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Saturday, April 18, 2015

How South Korea’s Politicized Intelligence Service Damages Itself—and the U.S. Soo Kim

8722047415_97d46c9584_k

How South Korea’s Politicized Intelligence Service Damages Itself—and the U.S.

 ON APRIL 8 |  IN ASIA-PACIFICFOREIGN POLICY
Print Friendly
On 3 April, the founder of South Korea’s first intelligence agency, Kim Jong-pil, did something rather unexpected for an elderly spymaster: he told the press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should return to its core mission of collecting intelligence and refrain from meddling in domestic investigations. “[The NIS] just needs to focus on the basic responsibilities of an intelligence organization,” he said, “and leave the anti-Communist investigation tasks to the police.”
Kim’s criticism of the NIS overstepping its bounds hit an already sensitive nerve in South Korea’s intelligence community, which had been already reeling from a series of recent corruption scandals. Some in South Korea are grumbling the service has reverted back to old practices of Korea’s era of military rule, using coercion and trumped up evidence to benefi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For South Korea, a robust, fully-functioning and reliable security and intelligence cooperation is crucial in protecting its homeland against the constant threats of North Korea’s WMDs and provocations. Yet NIS’ continuing behavior will only continue to weaken South Korea’s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ts strongest and most reliable ally. This is because NIS’ reputation as a porous, politically pliant organization diminishes Seoul’s credibility as a reliable partner.
The net effect may be the U.S. might always be thinking twice about providing truly sensitive intelligence to South Korea. This would be a pity, since both nations need each other’s help to face real threats on the peninsula and in the Pacific.
*****
The NIS has long been accused of politicizing intelligence, but it was hoped when South Korea’s transitioned from dictatorship to democracy, this behavior might have lessened. Sadly, this does not seem to be the case.
The NIS frequently leaks intelligence to the press to showcase its “successes” to the domestic audience, regardless of the consequences to national security, collection efforts, and sources. For example, in October 2014, a district court in South Korea convicted two NIS counterintelligence officials of fabricating Chinese documents to build a case against a North Korean refugee named Yu. They faked immigration documents and accused Yu of spying for North Korea’s State Security Department. The NIS faced blowback and embarrassment, however, when Yu’s sister gave a news conference asserting the service coerced her to make false accusations against her brother. Moreover, she was held for six months in the Joint Interrogation Center near the capital in near-isolation and without access to a lawyer.
This February, former NIS chief Won Sei-hoon was sentenced to three years in jail for meddling in South Korea’s 2012 presidential elections. Won, who served as head of the spy agency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as charged with violating South Korea’s election law by willfully neglecting a NIS-enacted political smear campaign against opposition candidates to sway public opinion in favor of the ruling party’s then-candidate, Park Geun-hye. This came on the heels of Won’s earlier conviction in January 2014 for accepting bribes from a South Korean businessman in exchange for securing construction deals with major corporations.
These scandals are beginning to add up. Now, core American interests could be at risk because intelligence “success” leaks could reveal the shared sources and collection methods between the Korean and U.S. intelligence services, undoing the time and manpower invested in these operations. American intelligence capabilities against certain targets — North Korea in this case — could be severely weakened and compromised. By extension, the U.S.-South Korea security partnership would be made more vulnerable to North Korean threats and provocations.
It goes without saying these ugly incidents also chip away at the South Korean public’s confidence in the spy organization. NIS’ recent shenanigans undermine the actual purpose of having an intelligence organization in the first place — which, in South Korea’s case, is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to ultimately topple the North Korean regime, as well as protect the homeland from DPRK attacks. Also, from North Korea’s perspective, it just makes the South look more penetrable and susceptible to Pyongyang’s political and ideological assaults.
The secrecy surrounding the business of intelligence makes it all too convenient for the NIS and the presidential office to skirt legislation designed to hold them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It’s also difficult for South Korean citizens to fully comprehend the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s on the NIS. The idea of giving greater transparency into the NIS’ activities has been entertained, but presidential administrations have been hesitant to follow through, for restrictions on the intelligence service’s influence would also undercut the Blue House’s own powers.
Seoul’s efforts to address these perennial issues merely scrape the surface of the problem. Forcing resignations and imprisoning select intelligence officials does not address the root causes of the problem. Without addressing certain systemic issues, the NIS will continue with flawed practices and misuse of its responsibilities.
*****
South Korea should take several real steps to fix this situation. First, the NIS must remove itself from being utilized as a tool of political influence by the ruling government. Second, South Korean legislators also must exercise greater oversight into the NIS’ activities. Right now, the NIS’ extensive powers with little surveillance have enabled the service to define “unreasonably expansively” its activities and scope of power. Finally, the NIS should also be restricted from intervening in domestic politics in any shape or form.
With regard to intelligence cooperation with partner countries — most importantly, the U.S. — the NIS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realize these leaks and power-meddling scandals only hurt the Korean intelligence service’s credibility and damage the partnership. The disclosure of sources and collection efforts weaken the intelligence capabilities of the U.S.-South Korean intelligence partnership. In the long run, will make other countries more hesitant to cooperate with Seoul on future intelligence and security effort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ntelligence service are aware of the need to address these flaws. In March, the newly-nominated NIS chief Lee Byung-ho affirmed his commitment to make national security the priority in his management of the agency and prevent the NIS from meddling in political affairs. But he isn’t the first spy chief to make such promises. And Lee has been under fire for his background — seven of his children and grandchildren hold citizenship or permanent resident statuses in the U.S. — and alleged personal views that align with those of the Park administration.
The Park administration’s selection of Lee indicates it will take more than just a new chief of intelligence with well-intentioned ambitions to change the NIS’ old habits. As spymaster Kim noted, the fundamentals of South Korean intelligence needs to remember its core mission and get back to basics for any real changes to occur in the spy agency.
Soo Kim is a former CIA analyst and linguist for Northeast Asia. She specializes in leadership dynamics, decision-mak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political psychology. She is currently a national security fellow at a DC-based think tank.
Photo: South Korean President Park arriving in the U.S. in 2013. (Republic of Korea official photograph)

‘경찰 훔친물’ 고발했더니..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 연행 종로소방서 “경찰에 소화전 사용 사전허가 한 적 없다”


[포토영상]세월호 참사 1주기 광화문 집회 현장 스케치 세월호 광화문집회 참가자·경찰 충돌…유족 시민 90여명 연행

▲  물대포 분사   © 이성민 기자


[플러스코리아타임즈=이성민 기자]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유가족들이 광화문 광장에서 진실규명을 외치며 연좌 농성을 하는 가운데, 유가족·시민들과 경찰이 충돌을 빚어 90여명이 연행되었다.

이날 세월호 유가족 100여 명은 지난 16일 밤 세월호 참사 1주년 추모제를 마치고 광화문 누각 앞에서 농성을 벌였다.

