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카김, 왜 오산 미군비행장 통해 입국?"
<주간한국> "한상률도 마찬가지. 미국의 힘과 전략 내재"
2011-11-04 11:14:24
한미FTA 찬반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한 주간지 기사가 트위터에서 급속 확산되고 있다.
<주간한국>이 지난달 21일자 커버스토리로 다룬 '꺼지지 않는 불씨, 다시 재현 조짐… MB 도곡동 땅의 진실은?'이란 제목의 기사다. 이 기사는 4일 한 트위터러가 "에리카 김과 한상률이 미국 비행기로 오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입국했다?"라는 글과 함께 해당 기사를 링크시키면서 트위터 리트윗 상위를 차지하는 등 급속 확산중이다.
<주간한국> 기사가 뒤늦게 트위터상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 관련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김경준 누나 에리카 김과 한상률 전 국세청장 귀국에 '미국정부'가 관여하고 있는 혐의가 있으며, 이것이 한미FTA 등 양국 현안에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의혹 때문이다.
<주간한국> 기사는 "이명박 대통령의 '땅' 문제가 시끄럽다. 퇴임 후 거주하기로 계획한 서울 서초구 내곡동 땅이 '의혹' 덩어리로 여론의 뭇매를 맞자 백지화 깃발을 흔들며 물러섰는데, 이번엔 '주홍글씨'처럼 남아있는 '도곡동 땅' 이 다시 꿈틀댈 조짐"이라며 "국내에서 마무리된 것으로 한시름 놓았던 문제가 미국 검찰의 관련 사건 수사로 인해 재현될 모습을 보이는 양상"이라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기사는 이어 "도곡동 땅 실소유주 논란은 당초 도곡동 땅 매각 대금의 일부가 이 대통령 일가가 운영하는 다스로 흘러 들어가고, 다스가 2000년 3월 이 대통령과 관련 있던 BBK에 190억원이라는 거금을 투자하면서 부각됐다"며 "다스는 2003년 미국에서 김경준 전 BBK투자자문 대표를 상대로 투자금 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김씨는 자신이 대표로 있던 옵셔널캐피털의 주주와의 소송에서 져서 미국 법원으로부터 '스위스 계좌에 있는 김경준씨의 돈은 누구도 인출해서는 안 된다'는 명령을 받은 상태였다"며 지난 대선 최대 쟁점이던 다스 의혹의 전개과정을 간략히 소개했다.
기사는 "상황이 급변한 것은 지난 2월 말 이 대통령의 도곡동 땅 의혹의 '키맨'인 한상률 전 청장의 귀국에 이어 BBK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경준 전 대표의 누나 에리카 김씨도 같은 시기 입국하면서부터. 에리카 김은 2007년 당시 김 전 대표와 함께 주가 조작 등을 통한 회사돈 횡령과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후보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수사를 받았으나 미국 시민권자인 탓에 그간 기소중지된 상태였다"며 "에리카 김은 입국 전인 2월1일 미국 법원의 명령을 어기면서, 돈을 돌려주지 않아도 무방한 다스에 140억원을 돌려주었다. 그리고 2월 말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그림 로비'를 한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한상률 전 국세청장 역시 법원으로부터 무죄를 선고받았다"며 세간의 의혹을 증폭시킨 에리카 김-한상률 솜방망이 처벌을 문제삼았다.
그러나 <주간한국> 기사 가운데 트위터러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대목이다.
"그러나 한상률 전 청장과 에리카 김이 묘한 시기에 거의 동시에 입국한 데에는 미국의 힘과 전략이 내재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입국이 국내 항공이 아닌 미국 비행기로, 오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입국한 것이 그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에리카 김의 '기소유예' 처분은 언제든 기소를 할 수 있고, 이 대통령의 아킬레스건을 또 다시 건드릴 수 있다는 위협시구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한상률 전 청장은 이 대통령의 도곡동 땅의 진실을 알고 있는 장본인 중 한 명으로 '무죄'라는 당근을 받았으나 MB에겐 '뇌관'과 같은 존재다."
에리카 김과 한상률이 '오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귀국했다는 사실은 처음으로 알려지는 사실이다. 오산 미군비행장은 미국 팬타곤 산하 군사시설로, 미국 대통령이나 장관 등이 방한할 때에나 이용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민간인인 에리카 김과 한상률이 실제로 오산 미군비행장을 이용했다면 미국 정부가 이들 사안에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주간한국>의 의혹 제기는 당연하다.
이 기사를 접한 트위터러들은 정부여당이 독소조항이 많은 한미FTA를 강행처리하려는 이면을 이 기사와 연관지어 해석하는 글들을 잇따라 올리고 있어, 파문이 급속 확산되는 양상이다.
