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자며 제안한 '청년희망펀드'의 가입 실적이, 수탁사인 은행에서 정부 국무조정실(구 국무총리실)로 매일 보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박 대통령이 직접 제안자 겸 '1호 가입자'가 된 사업인 만큼 정부의 관심은 당연하지만, 자칫 은행들로 하여금 정부 눈치를 보며 실적 경쟁에 돌입하게 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예상된다.
22일 금융업계와 정부 측 얘기를 종합하면, 국무조정실은 신한·우리·KB국민·KEB하나·NH농협(가나다순) 등 5개 수탁 은행 전체에서 이 공익신탁에 가입한 인원(계좌) 수와 금액 등을 일 단위로 파악하고 있다. 한 국무조정실 직원은 "기획총괄 부문에서 5개 은행에 대한 누적 (가입)건수와 금액 통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KEB하나은행이 직원들에게 1인당 1개에서 많게는 수 개씩 계좌를 만들라고 지시한 일이 <프레시안> 보도로 밝혀졌고, (☞관련 기사 : 박근혜 '청년희망펀드', 은행 직원들 '강제 가입'?) 금융노조는 "자발적 의사에 의한 순수한 기부로 추진돼야 할 청년희망펀드를 강제 할당(함)으로 인해 본연의 취지를 훼손시켜서는 안 될 것"이라며 "청년희망펀드가 강제적 실적 압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 당국과 수탁은행들에 각별한 주의와 경계를 촉구한다"는 성명을 냈다.
정부로서는 박 대통령이 직접 국무회의에서 지시한 일이니 통상적인 업무 파악을 하는 것이라 해도, 은행들 입장에서는 눈치가 보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금융산업은 원래 '규제 산업'이란 말을 들을 만큼 제도 변경에 일희일비가 달려 있어, 정부의 숨소리 하나에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처지다. 지난 2013년 논란이 된 조원동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의 "좋은 관치" 발언도 금융권을 배경으로 나온 말이다.
실제로 금융업계에서는 '청년희망펀드 가입 실적을 정부에 보고하느냐'는 평범한 질문에도 답을 하지 않으려 하는 등 몸을 사리고 있다. 한 은행의 고위 간부는 이같은 사정을 충분히 알 만한 위치에 있음에도 "그것은 저도 모른다"며 손사래를 쳤고, 은행연합회 측도 '청년희망펀드 실적을 은행연합회에서 종합해 정부에 보고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을 저희가 말씀드리긴 '그렇다.' 국무조정실에 문의해 달라"고만 했다.
KEB하나은행 홍보실 '거짓말' 들통…"직원이 잘 몰라서…"
전날 <프레시안>은 KEB하나은행이 직원들에게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지시한 사실을 밝혀냈으나, 이 은행 홍보실은 언론의 취재에 "의무 가입 같은 것은 없고, 본사 차원의 지시도 없었다.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한 것"이라고 부인하다가 뒤늦게 보도자료를 내어 이를 인정했다.
이 은행은 전날 밤 "청년희망펀드에 직원들부터 먼저 참여해 은행 이미지를 제고하자는 의미로 안내 메일을 발송했다"며 "그러나 일부 직원들의 오해가 있어 추가로 메일을 보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안내했다"고 했다. 이 말을 뒤집으면, 앞서 보낸 '안내 메일'은 '자발적' 참여 독려가 아닌 것으로 받아들일 만하다는 얘기다. 은행 측은 그러나 '안내 메일'의 취지는 "공익신탁 출시를 통해 고객기반 확대 및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였으며,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KEB하나은행 홍보담당 임원은 23일 오전 통화에서 "'고객에게 판매를 권유하려면 직원들이 잘 알아야 한다. 교육을 하라'고 공문이 나갔어야 하는 것인데, 직원들에게 '한 계좌씩 협조를 부탁한다'는 식이 돼서 반발이 있었다"며 "일부 지점에서 지점장이 무리하게 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임원은 은행 홍보실에서 '본사 차원 지시가 없었다'고 거짓 해명을 한 점에 대해서는 "직원들이 잘 몰라서 그런 것"이라며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편 전날 <프레시안>이 이 은행에서 일어난 '억지 기부' 사례를 보도한 이후, 다른 은행 직원들로부터 나온 추가 증언과 이를 다룬 언론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신한은행의 한 지점 직원은 <한겨레>에 "본부 직원에게서 본부장 지시라며 가입을 권유하는 전화를 받았다. '행원 1만원, 책임자 10만원'으로 금액을 특정해 지시한 영업점도 있다"고 했고, KB국민은행 직원도 이 신문에 "(본인은 물론) '가족 계좌도 무조건 개설하라'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KB국민은행의 다른 직원은 <경향신문>에 "위에서 지시가 있었다고 말은 못하지만 은행 내에서 본부장들이 '다 알아서 (가입)하자'는 식으로 기류가 형성됐다"고 밝혔고, KEB하나은행과 같은 그룹 소속인 하나금융투자에서도 한 직원이 "팀장으로부터 구두로 가입 지시를 받았다. 단체로 인근 하나은행 지점을 방문해 가입하느라 100여 명이 장사진을 이루기도 했다"고 증언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포털사이트 뉴스 페이지에도 은행원 등 업계 관계자라는 이들의 이들의 댓글이 줄줄이 달렸다. val***라는 아이디를 쓰는 누리꾼은 "나도 신한은행 직원인데, 오늘 5만 원 '박았다'"고 했고, shi***라는 누리꾼은 "점장 10만 원, 책임자 5만 원, 행원 1만원…. 만날 '몇 개했냐'는 본부 전화 진짜 지겹다"고 했다. lif***는 "은행에 이것 말고도 할당이 얼마나 많은데, 지겹다 진짜"라고 했다.