이에 경찰이 해산 명령을 내렸지만 불응해 충돌이 빚었다. 18일 경찰은 광화문을 비롯한 경복궁, 세종대왕 동상, 세종로 사거리, 파이낸셜 빌딩 등지에 차벽트럭 등 차량 500대 정도와 안전펜스 등을 동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 6시20분께 광화문 광장에 모인 집회 참가자 6천여명은 세종대왕상 인근 경찰 저지선을 뚫는 과정에서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 참가자들이 세종문화회관 인도 쪽을 통해 광화문 광장 북쪽으로 이동하자 경찰은 캡사이신을 분사하고 물대포를 쏘며 이를 저지했다.

또한 이날 오후 3시께 광화문 앞, 경찰 버스 위에 올라간 사람들을 경찰이 제압했다. '유민아빠' 김영오 씨를 포함해 세월호 유가족 및 시민 90여명이 연행됐다. 다음은 아고라에 올린 이병헌씨의 사진과 영상이다.






하는 짓들 좀 봐. 버스로 다 막아놨어.









자식 잃고 진상규명을 외치던 유민아빠 김영오씨를 경찰이 저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연 어떤 주의의 나라인가 ?
여기가 진짜 민주주의란 말인가 ?
본인은 공산주의 국가 중국에서도 살아봤고 민주주의의 심장인 미국에서도 살아봤다.
그래서 어떤 것이 진짜 민주주의 인지도 아주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 행태는 절대 민주주의가 아니다.
그 어떤 민주주의가 죄 없는 궁민들의 집회를 저런식으로 탄압하는가 ?
진정 한국이 민주주의라면, 박근혜와 이명박 그리고 그 똘마니들 국정원장과 검찰총장 법무장관은
물론 국방부장관 등 국가중요기관장들은 벌써 싹 다 잡혀 감옥에 가 있어야 정상이다.

어떤 나라의 검찰이 국정원과 합세하여 증거를 조작하여 가짜 간첩을 만들어내고
어떤 나라의 정보국이 대선에 개입하여 컴퓨터 댓글조작에 가담하는가 ?
그리고 어떤 나라의 법원이 그런 혐의가 모두 증거에 의해 밝혀져도 무죄를 선고하며
어떤 나라의 대법원이 그 소송에 있어 소송자체를 미루고 깔고 앉아 있으면서 그 소송의 주인공들을
검찰이 잡아들여 구속시켜 감옥을 살리는가

그리고 그 어떤 나라의 부정선거범이 대통이랍시고 국가적으로 가장 큰 비극을 가진 그런 날
해외 순방을 떠나는가 ?  이건 정신이 나간 미친 나라다. 미친 나라. 이게 과연 정상이라고 생각하는가 ?
민주주의가 실현되고 있다는 나라 중에 이런 나라는 없다.

다 잡아 들여야 한다.
부정선거한 박근혜 부터 시작해서 자원외교 한답시고 자기 형 보내 뒷계약 하고 수십조원
말아먹고 안에서는 4대강 운운하며 자기 동창들에게 일감 다 몰아주고 다 해처먹은 이명박은 
물론 정보국이랍시고 정권 잡은 놈 뒤치닥꺼리나 하고 있는 쓰레기 국정원과 줄서기에 급급하여
충성을 외치는 경찰청과 검찰 법원 그리고 짝퉁대포 짝퉁구조함 짝퉁정비 자기들만의 황제골프장
건설로 궁민세금 다 빼돌리는 육해공 군부와 궁민세금이 어떻게 쓰여지는지 감사해야 하고 직무감찰을
해야 하는 청와대 직속 똘마니 감사원까지 싸그리 몽땅 뒤져서 궁민들 한테 까불고 못된 짓 하면 자기
인생이 한방에 죽은 목숨이 된다는 것도 즉시에 알려주어야 한다.

전부 도둑놈들이 아닌가 말이다.
궁민들은 죽거나 말거나 자기 일들 아니고 .... 그저 ~ 
자기 주둥이에 맛있는거 더 처넣고 좋은집 좋은옷 많은 돈 들고서 오래 오래 부귀영화 누리고 살겠다고
궁민들 모르게 해외에 뭉치돈 다 빼돌리고 흥청망청 거리면서 대한민국은 오로지 자기들 돈벌이 하는
나라로만 생각하는 아주 못된 놈들 말이다.

그런 놈들이 무슨 정치인 이란 말인가 ?
그리고 그런 놈들이 어찌 궁민들을 대표할 수 있단 말인가 ?
그들의 돈은 전부 국고에 채워야 하며 사돈에 팔촌까지 재산을 다 조사하여 소득 증명 못하는 돈은
전부 다 뺏어 버리고 그런 돈을 갖고 있었다는 자체만으로도 종신형에 처해야 한다.
당사자 뿐 아니라 사돈에 팔촌은 물론 외국 국적을 갖고 있는 자들도 마찬가지다. 
싸그리 몽땅 다 조사하여 처리해야 한다.



캡사이신 최루액 분사



어제는 집회중인 궁민들의 화장실 문제 해결한 해결사 정청래.






폴리스 라인이라고 거대 철벽을 세워 시민들의 진격을 막으면서 
폴리스 라인이 아름다운 질서의 또 다른 이름이랜다. 참나 ....

아래 영상은 팩트 TV의  지금 실시간 생중계 현장입니다.








[원글주소: 아고라 이병헌(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3244376&pageIndex=1)

관련기사
[포토] 세월호 참사 1주기, 세월호를 인양하라
[포토]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 부산역서 열려
500여명 경찰저지선 뚫고 청와대 앞 도로 진입
시민들 경찰 2차 저지선 뚫어 경북궁앞 격렬 대치중
광화문 경찰저지선 뚫려, 물대포 시민에 고립
광화문 곳곳서 충돌…경찰이 쇠파이프는 왜?

검찰총장 김진태, 막역한 사이 홍준표 제대로 수사 할까? 이번도 청와대 가드라인?...결론 뻔한 수사 가능성 농후


검찰이 특별수사팀까지 꾸려 수사에 나섰지만 실제로 수사가 제대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정윤회 관련 수사도 사실상 정권이 가이드라인을 정해준대로 끝난 것과 비슷하다.

일단 이번 수사 대상이 권력의 핵심부란 이유가 가장 크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 전 현직 비서실장 3명이 모두 포함돼 있다.

순서대로 허태열, 김기춘, 이병기 비서실장까지 그리고 현직 이완구 국무총리가 포함됐다. 새누리당 사무총장을 지낸 홍문종 의원과 친박 핵심인 유정복 인천시장, 서병수 부산시장, 친박 핵심은 아니지만 홍준표 경남지사 등이다.

이 중 홍준표 경남지사는 김진태 검찰총장과 사시 동기로 막역한 사이인데다 지난 총장 임명 시 홍 지사가 많이 밀었다는 공공연한 소문이 파다해 제대로 수사가 이뤄질지 의문이다.  고 성완종 회장은 평소 두 사람의 이런 막역한 관계를 알고 홍지사에게 부탁을 했으나 사실 상 거절당하자 앙심을 품고 리스트를 공개한 것으로 추측된다. 

