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Saturday, December 19, 2015

뉴욕 타임스 기고한 기자, 코리아 엑스포제에서 또다시 정부 비판

뉴욕 타임스 기고한 기자, 코리아 엑스포제에서 또다시 정부 비판
– 한국 정부의 외신에 대한 압력행사는 국내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얼마나 음울한가에 대한 방증
– 정부에 대한 해외언론의 ‘부정적인 보도’만이 한국 정부를 국가 중대사를 논할 의미 있는 대화의 장으로 불러올 수 있다는 현실이 슬퍼
– 뉴욕 총영사의 반박글, 정부의 익숙하고 기만적인 공식 문구의 반복에 지나지 않아…노사정 대타협은 존재하지도 않는 국민적 합의라고 강도 높게 비난
최근 뉴욕타임스가 기고에서 박 정권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을 두고 정부가 뉴욕 총영사를 통해 반박글을 게재해 나라 망신이라는 비난과 뭇매를 맞은 가운데, 뉴욕 타임스에 기고했던 기자가 10일 인터넷 매체에 이와 관련한 반박성 기사를 또다시 게재해 화제다.
기자는 인터넷 뉴스매체인 코리아엑스포제(Korea Expose)에 “한국 현 상황을 둘러싼 ‘말의 전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외교부가 뉴욕타임스에 항의한 것과 별개로 자신도 외교부 직원을 사칭한 사람으로부터 전화를 받았으며 용무 중이라 30분 후 다시 전화를 걸었으나 그 외교부 직원은 전화를 받지 않았고 다시 자신에게 전화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뉴욕 총영사가 반박글에서 “역사 교과서 개정 계획은 어떻게 교과서가 출간되느냐가 아니라 그 안의 내용에 관한 것”이며 노동 개혁안은 “노사정의 대타협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이는 정부의 익숙하고 기만적인 공식 문구의 반복이며 노사정의 대타협이라는 것은 실제로는 존재하지도 않는 국민적 합의를 완곡하게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뉴욕 총영사의 교과서 문제에 대한 이같은 해명은 자신이 기고에서 주장한 바대로 정부의 입맛대로 역사를 써주기만 한다면 누가 교과서를 출판하든 상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시켜줬다고 읍소했다.
기자는 최근 뉴욕 총영사의 항의를 받은 <더 네이션>지와 팀 쇼락 기자를 거론하며 외국 언론에 대한 한국 정부의 영향력 행사 시도는 국내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얼마나 음울한가를 보여준다고 역설했다.
또한 이런 대화가 국내 언론이 아닌 외국 신문의 지면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사실이 슬프다고 말하며 국가의 중대사를 두고 정부를 의미 있는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는 유일한 방법이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를 해외 독자들에게 해야 한다는 사실은 그야말로 비극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코리아엑스포제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it.ly/1TEjgNx
WAR OF WORDS OVER THE STATE OF SOUTH KOREA
한국 현 상황을 둘러싼 ‘말의 전쟁’
by SE-WOONG KOO
DECEMBER 10, 2015
ke_1210_2015_1
We live in an interesting time.
Some of you may know I published an opinion piece in the New York Times last month condem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move to overhaul history textbooks. I didn’t know but apparently the foreign ministry “lodged a protest against the New York Times” for publishing my piece, according to the Korea Times.
우리는 흥미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아마 독자 중 일부는 내가 지난달 뉴욕타임스에 한국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비판하는 글을 기고한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나는 몰랐지만 코리아타임스에 의하면 내 기고를 게재한 것에 대해 외교부가 “뉴욕타임스에 항의를 제기했다”고 한다.
I myself received a telephone call last week from someone who claimed to be with the foreign ministry. I told him I would call back as I was in the middle of doing something. When I called him half an hour later, he did not answer nor did he call me again.
나도 지난주에 자신을 외교부 직원으로 밝힌 사람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나는 그에게 용무 중이라 후에 전화를 걸겠다고 했다. 그에게 30분 후에 전화했을 때, 그는 전화를 받지 않았고 내게 다시 전화하지도 않았다.
As conveyed to me by one foreign correspondent (who will remain anonymous) the general sense i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quite unhappy with the NYT, especially following the publication on Nov. 19 of an editorial excoriating Seoul’s crackdowns on dissent and the country’s general political direction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익명의) 한 외신 기자가 나에게 전한 바에 따르면, 특히 11월 19일 한국 정부가 반대 의견을 탄압한다는 사실에 대해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하에서 한국의 정치적 방향에 대해 비판하는 사설을 실은 이후 한국 정부가 뉴욕타임스에 대해 심기가 꽤 불편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And now we have a letter to the editor from Kim Gheewhan, South Korean consul general in New York, who claims that the government’s “initiative on history textbooks is not about how they are published but about the content.” Kim also rehashes the familiar but deceptive official line that the government’s controversial labor reform, which will make it easier for companies to fire workers, is good for the economy and “based on a grand bargain among labor, management and the government,” a euphemism for national consensus that in reality doesn’t exist.