22일 금융업계와 정부 측 얘기를 종합하면, 국무조정실은 신한·우리·KB국민·KEB하나·NH농협(가나다순) 등 5개 수탁 은행 전체에서 이 공익신탁에 가입한 인원(계좌) 수와 금액 등을 일 단위로 파악하고 있다. 한 국무조정실 직원은 "기획총괄 부문에서 5개 은행에 대한 누적 (가입)건수와 금액 통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KEB하나은행이 직원들에게 1인당 1개에서 많게는 수 개씩 계좌를 만들라고 지시한 일이 <프레시안> 보도로 밝혀졌고, (☞관련 기사 : 박근혜 '청년희망펀드', 은행 직원들 '강제 가입'?) 금융노조는 "자발적 의사에 의한 순수한 기부로 추진돼야 할 청년희망펀드를 강제 할당(함)으로 인해 본연의 취지를 훼손시켜서는 안 될 것"이라며 "청년희망펀드가 강제적 실적 압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 당국과 수탁은행들에 각별한 주의와 경계를 촉구한다"는 성명을 냈다.
정부로서는 박 대통령이 직접 국무회의에서 지시한 일이니 통상적인 업무 파악을 하는 것이라 해도, 은행들 입장에서는 눈치가 보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금융산업은 원래 '규제 산업'이란 말을 들을 만큼 제도 변경에 일희일비가 달려 있어, 정부의 숨소리 하나에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처지다. 지난 2013년 논란이 된 조원동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의 "좋은 관치" 발언도 금융권을 배경으로 나온 말이다.
실제로 금융업계에서는 '청년희망펀드 가입 실적을 정부에 보고하느냐'는 평범한 질문에도 답을 하지 않으려 하는 등 몸을 사리고 있다. 한 은행의 고위 간부는 이같은 사정을 충분히 알 만한 위치에 있음에도 "그것은 저도 모른다"며 손사래를 쳤고, 은행연합회 측도 '청년희망펀드 실적을 은행연합회에서 종합해 정부에 보고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을 저희가 말씀드리긴 '그렇다.' 국무조정실에 문의해 달라"고만 했다.
KEB하나은행 홍보실 '거짓말' 들통…"직원이 잘 몰라서…"
전날 <프레시안>은 KEB하나은행이 직원들에게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지시한 사실을 밝혀냈으나, 이 은행 홍보실은 언론의 취재에 "의무 가입 같은 것은 없고, 본사 차원의 지시도 없었다.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동참한 것"이라고 부인하다가 뒤늦게 보도자료를 내어 이를 인정했다.
이 은행은 전날 밤 "청년희망펀드에 직원들부터 먼저 참여해 은행 이미지를 제고하자는 의미로 안내 메일을 발송했다"며 "그러나 일부 직원들의 오해가 있어 추가로 메일을 보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안내했다"고 했다. 이 말을 뒤집으면, 앞서 보낸 '안내 메일'은 '자발적' 참여 독려가 아닌 것으로 받아들일 만하다는 얘기다. 은행 측은 그러나 '안내 메일'의 취지는 "공익신탁 출시를 통해 고객기반 확대 및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였으며,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KEB하나은행 홍보담당 임원은 23일 오전 통화에서 "'고객에게 판매를 권유하려면 직원들이 잘 알아야 한다. 교육을 하라'고 공문이 나갔어야 하는 것인데, 직원들에게 '한 계좌씩 협조를 부탁한다'는 식이 돼서 반발이 있었다"며 "일부 지점에서 지점장이 무리하게 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임원은 은행 홍보실에서 '본사 차원 지시가 없었다'고 거짓 해명을 한 점에 대해서는 "직원들이 잘 몰라서 그런 것"이라며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편 전날 <프레시안>이 이 은행에서 일어난 '억지 기부' 사례를 보도한 이후, 다른 은행 직원들로부터 나온 추가 증언과 이를 다룬 언론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신한은행의 한 지점 직원은 <한겨레>에 "본부 직원에게서 본부장 지시라며 가입을 권유하는 전화를 받았다. '행원 1만원, 책임자 10만원'으로 금액을 특정해 지시한 영업점도 있다"고 했고, KB국민은행 직원도 이 신문에 "(본인은 물론) '가족 계좌도 무조건 개설하라'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KB국민은행의 다른 직원은 <경향신문>에 "위에서 지시가 있었다고 말은 못하지만 은행 내에서 본부장들이 '다 알아서 (가입)하자'는 식으로 기류가 형성됐다"고 밝혔고, KEB하나은행과 같은 그룹 소속인 하나금융투자에서도 한 직원이 "팀장으로부터 구두로 가입 지시를 받았다. 단체로 인근 하나은행 지점을 방문해 가입하느라 100여 명이 장사진을 이루기도 했다"고 증언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포털사이트 뉴스 페이지에도 은행원 등 업계 관계자라는 이들의 이들의 댓글이 줄줄이 달렸다. val***라는 아이디를 쓰는 누리꾼은 "나도 신한은행 직원인데, 오늘 5만 원 '박았다'"고 했고, shi***라는 누리꾼은 "점장 10만 원, 책임자 5만 원, 행원 1만원…. 만날 '몇 개했냐'는 본부 전화 진짜 지겹다"고 했다. lif***는 "은행에 이것 말고도 할당이 얼마나 많은데, 지겹다 진짜"라고 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