검찰이 이들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지만 사실 소환조사도 녹녹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수수사에 정통한 검찰이 한 고위관계자는 “성완종 전 회장의 폭로를 입증할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소환조사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권의 핵심 실세들을 상대해야 하는 수사이다보니 그만큼 수사가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또 핵폭탄이 도사리고 있다. 성 전 회장은 홍문종 의원에게 전달한 돈이 대선자금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2012년 대선자금이 수사대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거명된 8명 중 홍준표 지사를 제외한 7명이 친박 핵심이고 돈도 대선자금이거나 대선 후보 경선자금과 연관이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무관하지 않다는 얘기다.

그럴 경우 이번수사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 있고 박근혜 정부는 집권 3년차에 레임덕을 넘어서 식물정부가 될 우려도 없지 않다. 그러다보니 청와대로서는 국민적 의혹을 잠재우면서도 적절한 선에서 타협이 가능한 카드를 고심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특별수사팀이 수사를 잘해도 국민적인 지지를 받기는 어려운 수사라는 얘기다. 또 이런 수사는 통상 특검으로 넘어가게 되어있다. 정치적 의혹이 그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검찰이 특별수사본부가 아닌 특별수사팀으로 명칭을 한정한 이유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수사팀에 전권을 줬다가는 어디로 튈지도 모를 상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근혜 정부는 이미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 수사와 관련해 채동욱 전 검찰총장에게 당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그런 점을 고려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따라서 호남 출신의 특수통 검사장이 수사를 세게 했는데도 ‘성완종 리스트’의 실체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발표하면 여론이나 정치권의 거센 비판을 피해 갈 수 있는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본다는 얘기다. 검찰 내부 관계자들은 문무일 검사장이 특수통 출신이고 호남출신이어서 적절한 선택이라는 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그렇지만 문무일 검사장을 선택한 것이 정말로 진실을 파헤치기 위한 것이냐? 아니면 모양 갖추기를 위한 것이냐? 에 대해서는 엇갈리는 반응들이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총장이 되기 이전까지는 ‘강골 특수통 검사’로 불려왔다. 그렇지만 검찰총장이 된 뒤에는 청와대의 입맛에 맞는 수사를 한다는 안팎의 비판을 받아왔다.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유출’이나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 ‘채동욱 전 검찰총장에 대한 사찰의혹’, ‘정윤회 씨와 문고리 3인방의 국정개입 의혹’, ‘전 산케이신문 지국장 명예훼손 사건’ 등을 처리하면서 청와대 눈치 보기를 한다는 비판을 받은 것이다.

정치권과 법조계 일각에서는 특별수사팀 구성이 검찰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 아니라 청와대와 정부 여당이 사전에 협의한 결과라는 얘기들이 나온다.

여기에다 검찰이 특별수사팀 구성을 발표한 타이밍도 어색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당부한 직후에 이뤄진 것이다. 사전 협의에 의한 것인지 오비이락인지는 모르겠지만 적절한 타이밍은 아니었다는 얘기다

 선데이 저널 USA 리차드 윤 기자 http://www.sundayjournalusa.com/   

[김현철 칼럼] 미국서 바라 본 세월호 세월호 침몰 1년을 맞으며 ..


세월호(6천톤급, 인천 제주 간 여객선) 참사 1년이 되도록
그 진상은 오리무중이다.
왜 그럴까?

대부분 꽃다운 나이인 10대 등 3백여 명이 희생당한 이 참사가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단순교통사고'가 확실하다면 어느 유가족이, 어느 누가 그 진상을 밝히라며 1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울부짖으며 아우성 칠 수 있을까? 단순교통사고가 아닌, 타살 혐의가 짙은 사건이니 진짜 사고 원인을 밝혀달라는 절규인 것이다.

사건 발생 직후부터 팽목항 현장을 지키던 그 많은 유가족, 안타까워 발을 동동 구르던 일반인 수천 명, 하나라도 살려 보겠다고 자진해서 현장에 달려 간 구조 전문 자원가들 그리고 그 후 꾸준히 진실을 밝히려고 애를 쓴 '기레기' 아닌 진짜 언론인 및 다큐 영화감독, 해양사고 전문가 등이 눈을 부릅뜨고 확인한 내용 덕분에, 세월호 참사는 정부가 국민을 속이고 숨긴 사건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여론조사에 나타났듯, 64%의 국민이 정부의 세월호에 대한 처사가 옳지 않았다며 정부를 불신하는 자세를 보이지 않았던가.

우선 무엇보다도, 정부가 진정으로 국민 하나라도 살려 보겠다는 의지가 있었다면 선장을 비롯해 배의 맨 밑바닥에 있는 기관실 선원까지 모두 무사히 탈출시켜 구조하면서 배가 완전히 갈앉는 순간까지의 기나 긴 100분간을 승객들에게 한결같이 "그 자리에 꼼짝 말고 가만히 있으라"는 말만을 되풀이 할 수 있었을까? 빠르면 5분, 늦어도 20분이면 승객 전원 구조가 가능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인데다 승객들 각자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였기에 퇴출명령만 내렸다면 모두가 살아나올 수 있었다는 사실을 누가 부인할 수 있겠는가?

정부가 국민을 기만하려 하지 않았다면, 유가족들이 그토록 눈물로 호소하는 참사 진실 규명을 끝내 외면하다가 여론이 악화하자 정부는 이제 흉내라도 내서 다시 국민을 속이려는 듯 진실규명 위원회를 조직하는 척 하더니 이 사건의 총책임을 지고 법정에 제일 먼저 서야할 피의자인 해양수산부(해수부)가 실질적으로 위원회를 좌지우지 하도록 법을 만들어 인사배치를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감출 게 너무도 많다는 것이 아닌가? 도둑에게 도둑을 잡으라는 말인가?

또 정부는 한 술 더 떠서 생존자나 희생자 가족의 대학 '특례입학' 이니, ‘특혜’ ‘보상’ ‘의사자’…등,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요구한 적이 전혀 없는 내용들을 마치 정부에 과도한 특권을 요구하고 있는 것처럼 언론플레이로 유가족들을 간접 공격했고 그 결과 일시적으로 세월호 유족들에 대한 여론을 악화시키는 데 성공했으니 엄청난 거짓말에, 교활한 술수까지 너무도 유능한 정부가 아닌가.

정부가 진실로 국민 한사람이라도 살려야 한다는 책임감이 있었다면 이 배의 탑승객 수가 얼마인지 알면서 태부족한 장비만 현장에 보냈겠으며 진심으로 해경이 구조 의지가 있었다면 해군과 미군 헬기, 소방구조원, 그 많은 민간인 잠수 전문가들의 구조 요청을 그 상황에서 끝내 거부할 수는 없었을 것 아닌가. 그러고도 어떻게 그 상황에서 겨우 100톤급 해경 123정 한 척과 헬리콥터 3대만이 세월호 주변을 뒷짐 지고 서성거리다 그나마도 배가 완전히 갈앉기도 전에 해경 전원이 철수할 수 있었겠는가?

