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Wednesday, November 2, 2011

‘한명숙의 눈물’, 여전히 뻔뻔한 언론

“노무현 대통령님께 참배하고 그의 작은 비석에 두 손 얹었어요. 차가운 느낌이 그분이 겪었을 고통의 무게로 다가와 눈물을 참을 수 없었습니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는 2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한 뒤 ‘트위터’에 이러한 글을 남겼다. 한명숙 전 총리는 그곳에서 권양숙 여사를 만났다. ‘눈물의 포옹’을 나눴다. 한명숙 전 총리는 말없이 눈물을 흘렸다. 눈물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2009년 12월 4일 조선일보 1면 머리기사는 끝 모를 터널의 시작점이었다. 당시 기사 제목은 <“한명숙 전 총리에 수만불”>이었다. 그로부터 1년 11개월 동안 한명숙 전 총리는 언론의 칼날에 베이고 찢어지고 상처 났다.

언론은 칼날을 마구 휘둘렀다. 진실을 추구하고 사실을 전달하라고 국민이 쥐어준 칼날이었지만, 언론은 살아있는 권력을 대변하고자 마음껏 칼춤을 췄다. 진실도 사실도 뒷전이었다. 칼춤에 누군가는 피를 흘렸고, 상처를 닦기도 전에 다시 베였지만, 언론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범죄자’를 향한 단죄라고 판단했을까. 그
‘범죄자’라는 판단은 누가 하는가. 언론이 하는가. 언론이 판사인가. 언론은 자신들의 칼춤이 무고한 사람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마구 칼날을 휘둘렀다.
  
한명숙(사진 오른쪽) 전 국무총리와 권양숙 여사. ©사진출처-노무현재단
쾌감을 느꼈는지도 모른다. “내가 ‘단독보도’를 했어. 내 기사를 다른 언론이 받았어.” 단독보도의 유혹 속에 모두들 칼춤 경쟁에 뛰어들었다. 언론은 피가 뚝뚝 떨어지는 그 칼춤 경쟁에 앞서 ‘왜 한명숙일까’라는 물음을 던졌어야 했다.

한명숙, 그는 누구인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과 언론의 ‘칼춤’ 속에 세상을 떠났던 2009년 5월 23일 이후 살아남은 이들 가운데 참여정부를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졌던 주인공 아닌가. 참여정부 국무총리를 지냈고, 노무현재단 이사장이었던 한명숙 전 총리는 ‘정치검찰’과 ‘보수언론’이 주도한 두 번째 칼춤의  대상이 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그랬던 것처럼 한명숙 전 총리도 홍수처럼 쏟아졌던 추측성 기사들 때문에 몸과 마음은 무너져 내렸다. 평생 쌓아 올렸던 청렴한 이미지는 한 순간에 난도질당했다. 언론은 2009년 12월 4일 이후 자신들이 휘갈겼던 ‘칼날의 발자취’를 복기해봐야 한다.
한명숙 전 총리가 자신들이 주장했던 그 범죄자가 아니라면, 자신들의 그 발자취는 부끄러운 언론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역사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정치검찰과 도우미 언론들의 행위, 바로 그 본질이다.

살아 있는 권력의 입맛에 부응하고자 '정적'을 물어뜯는 그 행태 말이다. 그 대가는 달콤했을까. 언론에 정보를 흘린 검찰의 누군가는 ‘승진’이라는 떡고물을 챙겼는지 모른다. 그 확성기를 자처한 언론은 ‘정부 광고’라는 짭짤한 부수입을 얻었는지도 모른다.

칼춤의 대가는 달콤했는지 모르지만, 언론의 본분을 잃은 행동이라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한다. 검찰 주장과 검찰 쪽 증인 주장을 사실 관계와 무관하게 기사 제목으로 뽑아 열심히 확대재생산에 나섰고, ‘인격살인’을 시도했던 그들의 행위는 책임져야 할 대목이다.

