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홍보수석이었던 조기숙 이대 교수가 "모처럼 피해자 여성의 용기있는 폭로가 사이비 미투에 의해 오염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조기숙 교수는 11일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미투는 공인의 성적 추문이나 사생활을 폭로하는 게 목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에서 미투운동은 위력과 위계에 의한 반복적이고 상습적인 성폭행을 폭로하는 데에서 시작됐다. 상대의 권력이 너무 커 조용히 법적으로 해서는 이길 수 없기에 다수의 여성이 자신의 모든 것을 건 실명공개로 한 남성의 추행을 연대 고발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론재판을 하게 된 것"이라며 "그러나 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일회적인 성추행(으로 느꼈던 행위), 그것도 당시 권력이 없는 사람의 미수행위, 여러 여성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했던 것이 아니라 한 여성이 한 번 경험한 것은 미투의 본질과 거리가 멀다"고 강변했다.
그는 특히 "게다가 익명에 기대 증거나 논리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사생활을 폭로하는 건 정치를 시궁창에 처박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12일 올린 글을 통해서도 "피해자 여성은 얼마든지 일회성 성추행이라도 폭로할 수 있습니다"라면서 "하지만 익명으로 증거나 논리도 미약한 1회성 성추행(으로 보이는 행동)에 대한 폭로의 경우 언론은 보도에 신중을 기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은 조 교수 글 전문.
<지금은 미투를 오염시키는 언론을 경계할 때>
모처럼 피해자 여성의 용기있는 폭로가 사이비 미투에 의해 오염되기 시작했다. 미투는 공인의 성적 추문이나 사생활을 폭로하는 게 목적이 아니다.
미국에서 미투운동은 위력과 위계에 의한 반복적이고 상습적인 성폭행을 폭로하는 데에서 시작됐다. 상대의 권력이 너무 커 조용히 법적으로 해서는 이길 수 없기에 다수의 여성이 자신의 모든 것을 건 실명공개로 한 남성의 추행을 연대 고발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론재판을 하게 된 것이다. 법치국가에서 여론재판은 있어서는 안될 일이지만 이런 특별한 경우에 한해 효력을 발휘한 것이다.
그러나 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일회적인 성추행(으로 느꼈던 행위), 그것도 당시 권력이 없는 사람의 미수행위, 여러 여성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했던 것이 아니라 한 여성이 한 번 경험한 것은 미투의 본질과 거리가 멀다. Me only일 뿐이다. 게다가 익명에 기대 증거나 논리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사생활을 폭로하는 건 정치를 시궁창에 처박는 일이다. 미국 경제를 역대 최고의 호황으로 이끈 클린턴은 사생활이 도덕적이어서 훌륭한 대통령이었나?
위계와 위력에 의한 상습적 성범행만이 폭로에 의해 국민적 공감을 얻는 미투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일부 언론은 미투와 사이비 미투를 구분할 능력도 가지고 있지 못한 것 같다.
우리사회에 정작 미투가 필요한 곳은 지속적인 왜곡과 오보로 한 인간을 인격파탄으로 이끄는 일부 언론들이다. 자격 미달의 언론이 미투 운동을 좌지우지 하는 건 뭐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된 일이다. 언론에 대한 지속적 감시와 비판이 없으면 미투운동도 결국은 사이비미투로 오염되면서 사그라들까 두렵다.!
<제목으로 장난치는 일부 언론들, 부끄러운 줄 아세요!>
왜 민주주의 선진국에서 공인의 사생활에 대해 보도하지 않는지 아세요? 이렇게 선정적인 보도는 정작 국민들의 삶에 중요한 이슈를 덮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사생활이나 캐는 황색 언론이 따로 있지만 상식을 가진 사람들은 그런 언론은 보지도 않습니다. 미투를 가장한 사생활 폭로 언론에 대한 비판을 엉뚱한 제목으로 왜곡하는 언론이 바로 미투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피해자 여성은 얼마든지 일회성 성추행이라도 폭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익명으로 증거나 논리도 미약한 1회성 성추행(으로 보이는 행동)에 대한 폭로의 경우 언론은 보도에 신중을 기할 의무가 있다는 겁니다. 미투의 호응이 없는 경우는 언론이 증거와 정황을 충분히 검증한 후에 추가 보도를 해야겠지요. 한 언론이 보도했다고 다른 모든 언론이 이를 기정사실인 것처럼 보도하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미투를 내걸었다고 모든 허위보도가 용서되는 게 아니라는 말을 하는데 왜 "1회성 성추행은 괜찮다는 말이냐"는 질문이 나오죠? 독해에 어려움이 있는 분이 계신 것 같아 다시 말씀드립니다. 언론은 모처럼 여성 인권 회복을 지향하는 미투 운동에 찬물을 끼얹지 마십시오.
