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의 예상을 빗나간 20대 총선의 여소야대를 20대~30대 전반의 투표율 상승이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관위 조사에 따르면 20대 총선에서 20대~30대 전반의 투표율이 지난 총선 때보다 10%p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
20대 투표율 10%p~12%p 상승했다
20대 투표율 10%p~12%p 상승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중앙선관위는 선거인명부를 근거로 무작위 추출방식에 따라 전국 1만3777개 투표구 중 1448개 투표구 선거인 436만530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20대~30대 전반의 투표율 상승이 두드러졌다. 19대 총선에 비해 20대 전반의 투표율은 45.4%에서 55.3%, 20대 후반은 37.9%에서 49.8%, 30대 초반은 41.8%에서 48.9%로 상승했다.
20대 여성 유권자들의 투표율만 따로 떼놓고 보면 더 두드러진다. 20대 전반 여성의 투표율은 40.4%에서 54.2%로 상승했고 20대 후반은 39.5%에서 52.6%로 올랐다. 야권분열 상황에서도 여권이 패배한 서울과 경기지역에서도 20대 여성 투표율 증가가 돋보인다. 서울에서 20대 전반 여성의 투표율은 46.0%에서 58.8%, 경기에서는 20대 후반 여성의 투표율은 39.9%에서 53.9%로 크게 늘었다.
청년 세대가 여소야대 정국을 주도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경향신문은 “청년층 투표 참여가 정권 심판론에 따른 여소야대 국회를 만드는 결정적 요인이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동아일보에 “일자리 부족 등으로 정권에 실망한 젊은층이 전에 비해 투표장에 많이 나간 반면 장년층 이상은 막장 공천 등 정치권에 대한 실망으로 젊은층에 비해 투표장을 덜 찾은 것 같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20대~30대 전반의 투표율 상승이 두드러졌다. 19대 총선에 비해 20대 전반의 투표율은 45.4%에서 55.3%, 20대 후반은 37.9%에서 49.8%, 30대 초반은 41.8%에서 48.9%로 상승했다.
20대 여성 유권자들의 투표율만 따로 떼놓고 보면 더 두드러진다. 20대 전반 여성의 투표율은 40.4%에서 54.2%로 상승했고 20대 후반은 39.5%에서 52.6%로 올랐다. 야권분열 상황에서도 여권이 패배한 서울과 경기지역에서도 20대 여성 투표율 증가가 돋보인다. 서울에서 20대 전반 여성의 투표율은 46.0%에서 58.8%, 경기에서는 20대 후반 여성의 투표율은 39.9%에서 53.9%로 크게 늘었다.
청년 세대가 여소야대 정국을 주도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경향신문은 “청년층 투표 참여가 정권 심판론에 따른 여소야대 국회를 만드는 결정적 요인이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동아일보에 “일자리 부족 등으로 정권에 실망한 젊은층이 전에 비해 투표장에 많이 나간 반면 장년층 이상은 막장 공천 등 정치권에 대한 실망으로 젊은층에 비해 투표장을 덜 찾은 것 같다”고 밝혔다.
▲ 경향신문 1면 |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총선에서 20대 유권자 투표율이 52.7%로 연령별 투표율 집계가 시작된 1996년 15대 총선(44.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는 “4·13 총선에서 20대들의 투표율이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직후 총선 투표율보다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평가했다.
청년 세대의 투표율 상승을 이끈 요인 중 하나는 사전투표다. 중앙선관위 조사에 따르면 4·13 총선 전체 사전투표율은 12.2%(남성 14.7%, 여성 9.7%)였다. 사전투표율은 19세(18.1%)와 20대(17.9%)에서 가장 높았고, 30대부터는 60대(13.3%)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사전투표율이 전체 사전투표율보다 낮았다. 나아가 20대의 경우 전체 사전투표자에서 차지하는 비율(23.4%)이 전체 선거인에서 차지하는 비율(15.8%)보다 7.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2030 투표율이 오르는 사이 5060 세대의 투표율은 예전과 비슷하거나 떨어졌다. 50대의 투표율은 60.8%이었는데 이는 지난 총선보다 1.6p 하락한 수치다. 60대 이상의 투표율도 68.7%로 19대의 68.6%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조선일보는 “여당에 실망한 지지층이 투표장에 가지 않았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이런 경향이 더 잘 드러난다. 지역별 투표율을 보면 대구가 54.7%로 가장 낮았다. 부산도 55.4%였다. 전남이 63.7%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세종(63.5%), 전북(62.9%), 광주(61.6%) 순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은 “전통적으로 여권 지지세가 강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낮았던 데에는 친박·비박 갈등 속에 무소속 탈당 등으로 이어진 공천 파동이 지지자들을 결집하지 못했고,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실망감이 기저에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있다”며 “반면 야권 분열로 선택지가 늘어난 호남 유권자들은 대거 투표장으로 나왔다”고 강조했다.