해수부가 진정으로 사건 원인을 조사하겠다는 의지가 있었다면 옆을 통과하던 두우페밀리 상선 블랙박스를 통해 입수한 레이더와 AIS 기록 중 보다 정확한 레이더 내용은 활용하지 않고 보다 허술한 AIS 기록만을 채택할 수 있었겠는가? 또 민간 전문가들이 이러한 내용의 항적도가 가짜임을 눈치 채자 해수부는 또 다시 엔진을 끈 시점, 사고 지점 등 항적도를 새로 조작했음은 뭔가 감춰야 한다는 정부의 조바심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정부가 진심으로 이 사건이 국민 3백여 명을 희생시킨 엄중한 사건이라 파악했다면 감사원이 조사 후, 목포해양경찰서장, 서해지방해양경찰청장을 처벌해야 한다는 건의를 무시하고 오늘까지 당연히 처벌받아 마땅한 공직자 단 한 사람 처벌하지 않고 있겠으며 해군중위 급에 해당하는 123호 해경 정장에게만 3백여 명이 희생당한 사건의 책임을 물어 7년을 구형하는 척 하겠는가. 그러고도 국민보고 정부를 믿어 달라, 안 믿으면 '종북'이라고 우겨야 옳겠는가?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유가족들은 정부가 항적도에서 삭제한 29초간의 비밀 즉, 이 배가 병풍도 앞에서 갈앉기 직전, 배가 침몰할 수밖에 없는 급좌회전 후 다시 280도로 급우회전함으로써 병풍도 반대방향으로 갈앉은 사실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사실은 당시 가까이 지나던 둘라에이쓰호 문예식 선장도 4월 28일 미 CNN 방송에 출연, 세월호가 병풍도 반대 방향으로 급선회 후 침몰했음을 증언, "병풍도 정방향으로 침몰했다"는 정부 발표가 거짓이었음을 입증했으니 진실은 끝내 묻힐 수 없는 법이다.

물론 정부가 발표한 항적도에는 이밖에도 배가 상식 밖의 ‘지그재그’운항기록이 4개처나 삭제돼 있었지만 다행히 모두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복구되었음은 정부의 장난이 지나치다는 결론인 것이다. 거기에 정부는 침몰 직전 약 100미터 크기의 물체(잠수함?)가 세월호 밑을 지나 유유히 사라진 사실마저 쉬쉬하고 있지만 유가족들이 그 물체가 세월호 침몰과 관련이 있음을 확신하고 있다.

세월호는 애당초 나이가 많아 얼마 못 가 폐선 할 선박이었기에 사고 날 확률이 높은 배였다. 그러나 사고 당시 그 배는 노후한 탓도, 정부가 거짓말로 변명한 ‘짐을 너무 많이 실은’ 탓도 아닌, 다른 이유로 침몰했다는 사실이 속속 입증되고 있지 않은가. 일부러 급선회하지 않았다면 그 때 침몰할 수 없었다는 사실, 선장 등 선원들만 빠져 나오듯, 승객들에게 '퇴출명령'만 내렸더라도 전원이 살아나올 수 있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다.

유가족 및 많은 국민들이 정부 발표를 전혀 믿으려 하지 않은 이유는 또 있다. 바로 이 배가 법적으로는 유병언 소유라지만 실제로는 국정원이 선주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 아니라면 수많은 선박 중 왜 오직 이 배만 만사를 국정원에 먼저 보고 후, 해경에 보고해 왔는가? 왜 국정원은 이 배의 화장지 구입 문제까지 시시콜콜 선내의 살림까지 간섭해 왔는가? 아직도 국정원은 이에 대한 답변을 못하고 있다. 국정원이 구입한 골프장도 법적 명의변경 없이 몇 년이 되어도 옛 주인 명의를 이용해 왔듯이 세월호 역시 같은 경우로 보아 무리가 없지 않을까?

많은 국민들은 선거 때나 또는 중요한 사건이 터졌는데 국민의 관심을 거기에서 다른 곳으로 돌려야 할 필요성이 급박할 때마다 미리 만들어 놓은 가짜 간첩을 몇 년 만에 마치 새로운 사실인양 터뜨려 국민의 관심을 그 쪽으로 돌려 왔음을 안다. 훗날 대법원은 그 간첩이 무죄라고 선고했을 때 비로소 국민들은 또 정부에 속았음을 깨닫곤 했다.

그 당시 정부 측이 골치 앓던 일이 무엇이었을까? 당연히 국정원 등 총체적인 관권 부정선거 문제에, 또 정윤회, 박지만의 세력 다툼 등 굵직한 문제들로 청와대는 골치를 싸매고 있을 때가 아닌가.

이 세월호 침몰을 국정원과 연관시켜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배 실소유주가 국정원이라고 믿는데다, 당시 세월호 옆을 지나던 두우페밀리호 블렉박스 기록을 받아 낼 수 있는 능력자가 누구겠느냐는 것, 또 언론 플레이를 마음대로 하고 대국민 심리전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기관이 어디겠냐는 것, 정체불명의 엉터리 데이터를 공식화 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곳, 조작임이 분명한데도 경찰, 검찰의 수사를 전혀 겁내지 않는 곳, 무슨 내용을 발표해도 언론이 믿고 사실 확인 없이 기사화 할 수 있는 확실한 곳, 관제 영상기록 중 중요 부분을 삭제, 누락, 조작할 수 있는 곳 등이 국정원 말고 또 어디에 존재할 수 있겠느냐는 의심 때문이 아닐까?

결론은, 유가족을 비롯한 대부분 국민의 의심은 올바른 민주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풀릴 수 없다는 것이다. 정부 스스로가 사건 직 후 살인범 피의자인 선장을 경찰간부 집에서 재우는 특혜를 베풀었고, 선장이 당시 누구와 함께 잤는지 밝혀낼 수 있는 당시의 CCTV 2시간 녹화 내용은 삭제됐으며, 배가 급경사로 기울고 있어 선내에서는 살려달라는 학생들의 아우성이 끊임없는데도 승객 구조커녕 선내 복도에서 담배를 피우며 해경끼리 시시덕거리고 잡담하는 등 누가 봐도 해경이 승객 구조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오히려 구조를 방해하는 모습이 역력히 보인데다, 배가 완전히 침몰할 때까지 단 한 번도 퇴출 명령을 내린 적이 없는 상황이라면 '그냥 그렇게 죽어 달라'는 정부의 자세 외에는 더 변명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만일 선주가 국정원이라면 승객 단 한사람도 안 살리고 죽도록 내버려두면서도 배 맨 밑바닥 기관실 근무자까지 구조된 선원들 전원이 국정원 요원 신분을 가진 자들이라는 추측도 가능하지 않은가?

이런 어처구니없는 상황에서 정부에 진실을 밝혀달란다면 유가족이 아직도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일까? 아니면 그러한 사실을 알았기에 1년이 넘도록 계속 침몰 원인을 밝히라고 피토하는 절규를 하고 있는 것일까?

