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성과는 기후변화 합의뿐” “어느 총장도 모든 나라는 만족 못 시켜”
ㆍWSJ “유엔의 투명인간” 평가…정치 야심 위해 직위 이용 비판도
ㆍWSJ “유엔의 투명인간” 평가…정치 야심 위해 직위 이용 비판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25일 관훈클럽 간담회에서 밝힌 것처럼 유엔 사무총장은 ‘세상에서 가장 불가능한 직업(the most impossible job)’이라는 말이 유엔 내에 널리 퍼져 있다. 강대국 간 세력다툼의 축소판처럼 여겨지는 유엔에서 사무총장이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역대 총장이 대부분 국제사회에 큰 영향력을 갖지 못하는 개도국, 중소국 출신이라는 사실은 그만큼 유엔 내에서 작용하는 국제적 역학관계가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엔 사무총장 역할의 한계
각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국제사회의 모순을 유엔 사무총장이 해결할 수는 없다. 역대 어느 총장도 모든 나라를 만족시키지는 못했다. 어느 시각에서 보느냐에 따라 평가는 달라진다. 언론이 내놓는 총장에 대한 평가는 맞는 부분도, 틀린 부분도 있다.
영국 주간 이코노미스트가 지난 21일 반 총장을 ‘실패한 리더’로 규정하고 “역대 최악의 총장”이라고 비판한 것도 이 범주에 속한다. 이코노미스트가 “반 총장이 10년 동안 임기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우수한 능력과 자질을 갖췄기 때문이 아니라 거부권을 가진 5개 상임이사국이 반대할 특별한 이유가 없는 무난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것은 모든 사무총장에게 해당되는 비판이다. 5개 상임이사국 중 한 나라라도 반대하는 인물은 사무총장이 될 수 없는 유엔의 구조적 모순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유엔 사무총장은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직접 얽히지 않은 이슈에 천착하게 된다. 그런 이슈가 아니면 운신하기 어렵고 업적을 남길 수도 없기 때문이다. 반 총장도 강대국과 각을 세우는 용기를 발휘하지는 못했지만 난민구호와 평화유지 분야 등에서는 그리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는다. 청렴도가 높고 스캔들에 휘말리지 않은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반 총장은 기후변화 문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도 “지난해 말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합의를 이끌어낸 것은 반기문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베테랑 유엔 전문기자의 반 총장 비판
하지만 반 총장이 역대 총장에 비해 더 나은 평가를 받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유엔 취재를 전문으로 하는 1인 매체 ‘이너시티프레스’의 매튜 리 기자(50)도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10년 넘게 유엔만을 대상으로 취재·보도활동을 해온 리 기자는 경향신문과의 e메일 인터뷰에서 반 총장이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당연히 해야 하고, 또 할 수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하지 않은 일을 몇 가지 지적했다.
우선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 파견된 유엔 평화유지군의 아동 성폭행 범죄를 들었다. 그는 “2014년 이후 소년들이 평화유지군에게 성폭행을 당한 사례가 42건이나 확인됐는데 이 중 단 1건만 기소가 이뤄졌고, 반 총장은 평화유지군의 책임자인 에르브 라드수의 책임을 묻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리 기자는 “라드수가 반기문이 사무총장에 선출될 수 있도록 협조해준 프랑스 출신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09년 스리랑카 내전 막바지에 일어난 타밀반군 지역 민간인 학살 사건에 대해 유엔이 미온적으로 대응한 것도 지적했다. 당시 반 총장은 자신의 비서실장인 비제이 남비아를 유엔 특사로 이 지역에 파견했다. 하지만 남비아가 인도 출신으로 타밀반군에 반대하는 성향이라는 점에서 유엔이 이 문제를 중재할 의사가 있느냐는 비판을 받았다. 유엔의 인도주의 업무를 담당하는 한 관계자는 “민간인 대량살상이 벌어질 것이 뻔히 보이는 상황에서, 반 총장은 평화유지·구호를 맡을 스태프를 들여보내는 결정을 차일피일 미뤘고 유엔 직원들은 눈앞의 참상을 보고 있어야만 했다. 이 일은 유엔 직원들의 임무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켰고, 큰 트라우마로 남았다”고 전했다.
2010년 아이티 지진 참사 당시 유엔이 콜레라에 감염된 평화유지군을 파견해 지진 현장에 질병이 창궐했다는 논란도 있다. 당시 콜레라가 퍼지면서 3년간 약 1만명이 사망하고 70만명 가까이 감염됐다. 피해자들은 역학조사 등을 근거로 2013년과 2014년 유엔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유엔은 관련성을 부인하고 있다. 리 기자는 “반기문은 관리 의무 소홀로 아이티에 콜레라를 퍼뜨려 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서 유엔을 위선자로 비치게 했으면서도 소송 문서 뒤에 숨어서 피해자들에게 한 푼도 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총장으로서 처신 논란
반 총장이 이번 방한에서 사실상 대권 도전 의사를 밝힘으로써 마음이 이미 한국 정치판에 가 있다는 사실을 국제사회가 알게 됐다. 국내정치적 야심을 위해 유엔 사무총장 직위를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 총장의 태도는 전임자인 코피 아난 총장이 퇴임 후 가나의 대통령이 되는 것에 관심이 없었던 것과도 대비된다. 사무총장 퇴임 후 개별 회원국의 정부직을 맡지 못하도록 한 1946년 유엔총회 결의에 어긋난다는 말도 나온다. 리 기자는 “유엔 일부 외교관들이 반 총장의 방한을 보면서 ‘애처롭다(pathetic)’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반 총장 임기는 7개월 남았다. 이번 한국 방문으로 반 총장이 남은 기간 동안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임무를 수행하기는 더 어려워졌다. 반 총장은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언론에 당부했지만, 정작 자신은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처신하지 못한 셈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