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2차 청문회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여러 중요한 사실들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고 또한 새로운 의혹들을 제기하며 향후 진상규명의 과제를 남겼다.
사건 당일인 2014년 4월16일 승객들을 버리고 자신들만 탈출했던 이준석 선장과 선원들은 그동안 선사의 지시가 있었는지, 조타실에서 이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는지에 대해 굳게 입을 다물고 있었다. 이준석 선장과 강원식 1항사 등은 ‘퇴선지시를 했지만 전달이 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나 조타실에 있던 다른 선원들은 이준석 선장이 어떤 지시도 하지 않았다고 하는 등 진술이 엇갈려왔다. 재판과정에서도 승객들에 대한 선내 대기 명령의 고의성이 드러나지 않아, 이준석 선장에 대해서만 ‘부작위에 의한 살인죄’로 처벌이 이뤄지는 데 그쳤다.
▲ 세월호 2차 청문회 2일차 사진=이치열 기자 truth710@ |
조타수 조준기는 퇴선여부를 빠르게 판단하라는 진도vts와의 교신(9시25분-26분) 직후 “박한결을 제외한 세명의 사관들(1항사, 2항사, 견습 1항사)들이 한참동안 교신내용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었고 “그 결과 대기시키자는 결론이 나온 것”이라고 진술했다. 또한 이같은 결정은 “둘라에이스 뿐만 아니라 다른 어선들이 있을 때 승객들을 내보내면 세월호 선원들의 문제가 되기 때문으로 해경에 인수인계 해주면 세월호 선원들은 그 책임에서 자유로우니 그랬다”는 것이다.
여객부 직원 강혜성은 앞서 청해진해운이 세월호 선원들에게 선내 대기를 지시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강씨는 참사 당일인 9시26분경 양대홍(배에서 사망) 사무장으로부터 “나는 지금 조타실인데 10분 후에 해경이 올거야. 구명조끼 입혀. 선사 쪽에서 대기 지시가 왔어. 추가 지시가 있을 때까지 구명조끼 입히고 기다려”라는 말을 들었다고 진술했다.
조타실의 간부선원들 역시 선내 대기 결정이 있기 전 청해진해운 본사와의 유선 연락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청문회에서 승객들을 대기시키기로 한 세월호 선사의 지시와 선원들간의 의견교환이 확인됨에 따라 이들 선원들과 청해진해운 임직원들에 대한 재수사와 처벌이 불가피해 보인다. 또한 이같은 결정이 세월호 선원들과 교신하고 있던 해경 관계자들과 관련이 있는지도 조사가 이뤄져야 할 상황이다.
2014년 7월 복원된 세월호 선내 노트북에 남아있던 '국정원지적사항' 문건이 발견된 이후 각종 의혹과 추정에 머물던 국정원과 청해진해운의 관계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청해진해운과 국정원은 실제 참사 발생 수년전부터 잦은 접촉을 해왔고, 청해진해운이 국정원 직원들에게 향응을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 사진=이치열 기자 |
국정원이 참사 당시 문자보고만 받았다고 주장한 것과 달리 청해진해운 직원들에게 7차례 전화를 걸었고, 국정원이 포함된 해양사고보고계통도 역시 관계기관과 협의과정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국정원과 청해진해운 간에 유착관계가 만들어진 이유와 그 성격에 대해선 이후 진상규명의 과제로 남겨졌다.
청문회를 통해 새로 제기된 의혹들도 있다.
특조위가 수중촬영된 세월호 영상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월호의 평형수 게이지는 ‘0’으로 선내엔 평형수가 전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출항 당시 평형수를 일부 뺐더라도 만재흘수선이 맞춰져 있었다 점에서, 세월호의 평형수는 출항 이후에 모두 배출됐다는 얘기다. 침몰 이후에 평형수가 유출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이같은 평형수 배출이 언제 일어났는지 침몰 원인과 관련이 없는지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청문회에선 2014년 10월 해경이 촬영한 영상이 공개됐는데, 조타기 시스템 전원이 ‘OFF’로 맞춰져 있는 점도 드러났다. 세월호는 인천-제주를 오갈시 목적지 방향에 따라 조타기를 인천행과 제주행으로 선택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누군가 의도적으로 끄지 않았다면 제주행으로 레버 방향이 맞춰져 있어야 한다. 세월호가 이상 급변침을 할 당시, 그리고 이후 선원들의 대응과정과 관련해 규명돼야 할 부분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