이러한 정부의 거짓말, 속임수 등을 헤아려 본다면 정부 측이 수사 및 기소권을 가진 특별법 제정을 적극 반대하는 이유, 끝내 승객들의 퇴출명령이 없었던 이유, 선령 20년을 30년으로 늘린 이명박 정부에 대한 수사와 선내 불법 증축 관련 수사가 없었던 이유, 또 6천톤에 달하는 세월호에서 벌어진 그 엄청난 사건에 해경이 겨우 100톤급 123호 해경함정 한 척만 내 보낸 이유, 해군, 미군, 민간 전문 구조요원들의 구조를 끝까지 거부한 이유, 정부가 자식을 잃은 유가족들을 벌래 보듯 하는 이유, 선원들만 전원 살린 이유, 항상 정부 측과 짝짜꿍해 오는 믿지 못할 주류언론의 보도행태 등 이제야 고개가 끄덕여 지지 않는가. 그러니 이토록 죄 많은 정부는 바보가 아닌 국민들을 ‘종북좌빨’로 몰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뉴욕타임스, 세월호로 인한 슬픔과 분노가 공존하는 안산 - 무거운 애도의 분위기 속에 여전히 충격에 빠져 있는 지역 사회



뉴욕타임스, 세월호로 인한 슬픔과 분노가 공존하는 안산
- 무거운 애도의 분위기 속에 여전히 충격에 빠져 있는 지역 사회
- 일상생활이 망가진 유가족들의 정신적 고통
- 아이들의 억울함 풀기 전까지 ‘수용’과 ‘치유’란 말 말아야

연일 세월호에 관한 소식을 전하고 있는 뉴욕 타임스가 15일 자 기사에서는 참사 1주기를 맞는 단원고등학교와 안산시의 분위기를 현장 취재하고 여러 장의 사진들과 함께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사고를 당한 학생들이 공부했던 단원고 교실은 주인을 잃은 빈 책상에 그들을 기리는 물건과 애도의 편지들로 가득했으며 한 아버지의 구해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메모에서 학교 곳곳에 스며있는 애통함을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이러한 슬픔과 애도의 분위기는 단원고가 위치한 안산이라는 도시 전체에 흐르고 있으며 손님 없이 한가한 많은 음식점이 이를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세월호 참사가 기업의 비윤리적인 이윤추구 활동과 이를 제대로 감독하지 못한 무능한 정부의 합작품임이 밝혀졌고 사람들은 이에 대해 격렬한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복원된 전화기에서 공포에 질린 그들의 마지막 모습을 본 사람들은 더욱 절망했으며 이들에게 치유라는 말은 이르다고 안산시장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한 유가족과의 인터뷰를 통해 세월호 참사 1년이 지난 지금 평범했던 가족들의 일상은 파괴됐으며 정신적으로 힘든 순간이 많으나 정부에 구조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고 철저한 진상조사로 억울하게 죽은 학생들의 한을 풀어주기 전까지는 자신들을 위한 ‘수용’과 ‘치유’를 말할 수 없다는 부모들의 비장함을 전했다.

