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지시로 황교안 국무총리가 다음달 22일부터 중국서 열리는 보아오 포럼에 불참하기로 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한국경제신문><조선일보> 등 보수지들과 야당이 일제히 박 대통령을 질타하고 나섰다. 재계도 중국에 대한 감정적 대응이 중국의 경제보복을 자초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TV조선>은 지난 12일 "황교안 국무총리가 다음달 중국 보아오에서 열리는 보아오 포럼에 참석해 달라는 초청을 받았지만 일단 불참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TV조선>은 "한국은 그동안 김황식·정홍원 전 총리가 기조연설을 하는 등 관례적으로 현직 총리가 참석해 왔다. 특히 작년 11월 리커창 중국 총리가 방한했을 때 황 총리에게 직접 와달라고 요청했기에 황 총리도 참석할 예정이었다"면서 "하지만 북한 핵실험에 대해 중국이 미온적으로 나오자 박근혜 대통령은 황 총리에게 포럼 참석을 유보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TV조선>은 이어 "보아오 포럼은 형식적으로는 포럼이사회가 주관하지만 사실상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행사로 시진핑 주석이나 리커창 총리가 매년 참석할 만큼 중국에게는 큰 의미있는 행사"라면서 "이런 행사에 황 총리가 참석을 유보키로 한 것은 대북 제재에 미온적인 중국에 대한 항의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나 총리실은 이같은 보도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 보도가 사실임을 사실상 시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황 총리 대신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유일호 경제부총리나 장관도 가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보아오 포럼은 중국이 2002년부터 매년 각국 정상급과 기업인 등 2천여명을 초청해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키우는 행사다. 우리나라도 창립회원국으로 적극 참여해왔다. 따라서 가뜩이나 사드 한국 배치를 놓고 수교 24년만에 최악의 긴장국면에 돌입한 한중 양국관계가 자칫 루비콘강을 건너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재계는 이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회장 등 대그룹 총수들이 보아오 포럼에 참석키로 한 상태다. 그 어느 때보다 중국 현지에서 경착륙 우려를 낳고 있는 중국경제의 실상, 한국에 대한 중국의 시각 등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재계 시각을 반영하는 <한국경제신문>은 24일 사설을 통해 "물론 보아오포럼에 총리가 꼭 가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해마다 참석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총리 불참이 대북 제재에 미온적인 중국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는 차원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면서 "외교를 이런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논리로 풀 수는 없다"고 질타했다.
사설은 이어 "한·중 관계든 한·미 관계든 이런 임기응변으로 문제를 풀 수는 없다"며 "우리 정부는 너무 쉽게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거듭 쓴소리를 했다.
사설은 "대중(對中) 외교의 지나친 ‘스윙’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도한 친중(親中)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싸늘할 수도 없다"면서 "한국은 자신의 정책에 주변국들이 따라오기를 요구할 만한 강대국이 아니다. 불편해도 이것이 진실이다. 미·일·중·러의 틈바구니에 낀 한국의 외교는 그럴수록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며 냉온탕을 오가는 외교에 강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조선일보>도 이날 사설을 통해 "우리 정부가 보아오 포럼 불참을 검토하는 것은 북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처하는 중국에 대한 실망감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시진핑 주석의 태도에 낙담했다는 얘기가 전해지고 있기도 하다"면서 "그러나 이런 청와대 분위기의 연장 선상에서 보아오 포럼을 기피한 것이라면 외교에 감정을 개입시키는 속 좁은 접근법"이라며 박 대통령의 '협량(狹量)'을 꼬집었다.
사설은 "북핵 도발 이후 중국이 딴청을 부리며 깡패짓을 하는 북한을 감싸고 도는 듯한 태도에는 실망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그렇다고 다시는 얼굴을 보지 않겠다는 식으로 나가면 한·중 관계가 다시 어두운 시대로 진입할 수 있다. 한국 정부가 거부한다고 해서 중국이 포럼을 포기할 것도 아니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오히려 훗날 분풀이할 명분을 찾을지도 모른다"며 중국의 보복을 우려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아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경제와 안보 양쪽 모두 총체적 위기를 겪고 있는 정부로서 현명한 결정인지 우려스럽다"면서 "지금 우리 경제는 그동안의 침체에 더해 급작스런 개성공단 폐쇄까지 겹쳐 코리아디스카운트 여파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한치 앞이 보이지 않는 실정"이라고 개탄했다.
그는 이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대외적으로 적극적 협력과 활로를 모색하는 것만으로도 모자랄 지경인데 작년 11월 리커창 총리로부터 직접 초청을 받은 황총리가 보아오포럼 불참을 검토하는 것이 경제 외교적으로 어떤 실효성이 있는지 의아스럽다"면서 "정부는 이제라도 전향적으로 자세를 바꿔 당면한 경제와 안보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편을 모색해야 한다. 보아오포럼 참석은 그 첫 걸음이 될 수 있다"며 황 총리의 참석을 촉구했다.
