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Friday, October 21, 2016

최순실게이트에 블랙리스트까지.. ‘박근혜 탄핵론’ 급부상 朴, ‘콘크리트’ 지지율 30%대 붕괴.. 국민의당 “레임덕 심화 방증”


‘최순실 게이트’에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파문까지 더해지면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 13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청와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파문이 일자 페이스북을 통해 “야만적 불법행위와 권력남용을 자행하는 현 정부와 대통령은 탄핵대상”이라며 ‘박근혜 탄핵론’에 불을 당겼다.

홍성담 “블랙리스트, 이것만으로도 박근혜씨는 탄핵대상”

홍성담 화백도 고발뉴스 <이영광의 발로GO인터뷰>에서 “말도 안 되고 생각지도 못한 사건이 벌어졌다”며 “시종일관 정권 안보에만 매달려서 그밖에는 아무 일도 못하는 박근혜 정권의 진면목을 이번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박근혜 씨는 탄핵대상”이라고 말했다.

또한 야당을 향해 “이 정도 밝혀졌으면 야당이 원내에 있을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원외로 뛰어나와 탄핵 운동을 주도해야 한다고 본다. 이런 정도의 일이 벌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야당이 움직이지 않는 건 야당도 더불어서 국민에게 탄핵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종철 “더민주, 朴 탄핵 사유 검토 후 야권에 ‘공조’ 요청해야”

김종철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은 칼럼을 통해 ‘세월호 7시간 행방불명’, ‘개성공단 폐쇄’, ‘한일 위안부 합의’, ‘백남기 사건’ ‘사드배치’, ‘미르‧K스포츠 파문’ 등 박 대통령 탄핵사유를 열거한 뒤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박원순 ‘박근혜 탄핵론’ 제기를 계기로 삼아 열거한 사건들이 ‘탄핵 사유’가 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탄핵 소추가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오면 국민의당과 정의당에 ‘공조’를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김용민 “더 큰 사달 나기 전에 대통령직 반납 받아야”

방송인 김용민 씨도 15일 “박근혜를 타도합시다”란 제목의 페이스북 글에서 “블랙리스트는 권력을 동원해 표현의 자유, 창작의 자유를 짓밟은 위헌적 작태”라며 “헌법을 여러 차례 짓밟고 완력으로 권력을 탈취한 그의 아버지, 국가기관이 동원된 부정선거 덕으로 당선돼 4년 동안 민주공화국의 가치를 판판이 형해화시킨 딸. 존엄한 헌법은 그들 앞에서 노리갯감이 됐다”고 개탄했다.
이어 “위태로운 한반도 정세를 관리하며 핵 없는 평화체제를 수호해야 할 균형자적 책무를 최근에 포기하더니 여차하면 ‘침략적 전쟁을 부인한다’는 헌법 제5조 1항마저 무력화할 태세”라면서 “더 큰 사달이 나기 전에 박근혜 씨로부터 대통령직을 반납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박근혜 씨는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국민과 다른 출발점에 선 인물”이라며 “그런 그에게 국가권력이 계속 부여됐다가는 간악하고 흉포한 흉기가 돼 국민에게 돌아올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구국의 결단은 박씨 부녀만의 전유물은 아닐 것”이라며 “모든 권력이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을 부정하는 박근혜 씨가 헌법의 틀 안에서 속히 대통령직을 내놓도록 행동합시다. 이것이 역사를 사는 우리의 책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朴, ‘콘크리트’ 지지율 붕괴.. 국민의당 “레임덕 심화 방증”

한편, 박근혜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율인 30%대가 붕괴, 레임덕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뉴시스>에 따르면, 15일 국민의당 이용호 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지금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후 처음으로 26%까지 떨어졌다”며 “이는 레임덕이 심화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제 새누리당도 대통령과 청와대만 볼 것이 아니라 국민을 바라보고 국회로 돌아와서 청와대 2중대가 아니라 자신들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