기사는 희생된 학생들의 부재는 비단 텅 빈 교실 뿐 아니라 도시 전체를 가로지르며 추모의 분위기는 도시 곳곳에 걸려있는 그들을 기리는 문구가 적힌 노란 배너들에서 느낄 수 있다고 말하고 “아이들의 방”이라 불리는 추모공간에 전시된 희생자들의 방 사진은 상처받은 가족과 지역사회의 모습을 반영함과 동시에 치유가 시작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며 마무리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nyti.ms/1GMib3u
A Year After Sewol Ferry Tragedy, Peace Is Elusive for South Korean City
세월호 참사 1년 후 안산에 평화는 요원하다
By MARTIN FACKLER, APRIL 15, 2015
Photos, flowers, letters and gifts are left on victims’ desks in a classroom at Danwon High School. Credit Lee Jin-Man/Associated Press
단원고등학교 교실의 희생자들 책상에 사진, 꽃, 편지 그리고 선믈들이 남겨져 있다.
ANSAN, South Korea — The classrooms where the dead students once studied sit empty, as they have since Danwon High School lost nearly three-quarters of its 11th graders to a ferry disaster a year ago. School cafeteria menus for April 2014 hang on the walls. Desks are piled high with offerings from grieving parents and friends: flowers, favorite snacks and notes.
한국, 안산 – 단원고등학교가 거의 4분의 3에 달하는 2학년 학생들을 1년 전 여객선 참사로 잃은 이후로 내내 그래 왔듯이 사망한 학생들이 공부했던 교실은 비어 있다. 2014년 4월 14일의 학교 식당 식단표가 벽에 붙어 있다. 책상에는 애도하는 부모들과 친구들이 가져다 놓은 물건들, 꽃, 좋아하던 과자 그리고 쪽지들이 높이 쌓여 있다.
“Sae-hyeon, this is Dad. I will never forget you,” read one message on a desk bearing the photo of a smiling teenage girl. “I am so sorry that I was not there to save you.”
“새현아, 아빠다. 절대로 너를 잊지 않을게” 미소 짓는 십대 소녀의 사진이 있는 책상에 이런 메시지가 있다. “너를 구해주러 그곳에 가지 못해 정말 미안해.”
The name Ansan means “peaceful mountain,” but as this gritty industrial city prepares to mark the anniversary on Thursday of the ferry sinking, it is clear that Ansan is far from finding solace. Instead, it remains frozen in time.
안산은 “평화로운 산”을 의미하지만, 이 굳건한 산업도시가 목요일 세월호 침몰 1주기를 맞는 준비를 하는 가운데 이곳에서 평안을 느끼기는 확실히 요원하다. 대신에 시간이 멈춰져 있다.
The city of 760,000 still seems bewildered, unsure of whether, or how, to move on after the deaths of 250 students and 11 teachers. Individual suffering still radiates into the community, where a collective, haunting sadness has taken hold. Restaurants, once bustling, have lost about a third of their business; many people feel they should not have fun when so many of their neighbors are in mourning.
7십6만 인구의 이 도시는 250명의 학생과 11명의 교사가 사망한 후 새로이 시작을 해야 하는 것인지,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 채 어찌할 바를 모르는 듯 보인다. 개인의 고통이 여전히 지역사회로 번져 나오며 끊이지 않는 공동의 슬픔이 자리잡고 있다. 한때 부산하던 음식점들은 약 3분의 1의 매출을 잃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이웃이 애도하는 동안 자기들만 즐겨서는 안된다고 느낀다.
Among the parents, there is paralyzing grief, but also a rage that makes healing out of the question for now. Yearlong investigations suggest that the tragedy was avoidable, the result of corporate greed and lax government oversight. The families, and their community, live with the memory of some of the children’s last moments, recovered in shaky hand-held cellphone videos that document their panic as they realize the crew’s instructions to remain below deck might have doomed them.
부모들 사이에는 온몸을 마비시키는 듯한 슬픔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치유를 생각할 수조차 없게 만드는 분노 또한 존재한다. 1년간의 조사는 세월호 참사가 기업의 탐욕과 느슨한 정부의 관리 감독의 결과물로서, 피할 수 있는 일이었음을 알려준다. 가족들과 지지 시민들은, 손으로 들고 찍어 흔들리는 휴대폰 영상 속에서 복구된 일부 아이들의 마지막 순간들에 대한 기억과 함께 살고 있는데, 이 영상들에는 갑판 아래 머물러 있으라는 승무원들의 지시가 자신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을지도 모른다고 아이들이 깨닫는 가운데 공포에 떠는 그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Some say that a type of shared paranoia has set in. Students at the middle school next door to Danwon High School say school leaders have become so anxious about keeping them safe that they have halted all school trips, like the one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on when the ferry Sewol sank, and have even banned children from running in the hallways.
어떤 이들은 일종의 집단 피해망상이 생겨났다고 말한다. 단원 고등학교 옆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들은 학교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안전에 대해 너무 불안해한 나머지 세월호가 침몰했을 당시 단원고 학생들이 갔던 것과 같은 수학여행을 모두 중단했고 심지어 복도에서 학생들이 뛰어다니는 것까지 금지시켰다고 말한다.
“There is talk of recovery, but we are still far from that,” said Ansan’s mayor, Je Jong-geel, who wore a black tie of mourning as his city began a week of events to mark the sinking.
“치유에 대해 말들 하지만 우리와는 아직 먼 얘기다”고 세월호 침몰을 기리는 1주일간의 행사를 안산시가 시작하며 애도를 뜻하는 검은 넥타이를 매고 있는 제종길 안산시장이 말했다.
A relative of a victim of the Sewol disaster during a visit Wednesday to the site of where the ferry sank off South Korea. Credit Pool photo by Ed Jones
수요일 세월호가 침몰한 장소를 찾은 세월호 참사의 한 희생자의 유족.
Eom Ji-young lost her 16-year-old daughter in the tragedy.
엄지영씨는 세월호 참사로 16세의 딸을 잃었다.
Like many of the devastated parents, Ms. Eom says she still drinks herself to sleep several nights a week. She took a year off from work to protest against the government and spend time with her remaining child, an 11-year-old son, because of her regrets that her job had kept her from spending more time with her daughter, Park Yae-ji. A year after the sinking, her life is nowhere near normal.
절망에 빠진 많은 부모들처럼 엄지영씨도 여전히 일주일에 며칠 밤을 술에 취해 잠든다고 말한다. 그녀는 정부에 시위하고, 또 직장에 다니느라 딸 박예지 양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없었다는 후회 때문에, 남아 있는 11살짜리 아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 위해 직장을 1년간 휴직했다. 세월호 침몰 후 1년이 지난 지금 그녀의 삶은 전혀 정상이 아니다.
Her son still misses the sister who took care of him while his mother worked; he goes to school, but refuses to leave his bedroom much once he returns. Her husband is one of the fathers who regularly visit the town’s memorial site — with its wall of photos of the children and other victims — to do what they feel they cannot in front of their wives and remaining children. They drink stiff Korean alcohol, then sob on one another’s shoulders.
그녀의 아들은 여전히 엄마가 일하는 동안 자신을 돌봐준 누나를 그리워하고 있다; 학교에는 가지만 일단 집에 오면 자기 방을 나오려 하지 않는다. 그녀의 남편은 아이들과 다른 희생자들의 사진이 벽에 진열되어 있는 안산 분양소를 자주 찾는 아버지들 중 한 사람으로, 이들은 부인들과 남은 아이들 앞에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것을 하기 위해 그곳을 찾는다. 그들은 독한 소주를 마시고, 서로의 어깨에 기대 흐느낀다.
Relatives mourned victims of the Sewol tragedy during a visit on Wednesday to the site of the tragedy off the coast of the southern island of Jindo. Credit Pool photo by Ed Jones
수요일 서남쪽에 위치한 진도 연안의 세월호 참사 지점을 찾아 희생자들의 유족들이 애도했다.
Ms. Eom has returned to work as a manager of a home-repair store, but she can sometimes barely finish her commute, pulling her car over to the side of the road when sobs overcome her.
엄 씨는 집수리 전문점의 매니저로 복귀했지만, 흐느낌에 복받쳐서 차를 길가에 세우며 때로 출퇴근을 중도에 멈추기도 한다.
What keeps her going are the protests to hold the government accountable for failing to rescue the children — the coast guard did not make a serious effort to reach the trapped students — but also to demand a deeper investigation of the collusive ties between industry and government at the heart of the disaster. Without that, they say, there will be no justice for the children whom they believe were betrayed by the adults who were supposed to protect them.
그녀를 지탱해 주는 것은 정부에 아이들에 대한 구조 실패의 책임을 묻고 – 해경은 갇힌 학생들을 구조하려는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또한 이번 참사의 중심에 있는 기업과 정부 간의 유착관계에 대한 자세한 조사를 요구하는 시위이다. 이 모든 것을 밝히지 않는다면 자신들을 보호했어야 할 어른들에게 배신당했다고 믿는 학생들에게 정의를 베풀지 못하는 것이라고 그들은 말한다.
“ ‘Acceptance’ and ‘healing’ are not in our vocabulary,” said Ms. Eom, 38, a formerly shy woman who has been transformed by the loss of her daughter into a vocal activist. “I have friends who wake up in a panic at night and run all the way to the school to look for their children.”
“’수용’과 ‘치유’는 우리에게는 없는 단어들이다”고 전에는 수줍었으나 딸을 잃음으로써 선동적인 활동가로 변신한 38세의 엄 씨가 말했다. “친구 중에는 밤중에 충격에 빠진 상태로 깨어나 자신들의 아이들을 찾기 위해 학교까지 달려가는 이들이 있다.”
The deaths have become a terrible burden for this city of mainly blue-collar workers an hour southwest of Seoul that was built in the 1980s out of farmland, and where factories today stamp out auto parts and electronics.
희생자들의 죽음은 1980년대에 농경지 위에 지어졌고 공장들이 자동차 부품들과 전자제품들을 찍어내며, 거주하는 대부분이 노동자인 서울에서 남서쪽으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이 도시에 심한 부담이 됐다.
Danwon High School has recovered enough that students’ laughter and shouting once again fill the hallways. But the dead children’s absence remains a constant, not only in the silent classrooms dedicated to their memory, but throughout the city.
학생들의 웃음과 함성이 다시 복도를 채울 정도로 단원고는 회복됐다. 그러나 사망한 아이들의 부재는 이들을 기억하기 위해 보존되고 있는 조용한 교실뿐만 아니라 도시 전체에 걸쳐 변함없이 느껴진다.
Outside the school, rows of identical high-rise apartment blocks hang bright yellow banners bearing solemn, often poetic odes to the perished students: “Buds that never blossomed, we will not forget you,” proclaims one.