<주간한국>이 지난달 21일자 커버스토리로 다룬 '꺼지지 않는 불씨, 다시 재현 조짐… MB 도곡동 땅의 진실은?'이란 제목의 기사다. 이 기사는 4일 한 트위터러가 "에리카 김과 한상률이 미국 비행기로 오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입국했다?"라는 글과 함께 해당 기사를 링크시키면서 트위터 리트윗 상위를 차지하는 등 급속 확산중이다.
<주간한국> 기사가 뒤늦게 트위터상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 관련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김경준 누나 에리카 김과 한상률 전 국세청장 귀국에 '미국정부'가 관여하고 있는 혐의가 있으며, 이것이 한미FTA 등 양국 현안에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의혹 때문이다.
<주간한국> 기사는 "이명박 대통령의 '땅' 문제가 시끄럽다. 퇴임 후 거주하기로 계획한 서울 서초구 내곡동 땅이 '의혹' 덩어리로 여론의 뭇매를 맞자 백지화 깃발을 흔들며 물러섰는데, 이번엔 '주홍글씨'처럼 남아있는 '도곡동 땅' 이 다시 꿈틀댈 조짐"이라며 "국내에서 마무리된 것으로 한시름 놓았던 문제가 미국 검찰의 관련 사건 수사로 인해 재현될 모습을 보이는 양상"이라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기사는 이어 "도곡동 땅 실소유주 논란은 당초 도곡동 땅 매각 대금의 일부가 이 대통령 일가가 운영하는 다스로 흘러 들어가고, 다스가 2000년 3월 이 대통령과 관련 있던 BBK에 190억원이라는 거금을 투자하면서 부각됐다"며 "다스는 2003년 미국에서 김경준 전 BBK투자자문 대표를 상대로 투자금 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김씨는 자신이 대표로 있던 옵셔널캐피털의 주주와의 소송에서 져서 미국 법원으로부터 '스위스 계좌에 있는 김경준씨의 돈은 누구도 인출해서는 안 된다'는 명령을 받은 상태였다"며 지난 대선 최대 쟁점이던 다스 의혹의 전개과정을 간략히 소개했다.
기사는 "상황이 급변한 것은 지난 2월 말 이 대통령의 도곡동 땅 의혹의 '키맨'인 한상률 전 청장의 귀국에 이어 BBK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경준 전 대표의 누나 에리카 김씨도 같은 시기 입국하면서부터. 에리카 김은 2007년 당시 김 전 대표와 함께 주가 조작 등을 통한 회사돈 횡령과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후보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수사를 받았으나 미국 시민권자인 탓에 그간 기소중지된 상태였다"며 "에리카 김은 입국 전인 2월1일 미국 법원의 명령을 어기면서, 돈을 돌려주지 않아도 무방한 다스에 140억원을 돌려주었다. 그리고 2월 말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그림 로비'를 한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한상률 전 국세청장 역시 법원으로부터 무죄를 선고받았다"며 세간의 의혹을 증폭시킨 에리카 김-한상률 솜방망이 처벌을 문제삼았다.
그러나 <주간한국> 기사 가운데 트위터러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대목이다.
"그러나 한상률 전 청장과 에리카 김이 묘한 시기에 거의 동시에 입국한 데에는 미국의 힘과 전략이 내재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입국이 국내 항공이 아닌 미국 비행기로, 오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입국한 것이 그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에리카 김의 '기소유예' 처분은 언제든 기소를 할 수 있고, 이 대통령의 아킬레스건을 또 다시 건드릴 수 있다는 위협시구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한상률 전 청장은 이 대통령의 도곡동 땅의 진실을 알고 있는 장본인 중 한 명으로 '무죄'라는 당근을 받았으나 MB에겐 '뇌관'과 같은 존재다."
에리카 김과 한상률이 '오산 미군비행장'을 통해 귀국했다는 사실은 처음으로 알려지는 사실이다. 오산 미군비행장은 미국 팬타곤 산하 군사시설로, 미국 대통령이나 장관 등이 방한할 때에나 이용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민간인인 에리카 김과 한상률이 실제로 오산 미군비행장을 이용했다면 미국 정부가 이들 사안에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주간한국>의 의혹 제기는 당연하다.
이 기사를 접한 트위터러들은 정부여당이 독소조항이 많은 한미FTA를 강행처리하려는 이면을 이 기사와 연관지어 해석하는 글들을 잇따라 올리고 있어, 파문이 급속 확산되는 양상이다.
박태견 기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