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언론 칼춤, ‘노무현 난도질’하더니… [기획] ‘노방궁’ 전하던 보수언론의 기막힌 변신
봉하마을 망신주기 보도 ‘부메랑’… “MB 사저 뭐라고 부를 건가”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경남 김해 봉하마을 빈소를 찾았던 국민들은 ‘대통령 사저’ 주변을 둘러본 후 언론에 대한 격앙된 심정을 감추지 않았다. 언론이 ‘아방궁’이라고 보도했지만 자신이 본 대통령 사저 주변은 언론보도와 달라도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언론이 망신을 줘서 세상을 떠나게 했다”는 분노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노무현 정원’ ‘노무현 캐슬’ ‘노방궁’ 등 망신주기에 앞장섰던 그 언론들은 이명박 대통령 ‘강남 사저’ 논란에는 거꾸로 변론에 앞장서고 있다. 참으로 기막힌 변신이다. / 미디어오늘 편집자 주
“전직 대통령 살고 계신 현황을 보시라. 지금 노무현 대통령처럼 아방궁 지어놓고 사는 사람 없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원내대표 시절이던 2008년 10월 14일 국정감사 점검회의에서 한 발언이다. ‘노무현 아방궁’ 논란은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불이 붙었다.
이은재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지하에 아방궁을 만들어서 그 안을 볼 수가 없는데 커다란 팬 시스템을 만들어놨는데 그 안의 컴퓨터 시스템이 굉장히 복잡한 게 들어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이 ‘노방궁’ 논란의 불을 붙인 이유는 쌀 직불금 불법수령 문제와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 측근인 이봉화 당시 보건복지부 차관이 의혹의 당사자로 떠오르자 맞불을 놓기 위한 차원이었다. 이계진 당시 한나라당 의원은 “야당은 이봉화 차관 조사하고 여당은 노봉하 조사하고 해서 ‘봉화 대 봉하’로 하자”고 말했다.
실제로 동아일보는 2008년 10월 15일자 <봉하 vs 봉화>라는 기사에서 “경남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를 둘러싼 논란과 이봉화 보건복지가족부 차관의 쌀 직불금 부당 수령 의혹이 국정감사의 핫 이슈로 떠올랐다. ‘봉하 대 봉화’ 전선이 형성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도 이날 <“봉화에는 봉하로” 한나라 맞불작전>이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노 전 대통령 망신주기 보도의 근원에는 이명박 대통령 측근의 부패의혹을 덮으려는 노림수가 있었던 셈이다. 당시 보수언론은 한나라당 주장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노방궁’ ‘아방궁’ 논란에 불을 붙였지만, 봉하마을 사저가 왜 아방궁인지 그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정치공세’ 의도가 담긴 주장을 거르기는커녕 확대 재생산하는데 앞장섰던 셈이다. 봉하마을 사저 망신주기 논란은 20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주간조선’이 2007년 9월 <봉하마을 ‘노무현 타운’ 6배로 커졌다>라는 보도를 내보낸 게 그 시작이다.
중앙일보는 2007년 11월 10일자 <봉하마을에 ‘노무현 정원’ 만드나>라는 사설에서 “노 대통령은 ‘서민 대통령’임을 자부했다. 그래서 가진 자들을 미워하면서 세금 폭탄 등을 때렸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대통령으로서 ‘노무현 타운’을 건설하고 있다. 설혹 주변에서 먼저 나섰더라도 말렸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언론은 노 전 대통령 사저는 물론 봉하마을, 그 주변, 진영읍, 심지어 김해시의 각종 환경 관련 사업까지 ‘노무현 정원’ ‘노무현 캐슬’ ‘노무현 성지’ 사업으로 몰아갔다. 2008년 1~2월 벌어졌던 언론의 ‘뻥튀기 경쟁’은 부끄러움을 잃은 언론의 ‘노무현 난도질’이었다.