조기숙 교수는 11일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미투는 공인의 성적 추문이나 사생활을 폭로하는 게 목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에서 미투운동은 위력과 위계에 의한 반복적이고 상습적인 성폭행을 폭로하는 데에서 시작됐다. 상대의 권력이 너무 커 조용히 법적으로 해서는 이길 수 없기에 다수의 여성이 자신의 모든 것을 건 실명공개로 한 남성의 추행을 연대 고발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론재판을 하게 된 것"이라며 "그러나 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일회적인 성추행(으로 느꼈던 행위), 그것도 당시 권력이 없는 사람의 미수행위, 여러 여성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했던 것이 아니라 한 여성이 한 번 경험한 것은 미투의 본질과 거리가 멀다"고 강변했다.
그는 특히 "게다가 익명에 기대 증거나 논리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사생활을 폭로하는 건 정치를 시궁창에 처박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12일 올린 글을 통해서도 "피해자 여성은 얼마든지 일회성 성추행이라도 폭로할 수 있습니다"라면서 "하지만 익명으로 증거나 논리도 미약한 1회성 성추행(으로 보이는 행동)에 대한 폭로의 경우 언론은 보도에 신중을 기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은 조 교수 글 전문.
<지금은 미투를 오염시키는 언론을 경계할 때>
모처럼 피해자 여성의 용기있는 폭로가 사이비 미투에 의해 오염되기 시작했다. 미투는 공인의 성적 추문이나 사생활을 폭로하는 게 목적이 아니다.
미국에서 미투운동은 위력과 위계에 의한 반복적이고 상습적인 성폭행을 폭로하는 데에서 시작됐다. 상대의 권력이 너무 커 조용히 법적으로 해서는 이길 수 없기에 다수의 여성이 자신의 모든 것을 건 실명공개로 한 남성의 추행을 연대 고발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론재판을 하게 된 것이다. 법치국가에서 여론재판은 있어서는 안될 일이지만 이런 특별한 경우에 한해 효력을 발휘한 것이다.
그러나 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일회적인 성추행(으로 느꼈던 행위), 그것도 당시 권력이 없는 사람의 미수행위, 여러 여성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했던 것이 아니라 한 여성이 한 번 경험한 것은 미투의 본질과 거리가 멀다. Me only일 뿐이다. 게다가 익명에 기대 증거나 논리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사생활을 폭로하는 건 정치를 시궁창에 처박는 일이다. 미국 경제를 역대 최고의 호황으로 이끈 클린턴은 사생활이 도덕적이어서 훌륭한 대통령이었나?
위계와 위력에 의한 상습적 성범행만이 폭로에 의해 국민적 공감을 얻는 미투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일부 언론은 미투와 사이비 미투를 구분할 능력도 가지고 있지 못한 것 같다.
우리사회에 정작 미투가 필요한 곳은 지속적인 왜곡과 오보로 한 인간을 인격파탄으로 이끄는 일부 언론들이다. 자격 미달의 언론이 미투 운동을 좌지우지 하는 건 뭐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된 일이다. 언론에 대한 지속적 감시와 비판이 없으면 미투운동도 결국은 사이비미투로 오염되면서 사그라들까 두렵다.!
<제목으로 장난치는 일부 언론들, 부끄러운 줄 아세요!>
왜 민주주의 선진국에서 공인의 사생활에 대해 보도하지 않는지 아세요? 이렇게 선정적인 보도는 정작 국민들의 삶에 중요한 이슈를 덮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사생활이나 캐는 황색 언론이 따로 있지만 상식을 가진 사람들은 그런 언론은 보지도 않습니다. 미투를 가장한 사생활 폭로 언론에 대한 비판을 엉뚱한 제목으로 왜곡하는 언론이 바로 미투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피해자 여성은 얼마든지 일회성 성추행이라도 폭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익명으로 증거나 논리도 미약한 1회성 성추행(으로 보이는 행동)에 대한 폭로의 경우 언론은 보도에 신중을 기할 의무가 있다는 겁니다. 미투의 호응이 없는 경우는 언론이 증거와 정황을 충분히 검증한 후에 추가 보도를 해야겠지요. 한 언론이 보도했다고 다른 모든 언론이 이를 기정사실인 것처럼 보도하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미투를 내걸었다고 모든 허위보도가 용서되는 게 아니라는 말을 하는데 왜 "1회성 성추행은 괜찮다는 말이냐"는 질문이 나오죠? 독해에 어려움이 있는 분이 계신 것 같아 다시 말씀드립니다. 언론은 모처럼 여성 인권 회복을 지향하는 미투 운동에 찬물을 끼얹지 마십시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