<TV조선>은 지난 12일 "황교안 국무총리가 다음달 중국 보아오에서 열리는 보아오 포럼에 참석해 달라는 초청을 받았지만 일단 불참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TV조선>은 "한국은 그동안 김황식·정홍원 전 총리가 기조연설을 하는 등 관례적으로 현직 총리가 참석해 왔다. 특히 작년 11월 리커창 중국 총리가 방한했을 때 황 총리에게 직접 와달라고 요청했기에 황 총리도 참석할 예정이었다"면서 "하지만 북한 핵실험에 대해 중국이 미온적으로 나오자 박근혜 대통령은 황 총리에게 포럼 참석을 유보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TV조선>은 이어 "보아오 포럼은 형식적으로는 포럼이사회가 주관하지만 사실상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행사로 시진핑 주석이나 리커창 총리가 매년 참석할 만큼 중국에게는 큰 의미있는 행사"라면서 "이런 행사에 황 총리가 참석을 유보키로 한 것은 대북 제재에 미온적인 중국에 대한 항의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나 총리실은 이같은 보도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 보도가 사실임을 사실상 시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황 총리 대신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유일호 경제부총리나 장관도 가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보아오 포럼은 중국이 2002년부터 매년 각국 정상급과 기업인 등 2천여명을 초청해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키우는 행사다. 우리나라도 창립회원국으로 적극 참여해왔다. 따라서 가뜩이나 사드 한국 배치를 놓고 수교 24년만에 최악의 긴장국면에 돌입한 한중 양국관계가 자칫 루비콘강을 건너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재계는 이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회장 등 대그룹 총수들이 보아오 포럼에 참석키로 한 상태다. 그 어느 때보다 중국 현지에서 경착륙 우려를 낳고 있는 중국경제의 실상, 한국에 대한 중국의 시각 등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재계 시각을 반영하는 <한국경제신문>은 24일 사설을 통해 "물론 보아오포럼에 총리가 꼭 가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해마다 참석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총리 불참이 대북 제재에 미온적인 중국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는 차원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면서 "외교를 이런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논리로 풀 수는 없다"고 질타했다.
사설은 이어 "한·중 관계든 한·미 관계든 이런 임기응변으로 문제를 풀 수는 없다"며 "우리 정부는 너무 쉽게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거듭 쓴소리를 했다.
사설은 "대중(對中) 외교의 지나친 ‘스윙’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도한 친중(親中)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싸늘할 수도 없다"면서 "한국은 자신의 정책에 주변국들이 따라오기를 요구할 만한 강대국이 아니다. 불편해도 이것이 진실이다. 미·일·중·러의 틈바구니에 낀 한국의 외교는 그럴수록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며 냉온탕을 오가는 외교에 강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조선일보>도 이날 사설을 통해 "우리 정부가 보아오 포럼 불참을 검토하는 것은 북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처하는 중국에 대한 실망감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시진핑 주석의 태도에 낙담했다는 얘기가 전해지고 있기도 하다"면서 "그러나 이런 청와대 분위기의 연장 선상에서 보아오 포럼을 기피한 것이라면 외교에 감정을 개입시키는 속 좁은 접근법"이라며 박 대통령의 '협량(狹量)'을 꼬집었다.
사설은 "북핵 도발 이후 중국이 딴청을 부리며 깡패짓을 하는 북한을 감싸고 도는 듯한 태도에는 실망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그렇다고 다시는 얼굴을 보지 않겠다는 식으로 나가면 한·중 관계가 다시 어두운 시대로 진입할 수 있다. 한국 정부가 거부한다고 해서 중국이 포럼을 포기할 것도 아니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오히려 훗날 분풀이할 명분을 찾을지도 모른다"며 중국의 보복을 우려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아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경제와 안보 양쪽 모두 총체적 위기를 겪고 있는 정부로서 현명한 결정인지 우려스럽다"면서 "지금 우리 경제는 그동안의 침체에 더해 급작스런 개성공단 폐쇄까지 겹쳐 코리아디스카운트 여파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한치 앞이 보이지 않는 실정"이라고 개탄했다.
그는 이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대외적으로 적극적 협력과 활로를 모색하는 것만으로도 모자랄 지경인데 작년 11월 리커창 총리로부터 직접 초청을 받은 황총리가 보아오포럼 불참을 검토하는 것이 경제 외교적으로 어떤 실효성이 있는지 의아스럽다"면서 "정부는 이제라도 전향적으로 자세를 바꿔 당면한 경제와 안보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편을 모색해야 한다. 보아오포럼 참석은 그 첫 걸음이 될 수 있다"며 황 총리의 참석을 촉구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