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0일 정당발전위원회에 대한 의원들의 반발과 관련, “중앙당이 공천권을 회수하려고 한다든지 문 대통령의 발목을 잡으려한다든지 소설 같은 허구와 왜곡을 시도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추미애 대표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페이스북을 통해 “정발위에 대해 불필요한 억측과 왜곡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는 문재인 정부의 국민주권실천 정신에 맞추어 정당도 국민이 바라는 정당으로 변화시키자는 것”이라며 “사실 일반 지지자가 당원이 되기에는 정당의 매력이 별로 없다. 당의 의사결정구조가 당원에게 개방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당원의 당론 결정'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문재인 대통령은 내년 지방선거에 개헌안 투표도 약속했다. 이것은 국민의당도 제안했던 것”이라며 “국민주권이라면 국민으로부터 나온 권력을 표현한 것이 헌법인데 무엇을 개정해야 하는지 당연히 국민 사이에 당원 사이에 활발한 토론 없이 결정될 수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렇게 백만 당원이 들어와 집단지성을 발휘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가 바로 눈앞에 다가와 있고 정당이 그 준비를 시급히 해야 하는데 ‘이긴 정당이 왜 혁신이 필요하냐?’라고 해야겠냐”고 당내 반발을 일축했다.
그는 현행 공천제도에 대해서도 “당의 공천 방식 때문에 뜻 있고 실력 있는 인재가 생활정치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도 청년가산점제 같은 형식적인 것일 뿐, 그의 재능과 실력으로 진입할 수 없는 구조"라고 비판하면서 "만일 정당의 지역단위에서, 직장단위에서 활발한 토론을 할 기회가 있다면 가산점제 없이도 훌륭한 인재는 저절로 당원들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고 현재와 같은 작위적인 가산점제 없이도 지방의회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계파와 당내 실세, 지역 국회의원의 입김이 아니라 자신의 실력과 노력으로 생활정치의 참여자가 돼 정치를 배우고 그 경험으로 국회에도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의도 정치도 명망가 정치, 계파정치에서 탈피해 지방의회에서 정책과 예산 민원 등을 통해 실력과 경험을 쌓은 인재들이 나중에 국정을 다루는 헌법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라며 공천방식의 전면적 개편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추미애 대표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페이스북을 통해 “정발위에 대해 불필요한 억측과 왜곡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는 문재인 정부의 국민주권실천 정신에 맞추어 정당도 국민이 바라는 정당으로 변화시키자는 것”이라며 “사실 일반 지지자가 당원이 되기에는 정당의 매력이 별로 없다. 당의 의사결정구조가 당원에게 개방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당원의 당론 결정'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문재인 대통령은 내년 지방선거에 개헌안 투표도 약속했다. 이것은 국민의당도 제안했던 것”이라며 “국민주권이라면 국민으로부터 나온 권력을 표현한 것이 헌법인데 무엇을 개정해야 하는지 당연히 국민 사이에 당원 사이에 활발한 토론 없이 결정될 수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렇게 백만 당원이 들어와 집단지성을 발휘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가 바로 눈앞에 다가와 있고 정당이 그 준비를 시급히 해야 하는데 ‘이긴 정당이 왜 혁신이 필요하냐?’라고 해야겠냐”고 당내 반발을 일축했다.
그는 현행 공천제도에 대해서도 “당의 공천 방식 때문에 뜻 있고 실력 있는 인재가 생활정치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도 청년가산점제 같은 형식적인 것일 뿐, 그의 재능과 실력으로 진입할 수 없는 구조"라고 비판하면서 "만일 정당의 지역단위에서, 직장단위에서 활발한 토론을 할 기회가 있다면 가산점제 없이도 훌륭한 인재는 저절로 당원들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고 현재와 같은 작위적인 가산점제 없이도 지방의회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계파와 당내 실세, 지역 국회의원의 입김이 아니라 자신의 실력과 노력으로 생활정치의 참여자가 돼 정치를 배우고 그 경험으로 국회에도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의도 정치도 명망가 정치, 계파정치에서 탈피해 지방의회에서 정책과 예산 민원 등을 통해 실력과 경험을 쌓은 인재들이 나중에 국정을 다루는 헌법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라며 공천방식의 전면적 개편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