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시절 ‘묻지마 개발’ 부작용
준공 후 미분양만 8000호 넘어서
청약 ‘0’ 속출…‘할인’도 안통해
준공 후 미분양만 8000호 넘어서
청약 ‘0’ 속출…‘할인’도 안통해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다 짓고도 주인을 들이지 못한 아파트가 급증하고 있다. 입주물량 증가와 금리인상, 인구유출 등 요인도 다양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충분한 수요조사 없이 무작정 지어진 게 근본원인이다.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지방 중소도시(수도권, 광역시, 세종시 제외)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440호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4187호에 불과했지만, 1년 사이에 두 배로 불어났다. 통상 아파트는 청약시 미분양이 생길 수 있어도 공사기간 대부분 팔리기 때문에 준공 후까지도 남아 있는 물량은 악성으로 꼽힌다.
지방 중소도시의 미분양 물량이 8000호를 넘어선 것은 5년여만이다. 2010년대 초반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내 부동산 시장이 동반 침체하면서 2만 가구를 웃돌던 것이 꾸준히 줄어 2012년 8000호 아래로 떨어졌다.
당시와 현재의 가장 큰 차이는 양극화 장세가 심각하다는 점이다. 2012년에는 전국의 부동산 경기가 침체했기 때문에 지방 중소도시의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의 3분의1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서울도 1000여호의 준공 후 미분양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지방 중소도시의 미분양 물량이 전국의 72%나 된다.
지방의 미분양 물량이 이처럼 늘어난 것은 지난 몇 년간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 등 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공급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방 주택 경기 붐으로 2015년(25.3만 가구), 2016년(23.6만 가구) 많은 아파트들이 분양했는데, 이들이 차차 ‘준공 후 미분양’으로 집계된 것이다.
문제는 공급 과잉에 브레이크가 작동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2분기 지방 중소도시에서 분양됐거나 분양을 앞둔 아파트는 3만104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약 20% 증가한 규모다.
1분기에 분양한 물량들은 이미 참담한 성적을 거뒀다.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1분기 지방 중소도시에서 분양한 34개 사업장 중에 미달은 면한 곳은 고작 셋 중 하나 꼴인 12곳에 불과하다. 아예 사람이 없는 ‘청약 제로(0) 단지’도 속출하고 있다. 중도금 무이자나 후불제로 초기 자금 부담을 줄이는 일은 예사고, 할인 분양에 나선 곳들도 하나둘 나오고 있다. 아예 몇년간 임대를 놓고 버티자는 사업장도 생겨나는 중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정비사업이라던지, 사용시점이 도래한 곳은 불가피하게 사업을 진행해야 해서 분양을 마냥 미루는 것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누적된 공급 물량이 많은데다, 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이 중첩돼 지방 부동산 시장은 한동안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성훈 기자/paq@heraldcorp.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