동아일보는 1월 22일자 16면 <봉하마을 관광 10개 사업 추진>이라는 기사에서 “생태 중심의 10개 사업이 핵심이며, 예산은 75억 원이 들어간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같은 날 18면 <봉하마을 일대 꾸미는 데 165억 투입키로>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보수언론의 본격적인 ‘뻥튀기 경쟁’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가열됐다. 동아일보는 다음날인 1월 23일자 12면 <인구 3만 진영읍에 255억 문화센터 건립>이라는 기사에서 “봉화산 관광개발과 문화센터 건립 등에 들어가는 비용은 450억 원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의 봉하마을 관련 예산 수치는 하루 만에 75억 원에서 450억 원으로 불어난 셈이다. 동아는 <노 대통령 돌아갈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선 이런 일이…>라는 기사제목을 곁들이며 여론의 분노를 조장했다. 동아는 이날 <엽기…‘노무현 성지’ 조성과 정부 개편 거부 시사>라는 사설에서 “‘노무현&노사모 타운’이 조성되는 데 대해서도 여론이 부정적인데 마을 전체를 아예 ‘노무현 성지’로 만들 모양”이라고 주장했다.
언론의 ‘노무현 망신주기’ 경쟁은 점입가경이었다. 윤창중 문화일보 논설위원은 2008년 1월 31일자 <‘노무현 캐슬’>이라는 칼럼에서 “노무현 캐슬과 전두환의 일해재단이 본질적으로 똑같으면서도 굳이 다른 점은 고대광실 타운을 짓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집금’ 하는 방식이다. ‘재단’을 ‘생태 마을’로 이름을 교묘히 바꿨을 뿐. 노무현은 490억 원의 세금을 김해시가 제 손으로 투자하는 형식으로 쏟아 붓고 있고, 전두환은 기업인의 팔을 비틀어 빼았다”고 주장했다.
봉하마을 사저와 무관한 김해시 예산까지 온통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예산이라고 보도했던 그 언론들은 이명박 대통령 퇴임 후 사저 경호시설 땅값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27배에 이른다는 소식이 지난해 연말 전해진 뒤에는 비판의 칼날을 내려놓았다. 청와대는 지난해 서울 강남 논현동 대통령 사저 경호시설을 위한 땅값으로 70억 원을 요구했는데, 이는 봉하마을 경호시설 부지매입비 2억 5900만 원의 27배 수준이다. 당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이후 예산은 70억 원에서 40억 원으로 깎였다.
지난해 잊혀졌던 ‘MB 사저’ 논란은 이번에 대통령 아들 시형 씨 명의로 강남 내곡동 사저를 준비하고 있는 게 밝혀지면서 다시 가열됐다. 언론이 ‘아방궁’이라고 보도했던 봉하마을 사저 부대시설 부지매입비는 2억 5900만 원이었지만, 이번에는 42억 80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등 각종 위법·탈법 의혹도 불거졌다. 그러나 언론은 ‘아방궁’ 비판은커녕 청와대의 해명을 친절하게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조선일보는 10월 10일자 <이 대통령 퇴임 후 사저, 논현동 집 대신 내곡동에>라는 기사에서 △왜 내곡동? (부지 뒤에 야산·예비군훈련장 옛날 살던 논현동 땅값 비싸고 주변서 내부도 보여 경호문제) △왜 아들 이름으로 샀나 (대통령 명의가 드러나면 땅값 뛰어 구입비용 비싸져)라고 설명했다. 동아일보 역시 이날 3면 기사에서 △왜 아들 이름으로 샀나 (“이 대통령 내외 명의 쓰면 호가 높아져 예산 더 썼을 것”) △왜 논현동으로 안가나(“70억 예산 40억으로 삭감돼 경호용 대지 매입 불가능”) 등 청와대 해명을 중간제목으로 뽑아서 설명했다.
‘노방궁’ 논란의 불을 붙였던 한나라당 의원들 역시 입을 다물고 있다.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5년 전에 노무현 대통령의 사저를 아방궁이라고 얘기했던 한나라당과 언론들이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것인가 묻고 싶다.
