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구경민 기자] [[머니투데이 the300-미디어리서치, 모병제 국민 여론조사]②공감 62.7% vs 못한다 34.7%…40대 65.6% 최고]
군제도의 징병제·모병제에 대한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40대가 60% 넘게 모병제 도입에 찬성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모병제 찬성이 많았고, 지역별로는 서울이 모병제 찬성률이 가장 높은 반면 대전·충청에서 모병제 반대율이 가장 높았다.
또 국민 10명 중 6명은 현재의 징병제보다 모병제 도입이 국가안보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여론조사전문회사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일 전국 성인남여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모병제 도입 찬성(현재 징병제 반대)에 남성 49.5%, 여성은 52.6%가 그렇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62.1%, 20대 57.2%, 30대 56.9%, 50대 47.9%, 60세 이상 34.8%등의 순으로 찬성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57.1%, 광주 전북 전남 55.3%, 부산 울산 경남 51.7% 등에서 모병제 찬성이 높았고, 대전 충청, 대구 경북에서 반대의견이 각각 49.9%, 48.4%로 높았다.
소득 기준으로는 월 401~600만원 구간에서 찬성의견이 54.2%로 가장 높았고, 월 601만원이상에서 반대의견이 49.4%로 가장 높았다.
모병제 도입이 현재 징병제보다 국가안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에 62.7%가 공감했다. 이는 '공감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34.7%를 크게 앞선 수치다. 모든 계층에서 '공감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직업별로는 가정주부(73.1%)에서 더욱 공감대를 모았고 그 다음으로는 진보 성향이 강한 화이트칼라(66.2%)와 학생(63.5%)이 뒤를 이었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자영업(44.7%), 무직/기타(44.4%)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대로 보면 40대(65.6%), 50대(64.8%), 20대(63.0%), 30대(62.8%), 60세 이상(58.1%) 순으로 나타났다.
또 '모병제 도입시 경제분야에 이득이 될 것으로 보이냐'는 질문에 절반 이상인 52.7%(매우: 15.7%+대체로: 37.0%)가 공감했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42.7%(전혀: 16.1%+ 별로: 26.6%)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대(60.0%), 40대(60.4%), 학생(62.7%), 진보(62.3%)층에서 '공감한다'는 의견이 6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대전/충청(49.9%), 자영업(51.0%), 무직/기타(56.2%), 보수(51.2%)층의 경우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아울러 '모병제가 청년 일자리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엔 찬반이 엇갈렸다. 모병제 도입에 따른 청년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청년들에게 직업군인이라는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게 돼 긍정적이다'는 의견(50.3%)과 '소득이 낮거나 취업이 어려운 청년들만 군에 입대하게 되어 부정적이다'는 의견(44.4%)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일자리를 제공하게 돼 긍정적이다'는 의견은 TK(대구·경북)(57.5%), 농/임/어업(61.3%), 학생(67.7%)에서 더욱 높게 나타난 반면, '소득이 낮거나 취업이 어려운 청년들만 입대해 부정적이다'는 의견은 60세이상(50.7%), 자영업(51.0%), 무직/기타(51.5%)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현재의 징병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는 70% 이상 대다수가 공감했다. 징병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그렇다'(매우 : 41.5% + 대체로 : 31.3%)는 의견이 72.8%로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다'(전혀 :8.4%+ 별로 : 13.7%)는 의견은 22.1%였다.
미디어리서치 관계자는 "병역을 의무로 하는 현재의 징병제를 고집하기보다 개인의 자발적 선택과 자율적 책임을 바탕으로 삼는 모병제를 채택하는 것이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10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여 1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임의번호걸기(RDD)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