들면서 마지막 투기판이 벌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거품이 터진 일본의 경우 요즘 실물경제가 완연한 활황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800만채의 빈집이 생겨난 상태다. 일본보다 더 극심한 세계 최악의 저출산 고령화로 지난해부터 생산인구가 마이너스로 줄어들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아직도 서울에서 '부동산 불패신화'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MB집권초인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 유럽 등 세계의 부동산거품은 30%이상 크게 빠지며 조정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MB정권때 강만수 경제팀은 무차별적 자금 살포로 부동산거품이 빠지는 것을 막았다.
그후 박근혜 정권때는 최경환 경제팀이 각종 부동산규제 완화와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의 초저금리 정책이 맞물려 가계부채를 눈덩이처럼 키우더니, 급기야 현정부 출범후 재앙적 강남발 부동산투기가 재연되기에 이르렀다.
정부는 이에 재건축 규제 강화 방침을 밝혔으나 재건축 주민들의 저항이 거세지자 4일 '주차장 부족' 등의 사유가 있을 때는 예외를 두기로 하는 등, 한걸음 물러서는 모양새다.
경제전문가들은 경제 최대 적폐로 수십년간 쌓여온 부동산 거품을 꼽는다. 만성적 내수침체, 세계 최악의 저출산, 도쿄보다 비싸진 물가 등 만악은 '지대(地代)'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거품이 이제 시장의 법칙에 따라 파열 징후를 나타내기 시작한만큼 우리도 혹독한 가격 조정의 시련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5일 KB국민은행의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평균 68.5%를 기록하며 70% 아래로 추락했다. 2015년 5월(68.8%) 이후 2년8개월 만에 최저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16년 6월 75.1%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이후 아파트값이 꿈틀대기 시작하면서 감소세로 돌아서더니 올해 1월(69.3%) 처음으로 70%의 벽이 무너지더니 점점 낙폭이 커지고 있다. 아파트값이 계속 급등 행진을 거듭하면서 상대적으로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
한국감정원 통계에서도 2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이 69.3%를 기록, 2015년 10월(70.0%) 이후 처음 70% 밑으로 떨어졌다.
특히 아파트값 폭등을 주도하고 있는 강남권의 전세가율은 50%대로 급락, 거품이 극심한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강남구는 53.3%로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전세가율이 가장 낮았고 서초(55.9%)·송파구(57.6%) 등 강남 3구와 용산구(56.7%)도 50%대에 그쳤다.
이처럼 전세가율이 낮아지면서 월세 수요도 크게 줄어, 한때 40% 가까이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최근 들어 20%대로 급락했다.
2월 서울 전월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1만7천583건으로 작년 3월(1만7천809건) 이후 가장 많았으나 이 가운데 월세 아파트는 5천189건으로 전체의 29.5%에 그쳤다. 나머지 70.5%는 전세 거래였다.
부동산전문가들은 적정 전세가율을 70%로 본다. 전세가율이 그 아래로 급락하면 그만큼 아파트값이 거품이 많이 끼어있다는 의미로, 거품 파열이 임박했다는 징후로 받아들인다.
특히 올해는 미연준의 4차례 금리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져 한미간 금리역전을 우려한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2월에만 국내에서 3조원이상 빠저나가는 등 금융시장 불안이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국내금리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다가 트럼프 미국정부의 무역전쟁 선포로 그나마 우리경제를 견인해온 수출마저 어려움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실물경제 불안도 커지고 있다.
한때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부산은 28주 연속으로 아파트값이 하락하는 등 서울과 세종시를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는 이미 거품이 빠지면서 역전세난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반면에 전국 투기자금이 "가자 서울로!"라고 외치며 서울로 몰려들면서 마지막 투기판이 벌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거품이 터진 일본의 경우 요즘 실물경제가 완연한 활황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800만채의 빈집이 생겨난 상태다. 일본보다 더 극심한 세계 최악의 저출산 고령화로 지난해부터 생산인구가 마이너스로 줄어들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아직도 서울에서 '부동산 불패신화'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MB집권초인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 유럽 등 세계의 부동산거품은 30%이상 크게 빠지며 조정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MB정권때 강만수 경제팀은 무차별적 자금 살포로 부동산거품이 빠지는 것을 막았다.
그후 박근혜 정권때는 최경환 경제팀이 각종 부동산규제 완화와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의 초저금리 정책이 맞물려 가계부채를 눈덩이처럼 키우더니, 급기야 현정부 출범후 재앙적 강남발 부동산투기가 재연되기에 이르렀다.
정부는 이에 재건축 규제 강화 방침을 밝혔으나 재건축 주민들의 저항이 거세지자 4일 '주차장 부족' 등의 사유가 있을 때는 예외를 두기로 하는 등, 한걸음 물러서는 모양새다.
경제전문가들은 경제 최대 적폐로 수십년간 쌓여온 부동산 거품을 꼽는다. 만성적 내수침체, 세계 최악의 저출산, 도쿄보다 비싸진 물가 등 만악은 '지대(地代)'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거품이 이제 시장의 법칙에 따라 파열 징후를 나타내기 시작한만큼 우리도 혹독한 가격 조정의 시련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