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도 못 했던 영국이 한국 관련 폭탄 발표를 하며 전 세계를 발카 뒤집어 놓았습니다. 영국 찰스 3세 국왕이 최근 한국 고위 관계자들을 만나서 "조만간 영국이 한국에 엄청난 것을 줄 것" 이라 전해 더욱더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전 세계 주요 외신들이 "왜 영국이 한국에", "한국 이번엔 진짜 대박났다" 등 자극적으로 보이는 제목들로 긴급 보도를 하고 있는 놀라운 상황이 펼쳐졌습니다. 도대체 영국이 한국에 얼마나 대단한 제안을 했길래 이렇게 난리가 난 것인지 전 세계를 발칵 뒤집어 놓을 만한 엄청난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지금부터 여러분들에게 전해드리겠습니다.
국제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나라 중에서 한국은 역사적으로 영국과 직접적인 갈등이 없었던 정말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kOp9/btspgo9vPLn/TOoSOMjhssLXnRpaqv8Sk1/img.jpg)
문자 그대로 전 세계의 모든 나라를 들쑤시고 다닌 대영제국의 위상을 생각해보면 한국은 지리적 국제 정세적 요인으로 인해 영국과의 마찰을 기가 막히게 피해 온 매우 희귀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의 가장 큰 동맹국이자 혈맹인 미국마저도 18세기에서 19세기 서구 열강 제국주의 시절 신미양요나 전통적인 친일 성향에 의한 가쓰라-태프트 밀약 20세기 박정희 유신 독재 정권 시절과 더불어 미묘한 마찰이나 불편한 이슈들은 끊임없이 있었는데, 영국의 경우는 한국의 근세 태동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마찰이라고 할 만한 일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나마 영국과 관련된 일로는 이 거문도 점령 사건 정도가 있지만 이 마저도 조선보다는 이 조선에 대해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행위였기 때문에 애매한 감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udgPq/btso6Tjn2Dg/XKqZWsiLJj7IF8HRyKGV6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pDJjd/btspcvWfeJ7/KNTI8cdEGXS6vBgok6Tpek/img.png)
거기에 거문도에 상륙한 영국군은 거문도 주민들과 매우 우호적으로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당한 대가를 주고 주민들을 용역으로 고용하거나 거주지 제공에 대한 보답으로 주민들의 일을 도와주기도 하는데 으레 폭력이 뒤따르게 마련인 강제 점령에서마저도 마찰이나 갈등이라고 볼 만한 사건은 전혀 없었습니다.
이후 영국과 한국이 처음 교류를 시작한 것은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영국의 국빈 방문하면서부터입니다. 또한 영국은 브렉시트 후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과 FTA를 체결하는 등 영국은 한국을 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로 선정하는 남다른 애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자 그리고 최근 영국 철스 3세 국왕의 한국 관련 폭탄 발표가 나오면서 전 세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YFY5/btso8zELRv7/vnmfFHklNlBKp0n5JsF9ZK/img.png)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4개국을 순방 중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런던 웨스트 민스터 사원에서 찰스 3세 (74) 영국 국왕을 만났는데요. 한 총리는 리셉션에서 찰스 국왕과 대화를 나눴다면서 "찰스 국왕이 굉장히 자상했다" 라고 전했습니다.
한 총리는 찰스 국왕에게 "한국과 영국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굉장히 가까운 나라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라고 말했다고 했습니다. 한 총리는 "그랬더니, 찰스 국왕이 '한국이 방위 산업이 강하죠?' 그러시더라. "아마 영국의 무기 체계를 바꾸는 데서 한국에 관심을 갖는 것 같다" 전했습니다.
영국의 낡아빠진 구식 무기들로 장착된 영국 군대를 최첨단 한국산 무기로 전부 도배한다는 것은 1년에 무려 100조 원에 가까운 금액을 국방 예산에 쏟아붓고 있는 영국이 한국의 최소 수십 조 원을 지불하고 한국산 무기를 살 수 있다는 뜻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kOrur/btspcwgwJ3Q/DuCuJhZj1gb2rtmiso5I9k/img.png)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