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Wednesday, January 10, 2024

x세대 y세대 z세대 뜻 특징 차이점

 

x세대 y세대 z세대가 뭔데?

요즘 이 3가지를 중점으로 문화를 바라보는 시선이 있는데요. 이 때 문득 드는 의문이 있더라구요. 각각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었을까? 어떤 차이점이 있었을까? 라고 말이죠.

그래서 이 글에선 위 3가지에 대한 정의와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싹다 정리했습니다. 1분이면 충분하니까 지금 바로 시작하죠.


X세대 뜻과 특징은 무엇인가?

X세대 뜻은 1965년에서 1976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지칭하는데요. 이 세-대는 디지털 혁명 이전에 성장한 마지막 세-대이며, 경제 호황과 IMF위기라는 대조적인 경험을 한 세-대입니다.

X세대 특징은 3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하나는 대중 문화의 선두주자라는 점이예요. 1990년대 초, 서태지와 아이들은 전국적인 한국 음악 장르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읻르의 음악은 X세-대의 사고와 문화적 태도를 대변했고 한국 대중음악의 새로운 장을 열었죠. 이처럼 X세-대는 서태지와 아이들 HOT와 같은 대중 문화의 전성기를 경험한 세-대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교차점에 존재하는 세--대인데요. 이 시기에 삐삐와 워크맨은 젊은 세.대의 필수 아이템이었어요. 휴대성과 개인적인 음악 감상의 가능성은 X세.대의 독립적인 생활 방식을 상징했죠.

그리고 마지막 특징은 경제적 변동을 크게 경험한 세.대라는 점이었어요. 80년대에는 경제 호황을 경험했지만, 동시에 90년대 말 IMF를 겪으며 취업난과 경제적 불안정을 몸소 겪은 세.대이죠. 이는 그들의 경제관과 직업관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어요.


 

Y세대 뜻과 특징은 무엇인가?

Y세대 뜻을 살펴보자면, 밀레니얼라고 불리는 이들은 대체로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의미해요. 이 사람들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성장했으며, 사회적 경제적 변화의 중심에 있었죠.

Y세대 특징은 디지털 네이티브적인 측면이 있다는 점인데요.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이 일상화된 시대에 자라 디지털 기술에 대한 높은 친숙도를 갖고 있어요. 그래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해서 의사소통하는게 익숙하며 정보 공유,네트워킹,자기 표현의 장으로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죠.

그 다음 Y세대 특징은 개인주의와 다양성을 추구하는 세.대였는데요.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인의 행복과 만족을 중요시 여기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Y세.대는 SNS를 통해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의견을 표현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예를 들어 "미투 운동"이나 촛불 시위와 같은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죠.

그리고 개인 주의로 인해 직장 내 새로운 문화를 형성했는데요. Y세대 특징은 직장 내에서도 워라밸이라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는 전통적인 직장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죠.


 

Z세대 뜻과 특징은 무엇인가?

Z세대 뜻은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에 태어난 세.대를 의미해요. 이 세.대는 기술적으로 진보된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디지털 기술과 소셜 미디어가 일상의 일부로 자리 잡은 시대의 특정을 반영하죠.

Z세대 특징은 디지털 네이티브의 극대화라고 볼 수 있는데요.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 인터넷이 당연한 일상의 일부로 여겨지는 환경에서 자랐습니다. 그래서 Z세대 특징은 자신의 일상,의견, 창작물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는게 매우 익숙해요. 예를 들어 틱톡이나 인스타그램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것에 일반적입니다.

Z세대 특징은 그리고 온라인과 소셜 미디어를 매우 잘 이용하는데요. 이곳을 통해 정보를 얻고 소통하는 편이죠. 그리고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개인적인 역량을 개발하는데 적극적입니다.

그리고 Z세대 특징 마지막은 소비패턴인데요. 이들은 소비 결정에 있어 온라인 리뷰, 인플루언서의 의견 등을 중요시하며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 경향을 보여요. 그래서 개성과 가치를 반영한 브랜드를 선호합니다.

