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Tuesday, February 4, 2025

홍장원은 이번에도 "싹 다 잡아들여" 진술… 반면 침묵하는 장성들

 이진우·여인형, '형사 재판' 이유로 진술 거부…'尹 계엄 선포' 옹호하기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핵심 증인으로 꼽혀온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과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이 헌법재판소 증인 신문에서 국회 및 수사기관을 통해 알려진 기존 진술 내용을 '형사 재판'을 이유로 거부했지만,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상황을 비교적 충실하게 진술했다.

홍 전 1차장은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사건 5차 변론기일에서 지난해 12월 3일 오후 8시경 윤 대통령에게 비화폰으로 걸려온 첫 전화를 받지 못해 오후 8시22분경 다시 전화했다면서 '한두 시간 뒤에 할 얘기 있으니 대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으로부터 오후 10시 53분경 다시 전화가 왔고, 이때 "봤지? 비상계엄 발표하는 거.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가 정보원에도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 지원해. 자금이면 자금 인력 이면 인력 무조건 도와"라는 취지의 말을 들었다고 했다.

홍 전 1차장은 '싹 다 잡아들여'라는 윤 대통령 지시에 관해 "목적어를 얘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구를 잡아야 한다는 것까지는 지시 받지 못"해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해 "V(대통령 지칭)에게 전화받았다"라고 했더니 (체포) 명단을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또 여 전 사령관이 체포 명단을 전달하며 '검거 후에 방첩사 구금시설에서 조사할 생각'이라며 '위치 추적도 부탁했다'고 홍 전 1차장은 덧붙였다.

체포 대상자 14인의 명단은 우원식 국회의장, 김명수 전 대법원장,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정청래 국회 법사위원장,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 조해주 전 중앙선관위 상임위원, 이학영(민주당) 국회 부의장, 김민웅 전 대학교수,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김어준 언론인, 양경수 민노총 위원장 등이다.

홍 전 1차장은 국회 측이 "피청구인(윤 대통령)의 방첩사 지원을 (정치인) '체포조' 지원으로 이해했느냐?"라고 질문하자 "그렇다"고 했다.

이어 "왜 따르지 않았느냐?"고 묻자 "명단 한 사람 한 사람 보면서, 두 번째는 방첩사령관이 얘기한 방첩사 구금시설(에) 감금한다는 향후 얘기를 듣고, 그걸 어떻게 하느냐"라고 답했다.

국회 측이 '평소 대통령을 좋아했다고 하던데' 라며 따르지 않은 이유를 재차 묻자 홍 전 1차장은 "명단을 받아보니까 제가 생각했던 것과 많이 달랐고, 왜 이런 분들을 체포해서 구금하려고 했던 건지 이해 못한다"고 답했다.

홍 전 1차장은 국회 측의 "국정원장에게 '피청구인이 방첩사를 지원하라고 한다. 방첩사가 이재명·한동훈을 잡으러 다닌다고 보고했나?"라는 질문에, 몇 초간 머뭇거린 뒤 "윤 대통령이 저에게 지시한 내용은 국정원장에게(도) 보고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지침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이후 홍 전 1차장은 이전 국회 진술을 반복했다. 그는 조태용 국정원장에게 관련 내용을 보고했으나 조 원장은 다음날로 논의를 미뤘고 이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진술했다.

홍 전 1차장은 해당 보고 사항은 조 원장 외에 "아무에게도 얘기하지 않았다"고도 말했다. 그는 "제 밑에 있는 어느 부서장, 어느 간부, 팀을 꾸린다던가 하는 일체의 지시를 하지 않고 저만 알고 있고 지시하지 않았다는 얘기고, (관련) 임무를 일절 지시한 적 없다"고 덧붙였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1월 22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우·여인형, '형사 재판' 이유로 진술 거부...'尹 계엄 선포' 옹호하기도

반면 홍 전 1차장과 달리 이날 출석한 장성들은 답변을 적극 기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전 사령관과 여 전 사령관은 앞서 진행된 증인 신문에서 대부분의 질문에 '형사 재판' 이유를 들며 진술을 거부했다. 심지어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옹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 전 사령관은 "국민의 대표이고 또 국군 통수권자이신 윤 대통령이 또 검찰총장까지 해서 법에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전문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는데, 국민을 상대로 또 전 국민에게 방송을 통해서 그것을(계엄을) 얘기하는데, '그게 위법이다 위헌이다'라는 생각을 할 여지가 없었다"며 "지금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저는 '적법했다'고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총기 소지 및 국회 봉쇄에 대해서도 "당연히 훈련할 때는 총을 메고 한다"며 "통합 방위 훈련에 따르면 수방사의 임무는 시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물의 외곽 방위 경계를 담당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 전 사령관 역시 "기본적으로 윤 대통령이 갖고 있는 헌법적인 권한 내에서 부여된 비상 조치권을 행사한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부정선거나 여론조작 의혹이 규명된다면 국민들도 계엄 선포를 한 것을 이해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 이런 취지로 제가 이해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선거관리위원회 서버 카피' 지시 여부와 관련해서도 "방첩사령관으로서 지난 1년 동안 사이버 관련된 여러 건을 실제로 지휘했다. 사이버와 관련한 법적인 기술적인 상식이 있다는 뜻"이라며 "'서버를 떼어와라'(와 같은 지시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반박했다.

두 사람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함께 국회 봉쇄 및 무력 침투, 선관위 점거 등 윤 대통령 탄핵 사유의 위헌·위법성을 가려줄 핵심 증인으로 꼽힌다.

[이명선 기자(overview@pressian.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