학교 밖에 줄지어 선 똑같은 고층 아파트 단지에, 사망한 학생들을 위해 엄숙하고 종종 시적인 문구를 담은 밝은 노란 배너가 걸려 있다: “결코 피지 못한 새싹들, 우리는 너희들을 잊지 않을 것이다”고 한 배너에 적혀 있다.
Like many of the grieving parents, Eom Ji-young says she still drinks herself to sleep several nights a week. Credit Woohae Cho for The New York Times
슬퍼하는 많은 부모들처럼 엄지영씨도 여전히 일주일에 며칠 밤을 술에 취해 잠든다고 말한다.
A few blocks away, above an Internet cafe that the students once frequented, another memorial has sprung up, sponsored by local governments. Called “The Children’s Room,” it is an exhibit of more than 50 photos of the empty bedrooms of the students who died. The intimate look at loss shows beds covered with teddy bears, and desks stacked with books left undisturbed.
몇 블록 떨어진 곳에, 한때 학생들이 자주 갔던 인터넷 카페 위층에 시 정부가 후원하는 또 다른 추모공간이 생겨났다. “아이들의 방”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사망한 학생들의 빈 침실 사진 50장 이상이 전시되어 있다. 죽은 아이들의 친밀한 사진들은 곰 인형으로 덮여 있는 침대, 그리고 손대지 않은 책들이 쌓여 있는 책상을 보여준다.
The exhibit’s director, Kim Jong-cheon, 42, a filmmaker who lives in Ansan, said the photos showed how each death had ripped a hole not only in a family, but also in the community. He said he had hoped the photos would get the neighborhood, called Gojan 1, talking about the losses, and thus start the healing process.
42세의 전시 책임자 김종천씨는 안산에 살고 있는 영화감독으로 사진들은 각 학생들의 죽음이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어떻게 빈자리를 만들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고잔 1동 지역 주민들이 사진들을 보고, 사망자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그러므로 치유하는 과정이 시작되기를 원했다고 말했다.
“This is a wounded community, where everybody knew these children,” he said.
“여기는 상처받은 지역사회이고, 이곳의 모두가 이 아이들을 알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르피가로, 레임덕 앞당기는 성완종 스캔들
– 거물급 건설업자의 뇌물 리스트 앞에서 휘청거리는 정권
– 세월호 수습 엉망인 정부로선, 1주기 앞둔 최악의 타이밍
– 박 대통령 임기 후반기는 더욱 취약한 채로 보내야 할 듯
프랑스 최대 우파 일간지 <르피가로>가 경남기업 성완종 회장의 자살 소식과 그가 남긴 메모지 등을 전하며 이번 뇌물 스캔들로 정권 차원의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기사는 상하이에 상주하며 동아시아 지역을 담당하는 세바스티앙 팔레티 특파원이 작성해, 15일 자 인터넷판과 16일 자 지면(국제면)에 나란히 실렸다. 팔레티 기자는 지난해까지 서울 지사에 근무해 한국 사정에 비교적 밝다.
‘한국 대통령을 흔들어놓은 스캔들’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임기 3년 차를 맞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이 성완종 회장이 자살하면서 남긴 이른바 ‘뇌물 리스트’로 인해 “저주”를 받았다고 적고 있다. 더 불운한 것은 스캔들이 터진 시기가 하필 세월호 1주기와 맞물렸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이로 인해 다른 대통령들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레임덕을 맞을 위기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성완종 회장의 리스트에 현직 국무총리와 대통령 비서실장, 대선 당시 자금관리인 등의 고위급 정치인들이 적혀 있고, 성 회장은 자살 전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박근혜 대선캠프에 2억 원, 이완구 총리에 3천만 원 등을 건넸다고 밝혔다.
기사는 사건 이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 지지율이 40% 아래로 떨어진 점을 주목하며 성완종 스캔들이 “범정부적 사건으로 비화”된 것으로 판단했다. 야당의 총리 사퇴 압박에 대통령은 비리는 엄중 처벌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것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스캔들이 설상가상인 이유는 지금이 세월호 1주기 추모 국면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재난 수준의 관리” 능력으로 분노한 상태의 국민들에게 기름을 끼얹은 꼴이 됐다는 이야기다.
팔레티 기자는 “한국의 대통령들은 임기 말을 앞두고 권력이 약해지는 치명적인 특수성을 갖고 있다”며 “이번 위기로 박 대통령은 단임제인 임기 후반기를 더욱 취약하게 보내야 할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르피가로> 기사 전문이다.
번역 및 감수 : Sang-Phil Jeong
Un scandale fragilise la présidente de Corée du Sud
한국 대통령을 흔들어놓은 스캔들
La présidente de Corée du Sud, Park Geun-hye. – Crédits photo : Wong Maye-E/AP
한국 대통령, 박근혜
Par Sébastien Falletti
세바스티앙 팔레티
Un magnat de la construction s’est suicidé à Séoul en laissant une liste de hauts dirigeants auxquels il aurait versé des pots-de-vin.
서울의 한 거물급 건설업자가 자신이 뇌물을 건넨 고위급 지도자의 리스트를 남긴 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La malédiction de la Maison-Bleue rattrape Park Geun-hye. Deux ans à peine après son entrée au palais présidentiel de Séoul, un scandale éclabousse la dirigeante conservatrice, menacéede perdre un peu plus de son pouvoir avant l’heure, dans le sillage de ses prédécesseurs. Alors que la Corée du Sud en deuil commémore ce jeudi le premier anniversaire du naufrage du ferry Sewol, et que la défiance envers les autorités politiques augmente, une ténébreuse affaire ébranle un peu plus la présidente Park.
청와대의 저주가 박근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제 갓 청와대 입성 2년이 지났을 뿐인 보수주의 지도자에게 흙탕물이 튀긴 꼴이다. 스캔들로 인해 전임자들보다 조금 더 이른 시기부터 권력을 잃을 위험에 처한 것이다. 이번 주 목요일이면 세월호 침몰 사건의 1주기를 맞아 나라 전체가 추도의 분위기를 맞게 되는데, 정치권을 향한 불신은 커져만 음험한 사건이 박 대통령을 더 흔들고 있다.
Jeudi dernier, le corps raidi du tycoon Sung Wan-jong est retrouvé pendu à un arbre, sur les flancs escarpés du mont Bukhan, à portée de métro de la capitale sud-coréenne. Dans ses poches, une liste explosive de huit noms à qui le défunt entrepreneur affirme avoir versé des pots-de-vin. On y trouve celui du premier ministre, Lee Wan-koo, celui du chef de cabinet de la présidente, ainsi que celui du trésorier de sa campagne électorale victorieuse de 2012.
거물 사업가 성완종의 뻣뻣하게 굳어버린 사체는 지난주 목요일, 한국의 수도 도심에 있는 북한산 자락 비탈의 나뭇가지에 목이 매달린 채로 발견됐다. 그의 호주머니에는 망자가 뇌물을 줬다고 주장하는 8명의 충격적 리스트가 있었다. 리스트에는 국무총리인 이완구를 비롯해 대통령 비서실장, 2012년 승리한 대선 캠프의 자금관리인 등이 포함돼 있었다.
Détournement de fonds publics
공금 횡령
Sung a déclaré avoir versé 200 millions de wons (172.000 euros) au clan Park pour financer sa campagne, lors d’une interview accordée avant son apparent suicide. Il aurait notamment donné de la main à la main à l’actuel premier ministre une enveloppe bourrée de cash, d’un montant 30 millions de wons (25.000 euros), en 2013, révèle le quotidienJoongang Ilbo. Le magnat de la construction aux abois était visé par une enquête sur des détournement de fonds publics.
성완종은 박근혜 대선캠프의 재정 지원하기 위해 친박 인사에게 2억 원(17만2000 유로)을 제공했다고 자살하기 전 진행된 인터뷰에서 밝혔다. 특히 그는 지난 2013년 현 국무총리에게 3천만 원(2만5000 유로)의 현금 다발을 직접 건넸다고 <중앙일보>가 보도했다. 이 건설업계 거물은 공금 횡령 혐의로 수사선상에 올라 궁지에 몰려 있었다.
«Je ne pardonnerai à personne qui sera coupable de corruption»
Park Geun-hye, présidente de Corée du Sud
“비리 혐의가 드러나면 그 누구도 용서하지 않을 것”
박근혜, 한국 대통령
Ces révélations tournent à l’affaire d’État, redonnant du souffle à la gauche face à la «dame de fer» de Corée, dont le taux de popularité a basculé sous la barre des 40 % lundi, selon un sondage de Realmeter. L’Alliance de la nouvelle politique pour la démocratie (ANPD) a exigé la tête de Lee, le menaçant d’une procédure «d’impeachment». Sous pression, la présidente a tenu une réunion d’urgence et promis une lutte sans merci contre les pots-de-vin, mais sans lâcher son premier ministre. «Je ne pardonnerai à personne qui sera coupable de corruption», a prévenu la fille de Park Chung-hee, le fondateur autoritaire du miracle coréen, qui régna d’une main de fer sur le pays dans les années 1960 et 1970.
그의 폭로는 범정부적 사건으로 비화됐다. 이번 주 월요일 리얼미터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지지도가 40% 아래로 떨어져 내린 한국의 ‘철의 여인’에게도 한숨을 남겼다. 새정치민주연합은 탄핵소추안을 행사하겠다며 이완구 총리의 사퇴를 요구했다. 바짝 긴장한 대통령은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뇌물과의 전쟁에서 자비란 없을 것임을 약속했다. 그렇지만 국무총리를 내치진 않았다. 1960~1970년대 철의 노동자들을 지휘하며 한국의 기적을 이끌어낸 독재자 박정희의 딸은 “비리 혐의가 드러나면 그 누구도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Chute de popularité
지지도 하락
Ce nouveau scandale tombe au plus mal, en pleine commémoration du drame du Sewol, qui a fait trébucher la cote de popularité de Park. La dirigeante ne s’est jamais remise de sa gestion calamiteuse de la tragédie qui a tué plus de 300 personnes, la plupart des lycéens, le 16 avril 2014. Les familles des victimes accusent le gouvernement d’interférence dans l’enquête et de protéger les responsables, suspectant des connivences avec les chaebols, les grandes familles industrielles du pays. Le naufrage du ferry, dont la cargaison pesait le double de la charge autorisée, cristallise les griefs d’une partie grandissante de la population envers un pouvoir jugé sourd aux aspirations des jeunes générations, qui ont voté massivement contre l’actuelle présidente. La crise risque d’affaiblir un peu plus Park dans la seconde partie de son unique mandat, puisque la Constitution lui interdit de se représenter. Une particularité redoutable qui, bien avant l’heure, démonétise souvent les présidents sud-coréens.
이번 스캔들이 더 불운한 것은 박 정권의 지지도를 비틀거리게 만든 세월호 참사의 추모 분위기가 한창일 때 터졌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2014년 4월 16일 대부분이 고교생인 300여 명을 앗아간 비극에 대한 재난 수준의 관리 현상을 바로잡지 못했다. 피해자 가족들은 진상조사에 개입하고 재벌이나 대기업 집단과 공모가 의심되는 책임자들을 감싸고 있다며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적정 용량을 갑절 이상 초과한 화물을 실은 세월호의 침몰은 현직 대통령에 반대표를 던졌을 것이 분명한 젊은 세대의 요구에 귀를 닫아버린 권력에 대한 국민의 불만이 커져가도록 구체화하고 말았다. 이번 위기로 박 대통령은 단임제인 임기 후반기를 더욱 취약하게 보내야 할 위험에 처했다. 연임은 헌법으로 금지돼있다. 한국의 대통령들은 임기 말을 앞두고 권력이 약해지는 치명적인 특수성을 갖고 있다.