한명숙 전 총리는 검찰이 총력을 기울여 파헤쳤던, 자존심을 걸고 수사에 나섰던 '곽영욱 사건' '한만호 사건' 모두 무죄를 받았다. 2010년 4월 9일 한명숙 전 총리는 ‘곽영욱 사건’에 대해 법원에서 무죄를 선고 받았다. 같은 날 ‘별건수사’ 논란 속에 시작됐던 ‘한만호 사건’ 역시 2011년 10월 31일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언론은 1년 11개월 동안 한명숙 전 총리에게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어 놓고서는 막상 ‘무죄’로 결론이 나자 조용히 넘어가려 하고 있다. ‘정치검찰’ 행태를 그냥 두고 봐야 하는가. 제2, 제3의 피해자가 나와도 그 사람 개인의 감당해야 할 몫인가.

전임정부 국무총리를  상대로 '정치검찰' 행태를 보였다면 힘없고 돈없고 배경없는 보통의 시민들을 대상으로는 어떤 행동을 했을까. 얼마나 많은 억울한 사연들이 있을까. 한명숙의 눈물은 한명숙 개인의 눈물이 아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정치검찰'과 '도우미 언론' 그들의 추악한 뒷거래를 파헤치고 바로잡아야 한다는 얘기다.

그나마 모른 척 넘어가려는 언론은 양반인지 모른다. 아예 대놓고 적반하장 행태를 보이는 언론도 있다. 주목할 대목은 그 언론들이 바로 ‘칼춤’을 이끌었던 주인공들이라는 점이다. 자신들의 부끄러운 과거를 희석시키고자 더욱 세게 나오는 것일까.

동아일보는 11월 2일자 8면에 <“한명숙 돈 받은 정황 인정돼도 무죄?” 검, 법원과 일전 별러>라는 기사를 실었다. 법원 무죄판결이 나왔는데 판결에 대한 검찰 반박을 다시 제목으로 부각시켜 보도한 것이다.
  
문화일보 11월 2일자 사설.
  
중앙일보 11월 1일자 사설.
문화일보는 한 술 더 뜬 모습이다. 문화일보는 11월 2일 <'한명숙 무죄'에 공감하기 어려운 이유>라는 제목을 뽑은 사설을 내보냈다. 문화일보는 “일국의 총리를 지낸 인물인 만큼 진실을 반드시 가려야 한다. 항소심에선 상식복원해야 한다. 지켜보겠다”고 주장했다.

당당함인가. 뻔뻔함인가. 문화일보가 말하는 ‘상식의 복원’은 무엇인가.  법원 판결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인가. 법치주의 근간을 흔들자는 것인가. 이것이 ‘보수’의 참모습인가.

궁지에 몰린 검찰을 옹호한다고 ‘인격살인’에 나섰던 언론의 그 행위가 가려질 것이라고 보는가. 뻔뻔해도 너무 뻔뻔한 모습 아닌가. 아직도 무엇이 잘못인지 모르겠는가.
그렇다면 또 다른 보수언론인 중앙일보가 11월 1일자에 내보낸 사설을 경청해보기 바란다. 검찰을 향한 지적이지만, 언론도 곱씹어 볼만한 내용이다.

“검찰은 할 말이 없게 됐다. 무능한 데다 무리수까지 뒀다는 비판 앞에 할 말이 없을 것이다.…괜한 희생자만 만들어 사법적 괴롭힘을 가하는 일은 사라져야 한다. 검찰사에 남을 만한 치욕적인 부실수사의 결과에 검찰 수뇌부는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검찰이라는 단어를 언론으로, 수사라는 단어를 보도로 바꾸면 이런 내용이 된다.
“언론은 할 말이 없게 됐다. 무능한 데다 무리수까지 뒀다는 비판 앞에 할 말이 없을 것이다.…괜한 희생자만 만들어 사법적 괴롭힘을 가하는 일은 사라져야 한다. 언론사에 남을 만한 치욕적인 부실보도의 결과에 언론 수뇌부는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