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Monday, December 5, 2011

"정수장학회, 부산일보서 이익 빼가기만 할 뿐"

노동조합의 편집권 독립 요구 사태로 23년 만에 발행중단 사태까지 맞은 <부산일보>의 노사갈등이 새 국면을 맞고 있다. 5일 오전 김종렬 사장은 정수장학회에 사표를 제출했고, 재단은 곧바로 긴급이사회를 열어 향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부산일보 노조에 따르면, 김 사장은 사내 온라인 게시판퇴임의 변으로 "나는 노조에 끌려다녔지만, 다음 사장은 담대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남겼다.

이번 사태의
배경에는 결국 박근혜 한나라당 의원과 정수장학회가 자리 잡고 있다. 당장 이날 <부산일보>는 이호진 부산일보 노조위원장과의 인터뷰 기사를 게재했다. 이 위원장은 이 인터뷰에서 "2005년 3월 최필립 정수재단(정수장학회) 이사장이 취임 직후 노조와 가진 면담 자리에서 '박근혜 전 대표로부터 전화가 와서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맡아 달라고 부탁을 해 맡게 됐다'며 이사장 선임 배경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정수장학회와 자신의 연관성을
부인한 말과 달리, 박 의원은 여전히 실질적으로 정수장학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 위원장은 5일 <프레시안>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결국 정수장학회와 박 의원의 관계가 <부산일보> 논조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사측이 지속적으로 편집국과 각을 세우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부산일보 노조는 정수장학회의 사장임명 과정에 노조도 참여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편집권 독립을 위해서는 당연한 일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노조는 "정수장학회가 끝장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 위원장과의 인터뷰
전문. <편집자>
"정수장학회, 여전히 박 전 대표가 지배"

▲이호진 부산일보 노동조합위원장. ⓒ부산일보 노조 제공
프레시안 : 2005년 3월 최필립 정수재단 이사장이 취임 직후 노조와 면담 자리에서 '박 전 대표의 요청으로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맡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자세한 정황을 설명해 달라. 최 이사장의 어떤 언행을 근거로 정수장학회가 여전히 박 전 대표의 지배하에 있다고 판단한 건가?
이호진 : 최 이사장 임명 직전인 같은 해 2월 박 의원이 정수장학회 주총에서 사임했고, 새 이사장 선임 과정에서 남덕우 전 총리 등 3, 4 공화국 인물이 물망에 오르내렸다. 이에 노조가 긴장하고 있었는데, 결국 선임된 인물은 최필립 이사장이었다. 나중에 보니 이 분도 청와대에서 박 전 대표와 관계가 있었던 인물이었다. 박 전 대표가 표면적으로는 정수장학회에서 물러났으나, 여전히 의구심을 지우긴 힘든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노조가 서울로 올라가 새 이사장과 면담을 요청했다. 당시부터 이미 부산일보 노조는 정수장학회의 사장선임제도를 바꿔야 한다는 고민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여러번 만났다.

5일자 <부산일보>에 보도된 최 이사장과의 면담 때 그는 주로 자기가 살아온 얘기를 죽 늘어놓더라. 이 과정에서 박 전 대표와의 인연도 나왔다(이날 <부산일보>에 따르면, 최 이사장은 지난달 15일 노조와의 면담 자리에서도 '부산일보가 행여라도 노조의 강성 투쟁으로 문을 닫게 되면 내가 박정희 대통령을 뵐 면목이 없지 않겠느냐', '부산일보가 박 전 대표에게 잘 해 준 게 뭐 있느냐'는 얘기를 했다. 실제로 최 이사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 당시 박근혜 전 대표를 보좌했던 경력이 있으며, 박 전 대표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편집자>).

프레시안 : 그 밖에 박근혜 전 대표와 정수장학회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다른 사례는 없나?

이호진 : 정수장학회 사무실에 가 보면 안다. 이사장실 벽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사진이 걸려 있고, 책상에는 최 이사장 선임 이후 이사회에 박 전 대표가 찾아와 인사를 나누는 사진도 있다. 이 기사가 나가고 나면 바로 치우겠지만.

"<부산일보> 논설, 박 전 대표에 편향되기도"

프레시안 :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지배구조가 <부산일보> 논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나?
이호진 : 경영진 선임권을 정수장학회가 갖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편집권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통상 자리 욕심을 가진 분들은 편집국장을 거치고 난 후 경영진을 노리지 않나. 부산일보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편집국장 재임 기간에 기사에 대해 의견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다만 <부산일보>는 기자들이 2년 임기 편집국장을 선출하고, 1년이 지난 후에는 중간평가를 거치기 때문에 곧바로 일선 기자들에 대한 압력을 행사하진 않는 편이다.