지금까지 X,Y,Z 의 뜻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요 ㅎㅎ

Tuesday, January 9, 2024

[팩트체크] 尹정부 검찰 출신 21명, MB 때 4배… 대통령실 주로 포진

 김홍일 방통위원장 기용 비판 정점

朴 정부 6명·文 정부 땐 2명과 대조
역대 최초 檢 출신 금감원장도 탄생
윤 대통령 사법 동기·수사팀 등 약진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운동권 특권 정치’ 비판에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정부의 검찰 출신 인사 기용을 문제로 거론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는 지난달 16일 입장문을 내고 “군부 독재가 끝난 이후 이렇게 특정집단 소속 인사들이 정부, 공공기관, 민간기업까지 장악한 사례가 또 있을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비판은 검사 출신인 김홍일 신임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명되며 한층 가열됐다. 조승래 민주당 의원은 “대통령과 여당 비대위원장, 방송통신위원장 등이 검사 출신으로 채워지더니, 온 동네가 검사 천지고 검찰 천하”라고 주장했다. 여권 일각에서도 검찰 인사 기용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허은아 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3일 탈당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실 국정운영 기조와 이념 집착 등을 언급하며 “검사 일색의 인사”를 문제점으로 거론했다.

국민일보는 2008년 출범한 이명박정부 이후 역대 정부의 출범 첫 인사를 전수조사했다. 청와대·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공직자와 각 부처의 장·차관급 인사를 분석한 결과, 검찰 출신으로 기용된 고위 공직자는 윤석열정부가 총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명박정부 첫 인사 당시 고위 공직자 중 검찰 출신은 총 5명이었다. 청와대엔 이종찬 민정수석과 장용석 민정1비서관, 김강욱 민정2비서관이 합류했고, 부처에선 김경한 법무부 장관과 문성우 차관이 임명됐다. 박근혜정부는 정홍원 국무총리와 황교안 법무부 장관, 김학의 차관, 곽상도 민정수석, 이중희 민정비서관, 조응천 공직기강비서관 6명이 검찰 출신이었다.

주요 국정 과제로 검찰개혁을 강조했던 문재인정부는 사실상 검찰 출신을 배제한 인선을 진행했다. 이금로 전 법무부 차관과 박형철 반부패비서관 2명만 이름을 올렸다.


윤석열정부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수사를 했거나 근무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대통령실에 주로 포진됐다. 검사 출신인 주진우 법률비서관과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 이원모 인사비서관, 이영상 국제법무비서관이 대통령실에 합류했다. 윤 대통령 검찰 재직 당시 수사관 등으로 근무하며 그를 보좌했던 윤재순 총무비서관, 강의구 부속실장, 복두규 인사기획관 등도 인사 라인에 포진했다.

‘윤석열 라인’의 대표적 인물인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초대 법무부 장관에 올랐다. 한 위원장은 2005년 ‘한나라당 불법 대선자금’ 수사 등으로 윤 대통령과 연을 맺었다. 이후에도 ‘론스타 부실 매각 사건’ ‘현대자동차그룹 비자금 사건’ ‘국정농단 사건 특별검사’ 수사팀을 거치며 윤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검찰 색은 옅지만 권영세 전 통일부 장관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도 윤 대통령과 ‘검찰·서울대 출신’으로 묶여 있는 인사다.


검사 출신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발탁은 이례적이다. 1999년 금융감독원 신설 이후 검사 출신은 이 원장이 처음이다. 그는 윤 대통령이 과거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사건’ 수사로 좌천된 이후 공소유지 업무를 맡았고, 윤 대통령이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임명된 이후엔 중앙지검 반부패수사4부장·경제범죄형사부장 등을 지냈다.

윤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인 이완규 법제처장과 박성근 전 국무총리실 비서실장도 검찰 출신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윤 대통령이 원하는 분을 비서실장에 보내 달라고 했더니, (윤 대통령이) 3번을 괜찮냐고 물어보시고 전직 검사(박 전 실장)를 보내줬다”고 언급한 바 있다.

7일 기준 21대 국회 국민의힘 현역 의원 112명 중 검사 출신은 8명(7.1%)이다. 오는 4월 22대 총선에선 ‘윤석열 사단’의 국회 진출이 가속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에선 주진우 법률비서관, 이원모 인사비서관 등 다수의 검찰 출신 인사들이 22대 총선 출마 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박성영 양민철 박재현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