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 친박인사인 홍기택 전 KDB금융그룹 회장 겸 산업은행장(64)이 수십조 국민세금만 탕진한 대우조선해양, STX 구조조정 실패가 최경환 당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 등 '친박실세들의 관치'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는 산은 자회사에 대한 낙하산 인사에 대해서도 "청와대 몫이 3분의 1, 금융당국이 3분의 1, 그리고 산은 몫이 3분의 1"이라고 폭로하기도 했다.
이같은 친박인사의 폭로는 각 부문에서 박근혜 정권의 레임덕이 봇물 터지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또하나의 반증으로, 일파만파의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8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홍 전 회장은 지난달 31일 중국 베이징에서 경향신문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의 '경제교사'로 불리던 '서강대' 인맥인 홍 전 회장은 박근혜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으로 활동하다 2013년 4월 KDB그룹 회장에 임명됐다. 이후 3년 가까이 산은을 이끌다 지난 2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부총재로 발탁돼 현재 베이징에 머물고 있다.
그는 조선업-해운업 구조조정 실패에 따른 '산업은행 책임론'에 대해선 “모든 게 투명했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다. 채권단에 전적으로 맡겨줬어야 했다"며 "그런데 당국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했다. (당국은) 모든 사안에 관여하면서도 방식은 (흔적이 남지 않게끔) 말로 지시했고, 이를 따르지 않으면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는 압력을 받았다"며 '정부 책임론'으로 맞받았다.
그는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지금은) 욕은 욕대로 먹고 있다. 안소니 퀸이 나오는 영화 <25시> 봤나. ‘게르만 민족의 표상’이라며 이용당하다 결국 전범재판에 서게 되는, 내가 지금 그 안소니 퀸 같다”며 자신이 희생양이라고 강변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이 산은장이 된 과정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 경제교사였다. 그렇지만 공식적인 자리 이외에 대통령을 뵌 적은 없다. 그런데 산업은행장으로 가라는 연락이 왔다. 안 한다고 하면 이 정부하고는 벽을 쌓는 꼴이 된다. 거절하는 게 누가 될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이렇게까지 나쁜 자리인지 몰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산은장은 금융계의 노른 자위로, MB정권때는 실세중 실세였던 강만수 전 기재부장관이 산은장을 맡았을 정도로 정권 실세들만 갈 수 있는 자리였다.
그는 자신이 산은장 시절에 행한 대우조선해양, STX조선 지원과 관련해서도 '윗선'의 책임임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이뤄진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4조2천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과 관련해선 “지난해 10월 중순 청와대 서별관회의에서 당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 임종룡 금융위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등으로부터 정부의 결정 내용을 전달받았다”며 친박 실세들의 실명을 열거했다.
그는 “당시 정부안에는 대우조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은과 최대 주주 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얼마씩 돈을 부담해야 하는지도 다 정해져 있었다"며 "시장원리가 끼어들 여지가 거의 없었으며 산업은행은 들러리 역할만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STX조선 지원에 대해서도 “STX조선과 팬오션 문제가 불거진 2013년에도 정부는 서별관회의에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파장이 크다’며 산은에 무조건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를 통해 떠안으라고 했다”며 “실사 결과 STX조선은 살리는 게 낫다는 결론이 나와 자율협약으로 갔지만 팬오션은 자율협약으로 가면 채권단이 2조원의 손실을 입을 상황이어서 우여곡절 끝에 법정관리로 방향을 틀었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은행 자회사의 최고경영자(CEO), 감사, 사외이사 등에 대한 낙하산 인사와 관련해서도 "청와대 몫이 3분의 1, 금융당국이 3분의 1, 그리고 산은 몫이 3분의 1이다. 산은은 업무 관련자를 보내지만 당국은 배려해 줄 사람을 보낸다. 이런 식으로 인사한 지는 꽤 됐다”로 폭로했다.
그는 그러면서 "오히려 대우조선 사장은 산업은행보다 더 큰 배경을 갖고 있었다. CEO에 대한 인사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주주 역할은 제한돼 있었다. 오히려 모 사장 때는 산업은행에서 파견된 감사를 잘랐다. 그런 상태에서 정확한 회계 부실을 감지할 수 있었겠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2015년 3월 대우조선 사장의 임기가 만료돼 이런저런 후보를 올렸다. 위쪽에서 특정 인물을 찍어 검증한다며 자료를 올리라고 하더라. 결과는 그 사람이 되지는 않았다. 이는 주요 인사는 우리가 결정하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도 “대우조선과 STX조선에 대한 지원은 문제가 없었다고 본다. 만약 지원을 하지 않았다면 파장은 더 컸을 수 있다"면서도 "STX조선은 회계법인 실사에서 청산가치보다 계속가치가 더 높았다. 당시 지원금으로 급한 회사채도 막고, 일정부분 구조조정도 가능했다. 돈 집어넣은 게 모두 공중에 뜬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STX조선은 이후 한 건도 수주하지 못했다. 이는 예상하지 못했다. 당시 지원하지 않았다면 우리 경제는 바로 위기가 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우조선, STX조선 등에 대한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 지원으로 국민혈세 수십조원이 탕진되게 됐음에도 불구하고 책임자들은 면피에 급급한 양상인 셈이다.