이제 김기환 뉴욕 총영사는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한국 정부의 “역사 교과서 개정 계획은 어떻게 교과서가 출간되느냐가 아니라 그 안의 내용에 관한 것”이라고 말한다. 김 씨는 또한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의 사원 해고를 보다 쉽게 만들어줄 논란 많은 노동 개혁안에 대해, 이것이 경제에 이로우며, “노사정의 대타협에 기반을 둔 것”이라는 익숙하고 기만적인 공식 문구를 반복하고 있다. 여기에서 노사정의 대타협이라는 것은 실제로는 존재하지도 않는 국민적 합의를 칭하는 완곡어법이다.
Even less plausible is the notion, advanced by Kim in the same letter, that the government is prosecuting Lee Seok-woo, now former president of the popular online messenger service KakaoTalk, purely for failing to stop the spread of online child pornography. The government has been engaged in a tug-of-war with KakaoTalk since the early phase of this presidency over gaining access to the company’s vast user database and chat records.
김기환 씨가 같은 편지에서 주장한 말 중에 더욱 설득력이 없는 것은, 정부가 거대 온라인 메신저 회사인 카카오 전 대표 이석우 씨를 단지 미성년 음란물 공유를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소했다는 점이다. 정부는 대통령 임기 초반부터 카카오톡이 보유한 대규모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채팅 기록에 접근하기 위해 카카오톡 회사와 줄다리기를 해왔다.
As for the textbook reform, Kim merely confirms the point I made in my opinion piece: The government doesn’t care who publishes the history textbooks as long as they parrot the official line on what constitutes correct history. But seeing that most private publishers will not rehash the ruling party’s view on history, the government wishes to do away with them entirely and publish its own textbook for mandatory use.
교과서 개편에 관해 김 씨는 내가 기고에서 주장한 바를 확인해주었을 뿐이다: 즉 정부는 무엇이 올바른 역사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공식적인 정부 입장을 따라주기만 한다면 교과서를 누가 출판을 하든 상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민간 출판사들이 역사를 보는 여당의 관점을 재탕하지 않을 것임을 깨닫고서 정부는 아예 이들 출판사들을 제외시켜 버리고 정부 스스로 의무화될 국정교과서를 출판하기를 원한다.
There are troubling reports that the government tried to influence the editorial staff at The Nation and its writer Tim Shorrock after the magazine ran Shorrock’s article “In South Korea, a Dictator’s Daughter Cracks Down on Labor.”
<더 네이션>이 팀 쇼락의 “한국, 독재자의 딸이 노동자를 탄압하다”라는 기사를 보도한 이후에 한국 정부가 잡지 편집자와 쇼락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는 염려스러운 보도들이 있다.
That revelation, coupled with known information about standard government and corporate control over domestic journalism, paints a dreary picture of the state of free expression in South Korea. All this leads me to view the consul general’s letter to the editor of the NYT as a very positive development. In this case the government chose to address a critical editorial in a reasonable fashion, by writing a public rebuttal, in lieu of any intimidation or subversion tactics that I am aware of (unless you see the mysterious call from the foreign ministry that went nowhere as a form of intimidation).
국내 언론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일반적인 통제에 대해 잘 알려진 정보와 함께 그런 폭로는 국내 표현의 자유의 상황에 대해 음울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할 때 뉴욕타임스 편집장에게 보낸 총영사의 편지는 매우 긍정적인 발전으로 보인다. 이번 경우 한국 정부는 내가 알고 있는 협박이나 손상 전략을 쓰는 대신 (아무 일도 없었던 외교부의 그 의문의 전화를 일종의 협박이라고 보는 것이 아니라면) 공개적인 반박 글을 씀으로써 합리적인 방법으로 비판적 사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I am sad, however, that this kind of dialogue must and can only take place in the pages of a foreign newspaper. It is downright tragic that the only way to force the government to enter into what could be a meaningful conversation over matters of national importance is subjecting the government to ‘bad press’ for readers outside South Korea to see.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대화가 외국 신문의 지면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사실이 슬프다. 국가의 중대사를 두고 정부를 의미 있는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는 유일한 방법이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를 해외 독자들에게 해야 한다는 사실은 그야말로 비극이다.
I am of the opinion that South Korea’s current climate of repression will continue to worsen over the next two years in the run-up to the Dec. 2017 presidential election. But I hope that this government will choose to continue its course of constructive engagement with the media and writers of all stripes.
나는 한국의 현 탄압적 분위기가 2017년 12월 대선에 이르기까지 향후 2년간 계속해서 더욱 악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이 정부가 모든 분야의 언론과 작가들과 더불어 건설적인 대화에 계속해서 참여하기를 희망한다.
Let us all hope that words flow freely.
말의 소통이 자유롭기를 함께 희망해 보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