노 대통령 사저(비용)의 15배가 들어간다고 하는 이명박 대통령 사저가 그대로 지어진다면 아방궁 대신에 뭐라고 명명할 것인가, 언론에 정치인들에게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출처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818
봉하마을 망신주기 보도 ‘부메랑’… “MB 사저 뭐라고 부를 건가”
(미디어오늘 / 류정민 / 2011-10-11)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경남 김해 봉하마을 빈소를 찾았던 국민들은 ‘대통령 사저’ 주변을 둘러본 후 언론에 대한 격앙된 심정을 감추지 않았다. 언론이 ‘아방궁’이라고 보도했지만 자신이 본 대통령 사저 주변은 언론보도와 달라도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언론이 망신을 줘서 세상을 떠나게 했다”는 분노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노무현 정원’ ‘노무현 캐슬’ ‘노방궁’ 등 망신주기에 앞장섰던 그 언론들은 이명박 대통령 ‘강남 사저’ 논란에는 거꾸로 변론에 앞장서고 있다. 참으로 기막힌 변신이다. / 미디어오늘 편집자 주
“전직 대통령 살고 계신 현황을 보시라. 지금 노무현 대통령처럼 아방궁 지어놓고 사는 사람 없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원내대표 시절이던 2008년 10월 14일 국정감사 점검회의에서 한 발언이다. ‘노무현 아방궁’ 논란은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불이 붙었다.
이은재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지하에 아방궁을 만들어서 그 안을 볼 수가 없는데 커다란 팬 시스템을 만들어놨는데 그 안의 컴퓨터 시스템이 굉장히 복잡한 게 들어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이 ‘노방궁’ 논란의 불을 붙인 이유는 쌀 직불금 불법수령 문제와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 측근인 이봉화 당시 보건복지부 차관이 의혹의 당사자로 떠오르자 맞불을 놓기 위한 차원이었다. 이계진 당시 한나라당 의원은 “야당은 이봉화 차관 조사하고 여당은 노봉하 조사하고 해서 ‘봉화 대 봉하’로 하자”고 말했다.
실제로 동아일보는 2008년 10월 15일자 <봉하 vs 봉화>라는 기사에서 “경남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를 둘러싼 논란과 이봉화 보건복지가족부 차관의 쌀 직불금 부당 수령 의혹이 국정감사의 핫 이슈로 떠올랐다. ‘봉하 대 봉화’ 전선이 형성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도 이날 <“봉화에는 봉하로” 한나라 맞불작전>이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이치열 |
노 전 대통령 망신주기 보도의 근원에는 이명박 대통령 측근의 부패의혹을 덮으려는 노림수가 있었던 셈이다. 당시 보수언론은 한나라당 주장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노방궁’ ‘아방궁’ 논란에 불을 붙였지만, 봉하마을 사저가 왜 아방궁인지 그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정치공세’ 의도가 담긴 주장을 거르기는커녕 확대 재생산하는데 앞장섰던 셈이다. 봉하마을 사저 망신주기 논란은 20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주간조선’이 2007년 9월 <봉하마을 ‘노무현 타운’ 6배로 커졌다>라는 보도를 내보낸 게 그 시작이다.
중앙일보는 2007년 11월 10일자 <봉하마을에 ‘노무현 정원’ 만드나>라는 사설에서 “노 대통령은 ‘서민 대통령’임을 자부했다. 그래서 가진 자들을 미워하면서 세금 폭탄 등을 때렸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대통령으로서 ‘노무현 타운’을 건설하고 있다. 설혹 주변에서 먼저 나섰더라도 말렸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언론은 노 전 대통령 사저는 물론 봉하마을, 그 주변, 진영읍, 심지어 김해시의 각종 환경 관련 사업까지 ‘노무현 정원’ ‘노무현 캐슬’ ‘노무현 성지’ 사업으로 몰아갔다. 2008년 1~2월 벌어졌던 언론의 ‘뻥튀기 경쟁’은 부끄러움을 잃은 언론의 ‘노무현 난도질’이었다.
