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ㆍ특조위 청문회, 해경 주파수 공용통신 녹취 파일 공개
ㆍ용량 터무니없이 작고 인체 유해 공업용…당시 거짓 발표 드러나
ㆍ청와대가 작업 장면 확인토록 위성 송출 시스템 탑재 함정 동원
ㆍ용량 터무니없이 작고 인체 유해 공업용…당시 거짓 발표 드러나
ㆍ청와대가 작업 장면 확인토록 위성 송출 시스템 탑재 함정 동원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가 선박 탑승객들의 생존율을 높이겠다며 실시한 에어포켓 공기주입 작업이 실제로는 대통령을 의식해 이뤄진 알맹이 없는 ‘청와대 보고용’ 행사였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2일 서울 동교동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서 속개된 세월호 3차 청문회에서 해경 주파수공용통신(TRS) 녹취 파일을 공개하며 관련 증거를 제시했다.
TRS 녹취록에는 참사 직후인 2014년 4월18일 해경이 엉뚱한 공간에 공기주입 작업을 한 정황이 그대로 담겼다. 공식 발표와 달리 해경이 공기주입을 한 공간은 세월호 3층 식당칸이 아니라 선원들이 이미 빠져나가 텅 빈 조타실 근처였다. 알려진 것처럼 당시 사용된 공기주입기는 인체에 유해한 공업용으로 용량도 세월호 크기를 고려하면 터무니없이 작았다.
녹취록에는 해경이 청와대에서도 실시간으로 작업 장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성 송출 시스템이 탑재된 1000t급 함정 4척을 서둘러 동원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바로 전날 진도체육관을 방문해 피해자 가족들 앞에서 “공기라도 집어넣어달라는 게 가족들 바람”이라며 사실상 공기주입을 지시한 상황이었다.
특조위는 “전체 100만개 넘는 TRS 파일 중 특조위가 제출받은 것은 7000여개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자료를 확보한다면 참사 후 구조구난 과정의 진실을 더 많이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가 주도해 올해 7월까지 육상 거치를 목표로 했던 선체 인양 작업의 지연과 선체 훼손 문제도 불거졌다. 해수부의 인양 공정표를 보면 선수들기 작업 이후 공정에는 약 86일이 소요된다. 기상악화 등 차질 없이 계획대로 진행된다 해도 11월 말이다.
특조위는 세월호를 물에서 건져 육상까지 이송할 플로팅도크가 최근 개조 과정에서 파손된 사실을 지적했다. 이날 비공개로 증언한 한 선체 인양 전문가는 “최근 해수부가 선체 바닥에 추가로 34개의 구멍을 뚫겠다고 했는데 플로팅도크에 문제가 없다면 전혀 필요가 없는 작업”이라며 “구멍을 뚫어 물을 빼는 것은 플로팅도크가 부실해 세월호 하중을 버티지 못할 것을 우려한 것으로 자칫하면 이동 과정에서 세월호와 플로팅도크가 함께 물속으로 가라앉을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밝힌 선체 인양 후 분리 계획에 대해서도 비판이 잇따랐다. 해수부는 앞서 지난달 29일 세월호 인양 후 배가 눕혀진 상태에서 객실 구역만 분리·절단해 바로 세운 후 미수습자를 수습하겠다는 안을 발표했다. 유기준 전 장관 시절 유족들의 요구대로 온전한 선체 인양을 약속한 것을 뒤집은 것이다. 객실을 분리할 경우 조타기 등 선체 결함 여부를 정밀조사할 수 없어 정확한 침몰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정성욱 4·16가족협의회 인양분과장은 “선체 절단은 증거 훼손과 인멸”이라며 “해수부가 발표한 대로 육상에서 선체를 절단하면 9명의 미수습자 시신은 물론 기존 수습자들의 잔해와 남아 있는 유품들까지 한꺼번에 엉켜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참사 초기 경찰과 해경이 피해자 보호와 질서 유지 등 업무보다는 부실한 구조 실적을 은폐하고 피해자들을 감시하는 데만 열심이었다는 증거도 나왔다.
유족들은 참사 당시 진도체육관과 팽목항 등 현장에서 사복을 한 경찰들이 피해자 동향 파악에만 주력했다고 증언했다. 특조위는 이날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중앙구조본부 정보반이 작성한 대외비 보고서를 입수해 공개했다. 보고서에는 “가족 대표에 강성 시위전담자도 있는 것으로 추정” “사망·실종자 가족들의 성향 분석을 위해 직간접 접촉선 확보 및 강성단체·불순세력과의 연계를 차단하기 위해 예방정보활동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권영빈 특조위 상임위원은 “2015년 한 해 동안 경찰이 사용한 캡사이신의 90% 이상이 세월호 관련 집회가 벌어진 단 사흘 동안 살포됐다”며 “겉으로는 피해자 지원을 위해서라고 하면서 경찰은 유족들을 감시·미행하고 유족들이 목소리를 내면 탄압하기 바빴던 것”이라고 말했다.
<iframe src="http://www.khan.co.kr/ad/adInfoInc/khan/KH_View_MCD.html" width="250" height="250" frameborder="0"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vspace="0" hspace="0" style="border-width: 0px; border-style: none; margin: 0px; outline: none 0px; padding: 0px; vertical-align: baseline; background-image: none; background-attachment: scroll; background-size: initial; background-origin: initial; background-clip: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0px; background-repeat: repeat;"></iframe>
이날도 강신명 전 서울경찰청장, 김석균 전 해경청장, 연영진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장 등 세월호 참사와 직접 관련된 전·현직 정부 관료들은 한 명도 청문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