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Friday, September 18, 2015

대우조선 휘청, 부실기업 폭탄 "똑딱" 회사채 시장 마비 조짐, 정부는 '발권력' 동원해 임시변통

펌/IMF도 국민이 과소비,사치해서 터졌다고 새로운 초등교과서에 실렸대잖아. ,지금 초등생은 그 시절 대우, 한보 뭐 삼성자동차,,,대한민국 온갖 재벌 이름들이 IMF주인공이라고 알 리가 없지,,,9월 위기 가계부채 터져 한국 망하면 또 국민이 사치부리며 아파트 구입하다 위기 초래했다고 교과서에 나오겠지,맹바기,취경환 영포회 사기단은 빠지고,,인생무상

제대로 알자!바뀐년 탓이다.
대우조선해양,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이 31.5%의 지분을 갖고 있는
최대주주로 사실상 공기업
MB정권 시절부터 '정경유착'으로 자멸 위기
대우조선해양 분식사태에는 MB정권 책임이 크나,
박근혜 정권도 책임을 벗어나기 힘들다.
현재의 홍기택 산은 회장은
박근혜 정권 출범후 산은을 책임맡은
대표적 친박인사이기 때문
===============================================

목포가 지역구인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달말 트위터를 통해 "계속 경제 성장율 0% 조선 3사의 영업실적도 엉망이며 대출 부실도 어마어마하다는 보도입니다"라면서 "목포는 현대삼호중공업, 대한조선이 전부이니 민생이 더욱 걱정입니다"라고 탄식했다.

조선3사가 2분기에만 4조7천500억원대의 사상 최악의 손실을 기록하면서 조선산업에 의존하던 남부 해안도시들에 초비상이 걸렸다는 전언이다.

실제로 조선업의 메카인 현대중공업의 울산을 비롯해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이 소재한 거제 등은 대규모 감원과 임금 동결 등 강도높은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지역경제가 쑥대밭이 돼가고 있다. 울산 같은 경우는 또다른 주력부문인 석유화학까지 극심한 불황에 빠져들면서 고통이 더 심하다.

문제는 앞으로 업황이 더 걱정이라는 사실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중국경제 둔화, 한국 조선업계 벼랑끝으로 미나'라는 분석기사를 통해 엔저로 고통받던 한국 조선산업이 이번에는 '위안화 평가절하'라는 새로운 시련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WSJ>은 "조선업계를 주도하는 한국 조선사 세 곳이 중국의 경제 혼란으로 역풍을 맞고 있다. 이들은 이미 선박 과잉공급과 운임률 하락으로 충격을 받을 만큼 받았다"면서 "더군다나 엔화와 위안화에 대한 원화 가치가 올라가면서 한국 선박은 일본, 중국 경쟁사들의 선박보다 비싸졌다"고 강조했다.

<WSJ>은 특히 "최근 분기 실적에 해양 시추 프로젝트로 인한 수년 간의 손실이 반영된 대우는 특히 취약하다"면서 "손실 확대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주문 취소에 직면하고 있다. 대우 주식은 올해 3분의2 하락했으며 4.5% 하락한 전체 시장보다 훨씬 낮은 실적을 내고 있다"며 대우조선해양의 앞날을 우려했다.

국내에서도 대우조선에 심각한 적색등이 커졌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매일경제>는 28일 "최근 3조원대 부실 사태로 도마에 오른 대우조선해양에 7천억원 규모 긴급 유동성 위기가 추가로 발생해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에 비상이 걸렸다"며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건조에 필요한 드릴십 등 장비업체의 대금지급 요청이 잇따라 6천억~7천억원의 긴급 추가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대우조선 사정에 정통한 인사는 "회사 자금난이 시장에 확산되면서 협력업체들의 대금지급 요청이 잇따르고 있다"며 "통상 3개월가량 유예기간을 주던 업체들이 돌연 대금 지급을 요청하는 바람에 추가 유동성 확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건조 일정에 차질을 주지 않기 위해 대금 마련이 불가피한데 1조원을 초과하는 산업은행의 추가 출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대우조선이 벼랑끝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음을 전했다.

이에 대우조선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우선적으로 1조원의 유상증자를 추진하며 시중은행들에게도 고통 분담을 요구하고 있으나 시중은행들은 밑빠진 독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며 증자 참여를 기피하고 있다. 실제로 올 2분기 말 기준 조선업의 부실채권비율은 5.88%를 기록하면서 그동안 대표적 부실산업이었던 건설업의 4.76%를 앞질렀다. 조선업의 앞날이 그만큼 캄캄하다는 얘기다. 

문제는 조선산업뿐 아니라 다른 산업부문의 사정도 대동소이하다는 사실이다. 요즘 채권시장에서는 일부 초우량기업들의 채권외에는 거래가 마비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적자에다 차이나 쇼크 등이 가세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하면 조선, 해운, 석유화학 등의 만기도래 회사채의 차환이나 자체 상환에 실패해 자금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올해 회사채시장에서는 기존 발행한 회사채의 만기도래 규모가 35조원이며 이중 A등급 이하의 비우량 회사채는 15조9천억원 규모가 만기가 된다.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가자, 정부는 한국은행의 발권력을 동원해 이들 기업의 유동성 위기를 막으려 하고 있다. 

현행 회사채시장 정상화 방안에 따르면 유동성에 몰린 기업이 지원을 신청하면 산업은행과 신용보증기금 회사채안정펀드 등이 참여하는 차환발행심사위원회가 심사를 거쳐 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돼 있다. 그런데 신용보증기금이 고갈될 위기에 직면하자 한은이 발권력을 동원해 밑돈을 대주기로 한 것.

내년 총선을 앞두고 부실 대기업들의 디폴트를 막기 위한 정부의 궁여지책이나, 또다시 국민돈으로 일반기업을 연명시키려 한다는 모럴 해저드 논란이 벌써부터 불거지는 등 상황은 점점 IMF사태 당시를 연상케 하고 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