동아일보는 1월 22일자 16면 <봉하마을 관광 10개 사업 추진>이라는 기사에서 “생태 중심의 10개 사업이 핵심이며, 예산은 75억 원이 들어간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같은 날 18면 <봉하마을 일대 꾸미는 데 165억 투입키로>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보수언론의 본격적인 ‘뻥튀기 경쟁’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가열됐다. 동아일보는 다음날인 1월 23일자 12면 <인구 3만 진영읍에 255억 문화센터 건립>이라는 기사에서 “봉화산 관광개발과 문화센터 건립 등에 들어가는 비용은 450억 원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의 봉하마을 관련 예산 수치는 하루 만에 75억 원에서 450억 원으로 불어난 셈이다. 동아는 <노 대통령 돌아갈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선 이런 일이…>라는 기사제목을 곁들이며 여론의 분노를 조장했다. 동아는 이날 <엽기…‘노무현 성지’ 조성과 정부 개편 거부 시사>라는 사설에서 “‘노무현&노사모 타운’이 조성되는 데 대해서도 여론이 부정적인데 마을 전체를 아예 ‘노무현 성지’로 만들 모양”이라고 주장했다.
언론의 ‘노무현 망신주기’ 경쟁은 점입가경이었다. 윤창중 문화일보 논설위원은 2008년 1월 31일자 <‘노무현 캐슬’>이라는 칼럼에서 “노무현 캐슬과 전두환의 일해재단이 본질적으로 똑같으면서도 굳이 다른 점은 고대광실 타운을 짓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집금’ 하는 방식이다. ‘재단’을 ‘생태 마을’로 이름을 교묘히 바꿨을 뿐. 노무현은 490억 원의 세금을 김해시가 제 손으로 투자하는 형식으로 쏟아 붓고 있고, 전두환은 기업인의 팔을 비틀어 빼았다”고 주장했다.
봉하마을 사저와 무관한 김해시 예산까지 온통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예산이라고 보도했던 그 언론들은 이명박 대통령 퇴임 후 사저 경호시설 땅값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27배에 이른다는 소식이 지난해 연말 전해진 뒤에는 비판의 칼날을 내려놓았다. 청와대는 지난해 서울 강남 논현동 대통령 사저 경호시설을 위한 땅값으로 70억 원을 요구했는데, 이는 봉하마을 경호시설 부지매입비 2억 5900만 원의 27배 수준이다. 당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이후 예산은 70억 원에서 40억 원으로 깎였다.
지난해 잊혀졌던 ‘MB 사저’ 논란은 이번에 대통령 아들 시형 씨 명의로 강남 내곡동 사저를 준비하고 있는 게 밝혀지면서 다시 가열됐다. 언론이 ‘아방궁’이라고 보도했던 봉하마을 사저 부대시설 부지매입비는 2억 5900만 원이었지만, 이번에는 42억 80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등 각종 위법·탈법 의혹도 불거졌다. 그러나 언론은 ‘아방궁’ 비판은커녕 청와대의 해명을 친절하게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조선일보는 10월 10일자 <이 대통령 퇴임 후 사저, 논현동 집 대신 내곡동에>라는 기사에서 △왜 내곡동? (부지 뒤에 야산·예비군훈련장 옛날 살던 논현동 땅값 비싸고 주변서 내부도 보여 경호문제) △왜 아들 이름으로 샀나 (대통령 명의가 드러나면 땅값 뛰어 구입비용 비싸져)라고 설명했다. 동아일보 역시 이날 3면 기사에서 △왜 아들 이름으로 샀나 (“이 대통령 내외 명의 쓰면 호가 높아져 예산 더 썼을 것”) △왜 논현동으로 안가나(“70억 예산 40억으로 삭감돼 경호용 대지 매입 불가능”) 등 청와대 해명을 중간제목으로 뽑아서 설명했다.
‘노방궁’ 논란의 불을 붙였던 한나라당 의원들 역시 입을 다물고 있다.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5년 전에 노무현 대통령의 사저를 아방궁이라고 얘기했던 한나라당과 언론들이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것인가 묻고 싶다.
노 대통령 사저(비용)의 15배가 들어간다고 하는 이명박 대통령 사저가 그대로 지어진다면 아방궁 대신에 뭐라고 명명할 것인가, 언론에 정치인들에게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출처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818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