[논평] 박근혜 정권에게 조종을 울린다
–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Wycliff Luke 기자
민막[民瘼, 백성의 폐]을 모르시면 하늘이 버리시나니, 이 뜻을 잊지마소서.
- 용비어천가 116장
용비어천가는 조선 개국을 찬양하는 찬미가다. 그러나 작가들은 무턱대고 왕을 찬미하지 않는다. 작가들은 어진 임금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곳곳에 숨겨 놓았다.
116장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민막’이라는 낱말은 말 그대로 백성이 당하는 폐, 지금 말로는 국민의 삶의 고단함을 말한다. 왕이 국민들 삶의 고단함을 모르면 하늘이 버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뜻을 잊지 말라고 신신 당부한다.
박근혜 정권 하는 짓이 참 가관도 아니다. 성완종 전 새누리 의원의 녹취록을 들어보면, 이 정권은 성완종을 졸 취급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고인은 스스로 자기 목숨을 버려가며 이 정권에 제동을 걸려했다.
왜 굳이 목숨을 버리려 했을까? 아마도 이 정권의 야비함을 알았기에 살아 있다면 더 참담한 상황이 연출될까봐 목숨을 버리기로 한 것 같다. 이미 고인은 검찰이 자신은 물론 가족들마저 별건 수사로 압박해 오는 상황에 몹시 힘들어했다.
이토록 야비한 정권은 그러나 국민의 고통엔 아랑곳 없다. 이 정권의 민낯은 304명의 희생자를 낸 세월호 참사에서 너무나 생생히 드러났다. 대통령이란 자는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들에게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유유히 자기 길을 가는가 하면, 세월호 참사 1주기인 당일 9박 12일 일정의 장기 해외순방을 예정해 놓았다. 더구나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로 인해 온 나라가 발칵 뒤집힌 상황에서 외유라니, 이 자의 인간성 마저 의심스럽다.
국민으로서 피가 끓는다. 옛 현인들은 왕에게 국민의 삶의 고단함을 알라고, 그렇지 않으면 하늘이 버릴 것이라고 신신당부했다.
그러나 지금은 권력에 줄 댈 궁리나 할 뿐, 아무도 권력자에게 직언하려 들지 않는다. 조선시대 보다 훨씬 기술도 발달하고, 지식 수준도 높고, 생활 수준이 윤택한 시대임에도 오히려 사고는 조선시대만도 못한 것이다.
분명, 이 정권은 하늘로부터 버림을 받을 것이다. 국민의 눈물을 외면하는 정권을 어찌 하늘이 끌어 안겠는가?
이 정권에게 조종을 울린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