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재정적자가 2009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은 38조원을 기록하면서 국가부채가 1천3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가 1천20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국가부채도 1천300조원에 육박하면서, 앞으로 고금리 시대가 도래하면 가계와 재정이 동시 파탄을 맞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정부가 발표한 '2015회계연도 국가결산'에 따르면 지난해 관리재정수지는 38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쌓아둬야 하는 국민연금·고용보험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흑자를 뺀 것으로, 정부 살림살이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다.
지난해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43조2천억원) 이후 6년 만에 가장 크다. 재정 적자는 2010년 13조원으로 줄었다가 2012년 17조5천억원, 2013년 21조1천억원, 2014년 29조5천억원, 2015년 38조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재정 적자는 국내총생산(GDP)의 -2.4%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다. 특히 작년엔 세수가 예상보다 2조2천억원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11조6천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재정 적자 규모가 오히려 커졌다.
올해도 재정적자는 계속 발생할 전망이다. 연초부터 수출이 급감하고 내수도 심각한 침체의 늪에 빠져들면서 지난해보다 세수도 나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가, 최근 강봉균 새누리당 공동선대위원장이 '양적 확대'와 '추경예산 편성'을 주장하는 등 총선뒤 추경편성이 확실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정적자가 급증하면서 정부 재무제표상 부채, 즉 국가부채는 지난해말 전년보다 72조1천억원 늘어난 1천284조8천억원을 기록하며 1천300조원에 바짝 다가섰다. 올해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올해 국가부채는 1천300조원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초 다음 정권에게 건전한 재정을 물려주겠다고 호언했으나 박 대통령 재임 5년내내 재정적자가 예상되는 등 재정건전성이 급속 악화되고 있으며, 가계부채 또한 1천200조를 돌파하는 등 국가와 가계 모두 빚더미에 올라앉고 있는 양상이다.
5일 정부가 발표한 '2015회계연도 국가결산'에 따르면 지난해 관리재정수지는 38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쌓아둬야 하는 국민연금·고용보험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흑자를 뺀 것으로, 정부 살림살이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다.
지난해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43조2천억원) 이후 6년 만에 가장 크다. 재정 적자는 2010년 13조원으로 줄었다가 2012년 17조5천억원, 2013년 21조1천억원, 2014년 29조5천억원, 2015년 38조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재정 적자는 국내총생산(GDP)의 -2.4%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다. 특히 작년엔 세수가 예상보다 2조2천억원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11조6천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재정 적자 규모가 오히려 커졌다.
올해도 재정적자는 계속 발생할 전망이다. 연초부터 수출이 급감하고 내수도 심각한 침체의 늪에 빠져들면서 지난해보다 세수도 나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가, 최근 강봉균 새누리당 공동선대위원장이 '양적 확대'와 '추경예산 편성'을 주장하는 등 총선뒤 추경편성이 확실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정적자가 급증하면서 정부 재무제표상 부채, 즉 국가부채는 지난해말 전년보다 72조1천억원 늘어난 1천284조8천억원을 기록하며 1천300조원에 바짝 다가섰다. 올해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올해 국가부채는 1천300조원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초 다음 정권에게 건전한 재정을 물려주겠다고 호언했으나 박 대통령 재임 5년내내 재정적자가 예상되는 등 재정건전성이 급속 악화되고 있으며, 가계부채 또한 1천200조를 돌파하는 등 국가와 가계 모두 빚더미에 올라앉고 있는 양상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