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Tuesday, January 30, 2018

네이버 “알고리즘해도 뉴스 공정성 담보 못 해”...“뉴스에서 아예 손떼라”

“뉴스 편집을 알고리즘이 하더라도 100% 객관성과 중립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를 겸허히 받아들인다.”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총괄하는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지식정보서포트부문 전무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포털뉴스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의 첫 발표자로 나서 이렇게 말했다. 

유 전무는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현황과 개선 방향을 밝히면서 뉴스 편집 공정성 담보의 한 방안으로 알고리즘 편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년 1분기 내로 뉴스 편집 알고리즘을 외부에서 검증할 수 있는 ‘알고리즘 검증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공론화 포럼도 열어 기사 배열의 공정성에 관한 외부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참석자 다수는 “포털이 아예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이전에 문제의 근원을 없애는 게 지름길이라는 뜻이다.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포털뉴스 공정성 토론회에서 문철수 한신대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교수(오른쪽 두 번째)가 사회를 맡아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병선 카카오 부사장(왼쪽), 유봉석 네이버 전무(왼쪽 두번째)가 이날 토론회 발제자로 참여했다.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포털뉴스 공정성 토론회에서 문철수 한신대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교수(오른쪽 두 번째)가 사회를 맡아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병선 카카오 부사장(왼쪽), 유봉석 네이버 전무(왼쪽 두번째)가 이날 토론회 발제자로 참여했다.


close
네이버는 이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의 등락 히스토리를 30초 단위로 공개하고 댓글 순위를 산정하는 방식을 공감수에서 비공감수를 빼는 걸로 바꾸는 등 공정성 시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들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유 전무는 또 “한성숙 대표이사 직속의 운영혁신 프로젝트 산하에 뉴스배열혁신TF(테스크포스), 뉴스알고리즘 혁신TF·실시간급상승검색어혁신TF를 구성했다”며 “뉴스 서비스의 공론화 과정을 통해 외부 의견을 모으고 함께 검증할 수 있는 위원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포털 서비스인 다음은 뉴스 편집에 인공지능과 알고리즘 도입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는 현재 사람이 편집하는 영역이 20% 정도인 모바일 메인 뉴스판을 향후 이런 방식의 인공지능 추천과 외부 편집으로 100%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자동화 기반의 주요 뉴스 제공은 현재 실험 중이나 정제되지 않은 제목이 노출될 수 있어 알고리즘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포털 뉴스의 알고리즘 편집에 대해서는 토론회 참여자 대다수가 공정성을 담보하기에는 불확실한 방법이라는 의견을 냈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알고리즘 중심 편집으로 전환하는 것이 세계적 흐름이긴 하나 알고리즘이 사람보다 나은 도구인가에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오히려 알고리즘에서 기계적 편향이 지속적으로 발견되면서 사람이 개입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한석현 서울 YMCA 시민중계실 팀장도 “기계가 공정성 논란을 스톱시킬 순 없다”며 “알고리즘은 논란이 될 때마다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지만 그 대안으로 사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뉴스 편집의 공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했다.

특히 포털이 아예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포털이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고 구글처럼 아웃링크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요구했다. 손 교수는 “언론사가 상당히 많아지고 정보량이 많아졌지만 역설적으로 한국의 언론 질은 갈수록 떨어지고 다양성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며 “포털의 등장으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그게 질서가 됐다”는 의견을 냈다.

뉴스 서비스 중단도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왔다. 한석현 팀장은 “공정성 논란에 알고리즘이라는 대안을 내놓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대신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계속 해야 하나라는 근본적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병선 카카오 부사장은 네이버가 공정성 논란에 대응하면서 편집권한을 인공지능과 사용자에게 넘기는 과정이 오히려 공정성 논란을 키웠다고 주장했다. 

이 부사장은 “우린 네이버와 생각이 조금 다르다”며 “네이버가 뉴스스탠드를 시행하고 서울대와 ‘팩트체크’를 하는 것이 편집권을 축소·포기하는 과정인데 그러면서 더 포털 뉴스를 둘러싼 공정성 논란이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왜 다음은 뉴스캐스트로 안 가느냐 질문을 수없이 받았는데 우린 그것이 해결방식이라고 생각 안 한다”며 “미디어를 운영하는 한 책임감을 갖고 공정하게 뉴스를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부사장은 뉴스 소비가 포털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 기반한 추천 기반으로 넘어가고 있다며 개인화·맞춤형 뉴스 소비를 포털 뉴스의 공정성 논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들었다. 현재 네이버와 다음은 뉴스 홈의 개인화 영역에 각각 ‘에어스’(AiRS)와 ‘루빅스’(RUBICS)로 불리는 자동 추천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이 부사장은 “뉴스 콘텐츠가 적용된 웹페이지의 광고수익 중 대행사 수수료(약 30%)를 제외한 순 매출액의 약 70% 정도를 언론사에 준다”며 “정기·비정기적으로 각 언론사에 제공하는 부가 콘텐츠 사업비까지 포함하면 미디어 서비스 수익을 넘어서는 금액을 매체에 지급한다”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카카오와 달리 개별 언론사와의 계약을 통해 콘텐츠 사용료를 정해 지급한다. 

그러나 정우현 한국신문협회 전략기획부장은 여전히 포털과 언론 사이의 계약 관계가 불공정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협회가 뉴스 적정 저작권료 조사를 한 결과 네이버와 카카오를 합쳐 4000억원이 넘어 현재보다 10배이상 많다”며 “포털은 이 연구 결과를 수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를 밝히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개별 언론이 거대 포털 앞에서 약자인 만큼 표준계약서를 통해 보상률 등 조건을 통일할 필요가 있다”며 “내년 초까지 신문협회와 양대 포털이 공동으로 적정 저작권료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해 그 결과에 따라 계약을 다시 하자”고 제안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이 발의한 ‘뉴노멀법’에서 포털 업체에서 방송통신발전기금을 걷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지적됐다. 정우현 부장은 “포털 매출의 일부를 방송통신기금으로 걷은 것은 포털 뉴스 생산을 90% 이상 신문이 담당한다는 점에서 불합리하다”며 “수익자 원칙에 따라 신문법을 개정해 언론진흥기금으로 이 부분을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부사장도 포털에 방발기금을 부담하도록 하는 것은 8년전 논의된 인터넷발전기금과 비교해 형식적 정합성이 없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진곤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국장과 최영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모두 포털의 뉴스편집자문위원회와 별개로 신문법을 개정해 제3자적 중립성이 보장되는 ‘이용자위원회’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자유한국당 송희경 의원실과 국민의당 오세정 의원실이 공동 주최했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원문보기: 
http://m.biz.khan.co.kr/view.html?artid=201712071058001&code=920501&med=#csidx0438c20b6e66d41b760b3f4d6172fe7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