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북한의 4차 핵실험 며칠 전인 작년말 북한과 평화협정 체결에 대해 비밀리에 논의한 사실이 드러나자, 새누리당과 보수언론 등 보수진영은 충격과 배신감을 감추지 못하는 등 패닉적 반응을 보였다.
중국의 강력 반발에도 불구하고 미국 요구대로 사드 한국 배치 등을 추진해온 이들 보수세력에게는 날벼락과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새누리당 중진인 정병국 의원은 22일 저녁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 평화협정은 미국 간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가 주도적으로 풀어야 될 문제"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우리 한국정부가 모르는 상황 속에서 미국과 북한만의 대화는 있을 수 없다고 보고, 용납할 수 없다고 본다"고 반발했다.
그는 평화협정이 북핵 해법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그거는 우리가 뭐 그런 방법으로 접근할 수는 있다고 본다"면서 "그러나 지금 같이 한국이 제외된 상황 속에서 북한과 미국이 논의를 했다는 것은 저는 있을 수 없다고 본다. 거기에서 한국이 제외됐다고 하는 것은 미국이 한국과의 동맹관계 속에서 있을 수 없는 행동"이라며 거듭 미국에 대한 배신감을 드러냈다.
<동아일보>도 23일 사설을 통해 "정부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감도 잡지 못했다면 더 위험하다. 일각에선 작년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 등 중국 경사 외교의 후폭풍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면서 "‘미중(美中) 양쪽에서 러브콜을 받는 나라’라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자랑만 믿고 있다가 중국에 뺨맞은 데 이어 미국에도 뒤통수를 맞은 것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고 정부를 질타했다.
사설은 이어 "지금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에 대한 강한 제재를 끌어내기 위해 어느 때보다 물샐틈 없는 한미공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를 협의하는 마당에 정부는 미국에 긴밀한 대북 공조를 요구해야 마땅하다"며 미국에 강력 대응을 주문하면서 "안보 위기도 위기지만 외교당국의 위기가 국민을 더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며 거듭 정부의 외교무능을 비난했다.
<조선일보> 역시 이날 사설을 통해 "북한은 지난 10월부터 부쩍 평화협정 얘기를 꺼내고 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도 최근 '한반도 평화협정과 비핵화를 병행 추진하자'고 했다. 궁지에 물릴 때마다 꺼냈던 '평화 카드'를 또 내밀고 있는 것"이라며 "미국이 한국을 외면하고 여기에 다시 귀를 기울이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며 미국에 반발했다.
사설은 정부에 대해서도 "외교부는 '미국과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했지만, 이번 미·북 간 접촉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 "만일 뒤늦게 통보를 받는 수준이었다면 곤란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사설은 "과거 미·북 간 합의 때마다 우리 정부는 들러리만 섰던 경우가 많다. 이번에도 그런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 미 정부가 강력한 대북 제재와 압박에 나서도록 지속적인 메시지를 보내고 적극 견인도 해야 한다"면서 "중국에도 북한식의 평화협정론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며 평화협정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중국의 강력 반발에도 불구하고 미국 요구대로 사드 한국 배치 등을 추진해온 이들 보수세력에게는 날벼락과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새누리당 중진인 정병국 의원은 22일 저녁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 평화협정은 미국 간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가 주도적으로 풀어야 될 문제"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우리 한국정부가 모르는 상황 속에서 미국과 북한만의 대화는 있을 수 없다고 보고, 용납할 수 없다고 본다"고 반발했다.
그는 평화협정이 북핵 해법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그거는 우리가 뭐 그런 방법으로 접근할 수는 있다고 본다"면서 "그러나 지금 같이 한국이 제외된 상황 속에서 북한과 미국이 논의를 했다는 것은 저는 있을 수 없다고 본다. 거기에서 한국이 제외됐다고 하는 것은 미국이 한국과의 동맹관계 속에서 있을 수 없는 행동"이라며 거듭 미국에 대한 배신감을 드러냈다.
<동아일보>도 23일 사설을 통해 "정부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감도 잡지 못했다면 더 위험하다. 일각에선 작년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 등 중국 경사 외교의 후폭풍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면서 "‘미중(美中) 양쪽에서 러브콜을 받는 나라’라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자랑만 믿고 있다가 중국에 뺨맞은 데 이어 미국에도 뒤통수를 맞은 것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고 정부를 질타했다.
사설은 이어 "지금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에 대한 강한 제재를 끌어내기 위해 어느 때보다 물샐틈 없는 한미공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를 협의하는 마당에 정부는 미국에 긴밀한 대북 공조를 요구해야 마땅하다"며 미국에 강력 대응을 주문하면서 "안보 위기도 위기지만 외교당국의 위기가 국민을 더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며 거듭 정부의 외교무능을 비난했다.
<조선일보> 역시 이날 사설을 통해 "북한은 지난 10월부터 부쩍 평화협정 얘기를 꺼내고 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도 최근 '한반도 평화협정과 비핵화를 병행 추진하자'고 했다. 궁지에 물릴 때마다 꺼냈던 '평화 카드'를 또 내밀고 있는 것"이라며 "미국이 한국을 외면하고 여기에 다시 귀를 기울이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며 미국에 반발했다.
사설은 정부에 대해서도 "외교부는 '미국과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했지만, 이번 미·북 간 접촉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 "만일 뒤늦게 통보를 받는 수준이었다면 곤란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사설은 "과거 미·북 간 합의 때마다 우리 정부는 들러리만 섰던 경우가 많다. 이번에도 그런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 미 정부가 강력한 대북 제재와 압박에 나서도록 지속적인 메시지를 보내고 적극 견인도 해야 한다"면서 "중국에도 북한식의 평화협정론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며 평화협정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