한편 홍 전 회장의 주장에 대해 최경환 전 부총리 측은 7일 “홍 전 회장의 일방적 주장으로 생각된다”면서 “대우조선해양 지원책은 산업은행과 금융위가 협의해 만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은 전화 연락이 닿지 않았으나, 청와대 관계자는 “회의에서 같이 모여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다. 청와대가 강요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반발했다
그는 산은 자회사에 대한 낙하산 인사에 대해서도 "청와대 몫이 3분의 1, 금융당국이 3분의 1, 그리고 산은 몫이 3분의 1"이라고 폭로하기도 했다.
이같은 친박인사의 폭로는 각 부문에서 박근혜 정권의 레임덕이 봇물 터지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또하나의 반증으로, 일파만파의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8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홍 전 회장은 지난달 31일 중국 베이징에서 경향신문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의 '경제교사'로 불리던 '서강대' 인맥인 홍 전 회장은 박근혜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으로 활동하다 2013년 4월 KDB그룹 회장에 임명됐다. 이후 3년 가까이 산은을 이끌다 지난 2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부총재로 발탁돼 현재 베이징에 머물고 있다.
그는 조선업-해운업 구조조정 실패에 따른 '산업은행 책임론'에 대해선 “모든 게 투명했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다. 채권단에 전적으로 맡겨줬어야 했다"며 "그런데 당국이 모든 것을 좌지우지했다. (당국은) 모든 사안에 관여하면서도 방식은 (흔적이 남지 않게끔) 말로 지시했고, 이를 따르지 않으면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는 압력을 받았다"며 '정부 책임론'으로 맞받았다.
그는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지금은) 욕은 욕대로 먹고 있다. 안소니 퀸이 나오는 영화 <25시> 봤나. ‘게르만 민족의 표상’이라며 이용당하다 결국 전범재판에 서게 되는, 내가 지금 그 안소니 퀸 같다”며 자신이 희생양이라고 강변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이 산은장이 된 과정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 경제교사였다. 그렇지만 공식적인 자리 이외에 대통령을 뵌 적은 없다. 그런데 산업은행장으로 가라는 연락이 왔다. 안 한다고 하면 이 정부하고는 벽을 쌓는 꼴이 된다. 거절하는 게 누가 될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이렇게까지 나쁜 자리인지 몰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산은장은 금융계의 노른 자위로, MB정권때는 실세중 실세였던 강만수 전 기재부장관이 산은장을 맡았을 정도로 정권 실세들만 갈 수 있는 자리였다.
그는 자신이 산은장 시절에 행한 대우조선해양, STX조선 지원과 관련해서도 '윗선'의 책임임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이뤄진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4조2천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과 관련해선 “지난해 10월 중순 청와대 서별관회의에서 당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 임종룡 금융위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등으로부터 정부의 결정 내용을 전달받았다”며 친박 실세들의 실명을 열거했다.
그는 “당시 정부안에는 대우조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은과 최대 주주 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얼마씩 돈을 부담해야 하는지도 다 정해져 있었다"며 "시장원리가 끼어들 여지가 거의 없었으며 산업은행은 들러리 역할만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STX조선 지원에 대해서도 “STX조선과 팬오션 문제가 불거진 2013년에도 정부는 서별관회의에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파장이 크다’며 산은에 무조건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를 통해 떠안으라고 했다”며 “실사 결과 STX조선은 살리는 게 낫다는 결론이 나와 자율협약으로 갔지만 팬오션은 자율협약으로 가면 채권단이 2조원의 손실을 입을 상황이어서 우여곡절 끝에 법정관리로 방향을 틀었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은행 자회사의 최고경영자(CEO), 감사, 사외이사 등에 대한 낙하산 인사와 관련해서도 "청와대 몫이 3분의 1, 금융당국이 3분의 1, 그리고 산은 몫이 3분의 1이다. 산은은 업무 관련자를 보내지만 당국은 배려해 줄 사람을 보낸다. 이런 식으로 인사한 지는 꽤 됐다”로 폭로했다.
그는 그러면서 "오히려 대우조선 사장은 산업은행보다 더 큰 배경을 갖고 있었다. CEO에 대한 인사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주주 역할은 제한돼 있었다. 오히려 모 사장 때는 산업은행에서 파견된 감사를 잘랐다. 그런 상태에서 정확한 회계 부실을 감지할 수 있었겠는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2015년 3월 대우조선 사장의 임기가 만료돼 이런저런 후보를 올렸다. 위쪽에서 특정 인물을 찍어 검증한다며 자료를 올리라고 하더라. 결과는 그 사람이 되지는 않았다. 이는 주요 인사는 우리가 결정하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도 “대우조선과 STX조선에 대한 지원은 문제가 없었다고 본다. 만약 지원을 하지 않았다면 파장은 더 컸을 수 있다"면서도 "STX조선은 회계법인 실사에서 청산가치보다 계속가치가 더 높았다. 당시 지원금으로 급한 회사채도 막고, 일정부분 구조조정도 가능했다. 돈 집어넣은 게 모두 공중에 뜬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STX조선은 이후 한 건도 수주하지 못했다. 이는 예상하지 못했다. 당시 지원하지 않았다면 우리 경제는 바로 위기가 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우조선, STX조선 등에 대한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 지원으로 국민혈세 수십조원이 탕진되게 됐음에도 불구하고 책임자들은 면피에 급급한 양상인 셈이다.
한편 홍 전 회장의 주장에 대해 최경환 전 부총리 측은 7일 “홍 전 회장의 일방적 주장으로 생각된다”면서 “대우조선해양 지원책은 산업은행과 금융위가 협의해 만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은 전화 연락이 닿지 않았으나, 청와대 관계자는 “회의에서 같이 모여 합의해서 결정한 것이다. 청와대가 강요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반발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