오히려 편집국장에서 물러난 후 논설실로 이동해 박 전 대표를 무리하게 옹호하는 글을 쓰는 경우가 있다. 부산지역 민언련에서 하는 얘기가, 특정 선거 이슈가 있을 때 <부산일보> 사설이 박 전 대표나 한나라당에 대해서는 중심을 잃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내부 공정보도위원회가 일선 기자와 달리 논설실 선배들에게 강한 대응을 하기 어려운 면이 있기도 하다.

프레시안 : 그 밖에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는 없나?
이호진 : 일선 기자들의 취재활동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자들의 견제 장치가 잘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경영진이 단협할 때 편집국장 선출제도를 임명제로 바꾸자고 계속 요구한다. 평상시에도 경영진이 이 문제를 물고 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프레시안 : 경영진은 부산일보 취재방향에 어떤 입장을 가졌나? 경영진과 노조, 혹은 편집국 간 갈등이 심했나?
이호진 : 먼저 김종렬 사장만 놓고 보면, 노조가 김종렬 개인을 반대한 건 아니다. 정수장학회가 노조와 상의 없이 경영진을 임명한 데 대해 반대한 것이다.

김 사장이 취임 이후 노조와 4개항 정도의 합의문을 썼고, 노조도 이에 동의해 쟁의행위와 농성을 일단락 지었었다. 가장 중요한 내용이 사장선임방식에 사원의사가 반영되도록 정수장학회에 적극 건의하겠다는 것이었다. 당시 김 사장은 '사장직을 걸겠다'고까지 했다.

그런데 이후 임기 3년 동안 이 합의사항을 깡그리 무시했다. 이후 2009년 노사 합의를 통해 경영발전협의회를 만들어, 그 틀에서 사장 선임을 합의하자고 했으나, 역시 비타협적으로 나왔다. 도저히 신뢰가 가지 않는 경영진이었다.

그런데도 재단은 김 사장을 감쌌다. 지난달 15일 최종적으로 이사장을 만났을 때도 '그만한 사람 없다'고 신뢰하더라. 오히려 문제를 제기하는 나를 힐난하는 듯 보였다.

프레시안 : 그래서 노조가 정수장학회의 사장임명권 반환을 요구한 건가?

이호진 : 그렇다.


MBC와 부산일보에서 28억 원 기부받은 정수장학회가…


프레시안 : 조금 고약한 질문인데, 지금 언론환경을 보면 종편의 등장으로 지역언론의 경영환경이 더 불투명해졌다. 그런데 부산일보에는 박 전 대표라는 든든한 지원군이 있는 셈 아닌가?

이호진 : 일부 이런 얘기를 하는 사람이 있다. 그런데 부산일보가 1962년 당시 5.16장학회(현 정수장학회)에 넘어간 이후, 그쪽에서 부산일보의 사업에 지원한 적이 없다. 오히려 김 사장 재임기간 내내 부산일보는 적자였다. 경영사정이 안 좋았는데도 부산일보는 해마다 정수장학회에 8억 원씩 기부금을 냈다. 정수장학회 정관상 부산일보가 수익기관이니, 사실상 이익배당이다. (정수장학회가 지분 30%를 보유한) MBC도 마찬가지다. MBC는 해마다 20억 원씩 기부금을 낸다. 3000억 원 매출을 내는 MBC는 20억 원 내고, 400억 원 매출을 올리는 부산일보는 8억 원을 내니 우리의 부담이 더 크다.

그런데 지난 4월 현재 정수장학회는 올해 21억5000만 원의 장학금을 썼다. 두 언론사에서 28억 원을 걷었는데 이마저도 다 쓰지 않았다. 자신들 예금재산은 200억 원 가까이 쌓아두고 한 푼도 장학금에 안 쓴다. 사실상 재단 이름을 빙자해 자신들 집안 재산을 세금 내지 않고 물려주는 것으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이런 재단이 어디 있나?

프레시안 : 경영진과의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향후 노조의 대응방안은 무엇인가?

이호진 : 일단 김종렬 사장이 오늘 오전 사임의사를 밝혔고 사표도 제출했다. 정수장학회가 긴급 이사회를 여는 것으로 안다. 그런데 김 사장이 물러나지만, 앞으로도 정수장학회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김 사장이 사내 게시판에 '나는 노조에 끌려다녔지만, 후임 사장은 담대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썼더라.

더 강공 드라이브로 나온다면 정수장학회 자체가 끝장나는 수가 있다. 오늘 11시 부산지역 시민단체와 노동계, 정당의 공동모임인 민생민주부산시민행동의 기자회견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이 정도의 지지라면 부산일보의 편집권 독립은 가능하다고 본다.

사실 우리의 요구는 단순하다. 우리는 언론사니까, 언론으로서 독립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만 마련해달라는 것이다. 우리가 직접 사장을 뽑겠다는 것도 아니고, 정수장학회가 사장을 임명할 때 우리가 압축한 후보군에서 선발해달라는 것이다.
 

/이대희 기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