20대 투표율 높지만, 여전히 주도권은 5060
청년 세대의 투표율 상승을 이끈 요인 중 하나는 사전투표다. 중앙선관위 조사에 따르면 4·13 총선 전체 사전투표율은 12.2%(남성 14.7%, 여성 9.7%)였다. 사전투표율은 19세(18.1%)와 20대(17.9%)에서 가장 높았고, 30대부터는 60대(13.3%)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사전투표율이 전체 사전투표율보다 낮았다. 나아가 20대의 경우 전체 사전투표자에서 차지하는 비율(23.4%)이 전체 선거인에서 차지하는 비율(15.8%)보다 7.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2030 투표율이 오르는 사이 5060 세대의 투표율은 예전과 비슷하거나 떨어졌다. 50대의 투표율은 60.8%이었는데 이는 지난 총선보다 1.6p 하락한 수치다. 60대 이상의 투표율도 68.7%로 19대의 68.6%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조선일보는 “여당에 실망한 지지층이 투표장에 가지 않았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이런 경향이 더 잘 드러난다. 지역별 투표율을 보면 대구가 54.7%로 가장 낮았다. 부산도 55.4%였다. 전남이 63.7%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세종(63.5%), 전북(62.9%), 광주(61.6%) 순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은 “전통적으로 여권 지지세가 강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낮았던 데에는 친박·비박 갈등 속에 무소속 탈당 등으로 이어진 공천 파동이 지지자들을 결집하지 못했고,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실망감이 기저에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있다”며 “반면 야권 분열로 선택지가 늘어난 호남 유권자들은 대거 투표장으로 나왔다”고 강조했다.
20대 투표율 높지만, 여전히 주도권은 5060
투표율은 늘어났지만 여전히 절대적인 수치만 보면 5060 이상 세대의 투표율이 막강하다. 20대 총선에서도 70대의 투표율이 73.3%로 가장 높은 반면, 30대(50.5%)와 20대(52.7%)가 제일 낮았다는 것.
한겨레는 “2030 청년들의 투표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곧 1천만명을 넘기게 될 6070 노·장년층의 투표 열기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의 방향을 정하는 각종 선거 결과에 가장 오랜 기간 영향을 받는 것은 젊은 유권자 집단인데, 정작 이들의 의사가 투표에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겨레는 또한 “내년 대선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60대 이상 유권자 1천만명(20대 총선 기준 984만명) 시대가 열린다”고 경고했다.
한겨레는 청년층 목소리가 여전히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총선에서 20~30대 청년 유권자(19살 포함)가 전체 유권자(4210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5%, 60대 이상은 23.5%였지만 실제 투표자 중에서 두 연령대가 차지한 비율은 20~30대가 31.7%, 60대 이상은 28%다. 한겨레는 “산술적으로 따지면 청년층은 선거 결과에 반영할 수 있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3.8%포인트 손해본 반면, 60대 이상은 4.5%포인트 더 얹었다는 얘기”라고 분석했다.
한겨레는 “영국에서 청년층은 유럽연합 잔류 여론이 우세했음에도 이번 국민투표에 참여율이 낮아, 결국 노·장년층의 적극적 선택(브렉시트)에 자신들의 미래를 맡기게 된 현실이 한국에도 닥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선거연령을 더 낮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겨레는 “2030 청년들의 투표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곧 1천만명을 넘기게 될 6070 노·장년층의 투표 열기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의 방향을 정하는 각종 선거 결과에 가장 오랜 기간 영향을 받는 것은 젊은 유권자 집단인데, 정작 이들의 의사가 투표에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겨레는 또한 “내년 대선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60대 이상 유권자 1천만명(20대 총선 기준 984만명) 시대가 열린다”고 경고했다.
한겨레는 청년층 목소리가 여전히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총선에서 20~30대 청년 유권자(19살 포함)가 전체 유권자(4210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5%, 60대 이상은 23.5%였지만 실제 투표자 중에서 두 연령대가 차지한 비율은 20~30대가 31.7%, 60대 이상은 28%다. 한겨레는 “산술적으로 따지면 청년층은 선거 결과에 반영할 수 있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3.8%포인트 손해본 반면, 60대 이상은 4.5%포인트 더 얹었다는 얘기”라고 분석했다.
한겨레는 “영국에서 청년층은 유럽연합 잔류 여론이 우세했음에도 이번 국민투표에 참여율이 낮아, 결국 노·장년층의 적극적 선택(브렉시트)에 자신들의 미래를 맡기게 된 현실이 한국에도 닥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선거연령을 더 낮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 한겨레 6면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