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비엔티안에서 24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아세안(ASEAN) 관련 회의 참석 과정에서 북중이 밀착된 모습을 보여 라오스에서 외교전을 염두에 둔 의도적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 리용호 외무상과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이날 오후 같은 비행편인 중국 동방항공 여객기를 타고 비엔티안 와타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북중 외교수장이 다자회의 참석을 위해 같은 비행기에 몸을 실은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전날 평양 순안공항을 출발했던 리 외무상이 하루 뒤 중국 쿤밍(昆明)에서 왕 부장과 같은 비행기를 타고 라오스에 도착한 것은 우연의 일치라기보다는 양측의 조율을 거친 계산된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공항 도착후 왕 부장은 취재진에게 리 외무상과 같은 비행편을 타고 왔다면서 "안부를 나눴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라오스에서의 북중 외교장관 회담계획에 대해 왕 부장은 "통지시까지 기다려달라"고 했고, 리 외무상은 고개를 끄덕여 북중간 회동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북중관계가 최악이었던 지난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관련 회의에서는 북중 외교수장간 만남이 끝내 불발된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다.
리 외무상과 왕이 부장은 라오스 체류 기간 비엔티안 시내의 같은 호텔에 묵는다.
리진쥔(李進軍) 북한 주재 중국대사가 전날 평양 순안공항까지 나와 출국하는 리 외무상을 전송한 것도 극히 이례적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북중의 이런 모습은 서로의 필요에 따른 의도적 연출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아세안 관련 회의 기간 사안별 정책적 공조에까지 나서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한미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주한미군 배치 결정에 반발한 중국이 한미를 향해 북한을 끌어안는 모습을 일부러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남중국해 문제를 두고도 당사자인 아세안 관련 국가는 물론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최근 필리핀과 중국간 분쟁에서 국제 중재재판소가 필리핀의 손을 들어준 판결을 내린 이후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중국이 이번 아세안 관련 연쇄회의에서 북핵 문제와 함께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이는 사드와 남중국해 문제를 염두에 두고 '한미일 대 북중러' 신냉전 구도 가능성을 경고한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외교적 고립을 맞고 있는 북한으로서도 적어도 이번 라오스 외교전에서 중국과 친밀을 과시하는 것이 결코 손해 볼 것이 없는 선택이다.
북한은 중국과의 친밀 과시를 넘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에 균열을 내기 위한 공세적 외교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또 중국과 러시아가 반발하는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중러의 주장을 적극 옹호함으로써 한중간, 한미와 중러간 갈등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 리용호 외무상과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이날 오후 같은 비행편인 중국 동방항공 여객기를 타고 비엔티안 와타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북중 외교수장이 다자회의 참석을 위해 같은 비행기에 몸을 실은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전날 평양 순안공항을 출발했던 리 외무상이 하루 뒤 중국 쿤밍(昆明)에서 왕 부장과 같은 비행기를 타고 라오스에 도착한 것은 우연의 일치라기보다는 양측의 조율을 거친 계산된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공항 도착후 왕 부장은 취재진에게 리 외무상과 같은 비행편을 타고 왔다면서 "안부를 나눴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라오스에서의 북중 외교장관 회담계획에 대해 왕 부장은 "통지시까지 기다려달라"고 했고, 리 외무상은 고개를 끄덕여 북중간 회동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북중관계가 최악이었던 지난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관련 회의에서는 북중 외교수장간 만남이 끝내 불발된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다.
리 외무상과 왕이 부장은 라오스 체류 기간 비엔티안 시내의 같은 호텔에 묵는다.
리진쥔(李進軍) 북한 주재 중국대사가 전날 평양 순안공항까지 나와 출국하는 리 외무상을 전송한 것도 극히 이례적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북중의 이런 모습은 서로의 필요에 따른 의도적 연출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아세안 관련 회의 기간 사안별 정책적 공조에까지 나서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한미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주한미군 배치 결정에 반발한 중국이 한미를 향해 북한을 끌어안는 모습을 일부러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남중국해 문제를 두고도 당사자인 아세안 관련 국가는 물론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최근 필리핀과 중국간 분쟁에서 국제 중재재판소가 필리핀의 손을 들어준 판결을 내린 이후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중국이 이번 아세안 관련 연쇄회의에서 북핵 문제와 함께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이는 사드와 남중국해 문제를 염두에 두고 '한미일 대 북중러' 신냉전 구도 가능성을 경고한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외교적 고립을 맞고 있는 북한으로서도 적어도 이번 라오스 외교전에서 중국과 친밀을 과시하는 것이 결코 손해 볼 것이 없는 선택이다.
북한은 중국과의 친밀 과시를 넘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에 균열을 내기 위한 공세적 외교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또 중국과 러시아가 반발하는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중러의 주장을 적극 옹호함으로써 한중간, 한미와 중러간 갈등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