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김영삼 전 대통령)가 영면에 들었다. 2015년 11월 26일 오후 2시, 눈발이 흩날리는 가운데 그의 영결식은 국회 본관 앞마당에서 엄수됐다.
|
▲국가장으로 치러진 김영삼 전 대통령 영결식, YTN 중계화면 캡처
|
영결식에는 유가족과 장례위원회 위원, 정·관계 인사, 주한외교단 조문사절단 등 7,000여 명이 참석했다. 갑자기 추워진 일기에다 서울에 첫눈이 내리는 가운데 오후 2시부터 1시간20분 동안 거행된 영결식은 최초의 국가장답게 매우 장중하게 치러졌다.
이날 YS의 시신을 실은 운구차는 오후 1시56분쯤 국회의사당 영결식장에 입장했다. 이 운구차를 부인 손명순 여사와 차남 현철씨 등 유가족과 많은 정치인들이 맞았다. 이어 김동건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시작된 영결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와 고인에 대한 묵념으로 시작, 집행위원장인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의 김 전 대통령의 약력보고 등으로 이어진 뒤 , 고인이 개신교 장로인 관계로 수원중앙침례교회 김장환 원로목사의 집례로 기독교 의식이 진행되었다. 또 국가장인 때문에 불교, 천주교, 원불교 의식도 치러졌다.
종교 의식이 끝나자 김 전 대통령의 생전 업적을 담은 영상이 상영됐다. 영상은 93년 2월 대통령 취임식 선서를 시작으로 김 전 대통령의 청년 시절 모습, 74년 신민당 총재 취임연설, 79년 의원직 제명 당시, 83년 민주화 요구 23일 단식 당시 모습 등이 담겼다. 또 금융·부동산실명제, 조선총독부 해체, 하나회 척결, 역사 바로세우기 등 주요 업적이 소개됐다. 이는 YS사후 국내 전 언론에서 진행되었던 ‘김영삼 영웅화’작업의 결정판이었다.
특히 추모 동영상에서 꼿꼿했던 고인의 모습과 육성이 나오자 유족과 조문객들이 울음을 터트리기도 했다. 분향과 헌화도 이어졌다. 그리고 이어서 김 전 대통령이 생전에 좋아했다는 가곡 ‘청산에 살리라’가 조곡으로 울려 퍼졌다. 이처럼 장중한 영결식은 3군 통합조총대가 발사한 총 21발을 끝으로 1시간20여 분의 영결식이 마무리됐다.
이어 운구차는 국회의사당을 떠나 그가 40여 년 거주했던 상도동 서저를 향했으며, 사저에서 10여 분을 머물렀다. 그리고 다시 사저를 떠나 500미터 가량 떨어진 ‘김영삼 대통령 기념 도서관’으로 향했다. 아직 완공되지 못한 도서관은 지하 4층 지상 8층으로 '민주화 투사'로서의 김 전 대통령의 모습을 보존하면서 민주주의 교육장으로 활용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영결식에는 여야 지도부 등 정·관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정의화 국회의장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등 여야 지도부 의원들이 대부분 참석했으며 최형우 전 내무부 장관 등 상도동계 인사들과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아들 홍업씨 등 동교동계 인사도 상당수 영결식에 참석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도 참석했다. 최삼규 국민일보 사장 등 언론계 인사도 고인의 마지막을 함께했다.
|
▲영결식장에 결린 YS의 대형 영정… YTN 중계화면 캡처
|
이렇게 우리 곁을 떠난 YS, 그의 서거와 함께 국가장 기간 동안 추모 분위기는 그의 공과 중 공이 극대화 된 기간이었다. 그래서 아쉬운 점도 있다.
사후 추모… 이는 우리 인간이 가진 가장 좋은 덕목이다. 모든 사람들이 한번 왔다가 필히 가야 할 길을 먼저 간 이들에 대한 예의가 사후에는 추모로 나타난다. 극악한 범죄자가 아닌 이상 공과가 있는 정치인이든 자연인이든 사후에는 과보다 공이 더 치하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현재의 YS 추모 분위기에 나타난 ‘김영삼 영웅화’ 현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제 그는 우리 곁을 영영 떠났으므로 차분하게 그의 과도 되새기면서 정치인의 정치역정을 더듬으며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YS는 생전에 자신이 꼭 풀고 갔어야 할 문제를 풀지 못하고 더 엉키게 해놓고 떠난 과실(過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과실은 어쩌면 그가 남긴 수많은 공에 비춰 결코 작지 않은 과실이다. 진보와 보수를 이념의 구분이 아니라 영남과 호남이란 지역으로 극명하게 가른 과실(過失).
그가 3당 합당을 단행하기 전 독재와 역사후퇴를 가장 극명하게 반대한 지역은 부산과 마산이었다. 마산은 4.19의 발상지이며 부산은 10.26의 발상지다. 불과 30년 전 정도였던 시기에 부산과 마산은 광주와 동일한 독재에의 저항과 민주주의 사수의 보루 지역이었다.
그런데 그가 3당 합당을 단행한 1990년 이후 이 지역은 바뀌었다. 그 같은 변화는 시민의식이 갑자기 진보에서 보수로 변한 것이 아니다. 1차는 고향 출신의 정치 지도자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한 충정에서 시작된 편가름이 지금은 아예 지역 전체가 아이부터 어른까지 ‘새누리당’ 일변도가 되면서 자신이 가장 극명하게 반대한 독재자를 미화하는데 앞장선 지역으로 바뀌었다. 만약 부산과 마산 등 영남 남부 지역 민심이 70~80년대 상태라면 박근혜도 김무성도 그 누구도 현재의 교과서 국정화 드라이브를 앞장서서 찬성하지 못할 것이다.
홍준표 도지사가 도민소환 운동에도 당당한 것, 김무성 대표가 교과서 국정화 정국에서 자신이 정치적 아버지라고 추앙한다는 YS와 전혀 다른 역사관을 보이면서도 당당하게 ‘역사전쟁’이라고 말하는 이율배반적 정치를 해도 되는 것도 여기서 기인한다.
심지어 박사학위 논문이 표절이라는 대학 측 판정이 나왔음에도, 탈당만으로 의원직을 지키는 문대성 의원이 임기를 채울 수 있는 것, 고인이 된 YS 본인이 목숨을 걸고 지키려 했던 민주주의가 확실하게 후퇴하고 있음에도 이를 당당하게 변호하는 김도읍, 하태경 등 의원들이 재선을 자신하는 것… 이 모든 폐해는 YS가 3당합당을 통해 부산도 마산도 영남 전체도 다 ‘이념 없는 맹목적 보수’ ‘호남 반대로의 맹목적 보수’ 지역으로 만든 것에서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생전 YS는 실상 자신이 스스로 주장한 민주주의자 의회주의자라면 자신의 정치적 제자를 자임하는 김무성과 현 여권 상도동계의 반 민주적 처사를 준엄하게 꾸짖었어야 한다. 특히 이명박 박근혜 정권의 권위주의화와 일방통행식 국정운영을 신랄하게 비판했어야 한다. 현재 그의 차남 김현철씨가 하는 것과 같이… 이에 이 간극을 누가 메울 것인가? 남은 우리는 이점에 대해 정말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이대로는 우리 역사가 긍정적으로 진전되지 않을 것이기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