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조선일보 전 사장 ‘방응모’를 검색하면 ‘지식백과’에 한국민족문화대백과(문화대백과), 두산백과, 한국근현대사사전 등에서 그를 기술한 링크가 뜬다. 그 중 첫번째 등장하는 문화대백과를 선택하면 방응모의 성격과 정의에 친일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지 않는다. 오직 그를 교육가와 언론인으로만 기술하고 있다.
반면 두산백과에서는 방응모에 대해 “1948년 8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친일 잔재 청산 당시 친일파로 지목됐다”고 기술했고, 한국근현대사사전에서는 그에 대해 “40년 조선일보가 폐간된 후에는 조광사(朝光社)를 세워 자매지인 ‘조광’을 계속 발행했으나 점차 친일적 방향으로 기울었다”고 기술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배재정 의원실이 네이버·다음 등 주요 포털사이트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문화대백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친일부역자에 대한 기술이 허술하거나 누락한 사실이 발견됐다. 일부 친일파들은 독립운동가로 기술되기도 했다.
배 의원에 따르면 문화대백과에 실린 친일부역자 명단과 정보는 366명이었다. 이는 지난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4389명의 8.3%에 불과한 인원이다. 배 의원은 “일본군 대좌 출신인 이응준을 ‘국군 창설의 원로’로 정의했고 광복 직전 민족운동가들과 협력하기도 했다며 미화했다”고 비판했다.
그 외에도 동아일보 사주 김성수, 동양맥주 전신의 사주 박승직, 삼양사 사주 김연수의 친일 행적을 기록하지 않았고,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서 주필을 지낸 서춘을 독립운동가로 정의했다고 지적했다.
문화대백과는 지난 1980년부터 12년에 걸쳐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1991년 27권으로 발간됐는데 이에 투입된 예산은 173억 원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지난 2007년부터 오는 2017년까지 56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 2차 개정증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 제공하기 위한 예산은 10억8000만원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창겸 백과사전편찬실장은 1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배 의원 지적에 대해 “친일행적을 부각하지 않은 것은 맞다”며 “지적한 사항에 대해서 인정한다”고 답했다. 김 실장은 “1980년대부터 편찬된 것이라 최신 정보가 반영되지 않은 것도 있고, 문화대백과는 일반백과사전이기 때문에 전문사전인 친일인명사전과 단순비교는 무리하다”고 말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교육부 산하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매년 5억6000만원의 예산을 받아왔다. 김 실장은 “예산과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백과사전편찬실 직원은 총 16명이다. 실장과 행정담당직원 등을 제외하고 전임연구인력이 10명인데 이들은 정규직원이 아니라 프로젝트에만 참여하는 임시연구원이다.
김 실장은 “현재 독립운동사를 전공한 전문가가 하나도 없는데 이는 전임연구인력의 신분이 불안하고 월급도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에 따르면 전임연구인력은 모두 박사급이지만 지난해까지 연봉 2700만원 수준이었다. 인건비도 낮은 수준이지만 실제 지원예산 5억6000만원 중 인건비를 제외하고 나면 연구에 들어갈 예산은 거의 없다.
김 실장은 “사전 작업은 연속성을 가지고 꾸준히 진행해야 하는데 처우가 열악해 자주 바뀌니까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며 “지난 2007년 사업이 시작될 때 목표가 기존 사전 내용의 개정보다 신규 항목 추가 중심으로 설정돼 뒤로 밀려나있던 인물들에 대해 손을 볼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개정 작업은 2017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김 실장은 “배재정 의원이 지적한 사항은 앞으로 수정할 사안”이라며 “사전이라는 것이 새로운 자료가 나올 때마다 수정을 해야 하는 과제기 때문에 이런 관심과 지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실장은 “예산과 전문 인력이 안정적으로 확충돼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두산백과에서는 방응모에 대해 “1948년 8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친일 잔재 청산 당시 친일파로 지목됐다”고 기술했고, 한국근현대사사전에서는 그에 대해 “40년 조선일보가 폐간된 후에는 조광사(朝光社)를 세워 자매지인 ‘조광’을 계속 발행했으나 점차 친일적 방향으로 기울었다”고 기술했다.
▲ 고 계초 방응모 전 조선일보 사장. | ||
배 의원에 따르면 문화대백과에 실린 친일부역자 명단과 정보는 366명이었다. 이는 지난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4389명의 8.3%에 불과한 인원이다. 배 의원은 “일본군 대좌 출신인 이응준을 ‘국군 창설의 원로’로 정의했고 광복 직전 민족운동가들과 협력하기도 했다며 미화했다”고 비판했다.
그 외에도 동아일보 사주 김성수, 동양맥주 전신의 사주 박승직, 삼양사 사주 김연수의 친일 행적을 기록하지 않았고,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서 주필을 지낸 서춘을 독립운동가로 정의했다고 지적했다.
문화대백과는 지난 1980년부터 12년에 걸쳐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1991년 27권으로 발간됐는데 이에 투입된 예산은 173억 원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지난 2007년부터 오는 2017년까지 56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 2차 개정증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 제공하기 위한 예산은 10억8000만원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교육부 산하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매년 5억6000만원의 예산을 받아왔다. 김 실장은 “예산과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백과사전편찬실 직원은 총 16명이다. 실장과 행정담당직원 등을 제외하고 전임연구인력이 10명인데 이들은 정규직원이 아니라 프로젝트에만 참여하는 임시연구원이다.
김 실장은 “현재 독립운동사를 전공한 전문가가 하나도 없는데 이는 전임연구인력의 신분이 불안하고 월급도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에 따르면 전임연구인력은 모두 박사급이지만 지난해까지 연봉 2700만원 수준이었다. 인건비도 낮은 수준이지만 실제 지원예산 5억6000만원 중 인건비를 제외하고 나면 연구에 들어갈 예산은 거의 없다.
김 실장은 “사전 작업은 연속성을 가지고 꾸준히 진행해야 하는데 처우가 열악해 자주 바뀌니까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며 “지난 2007년 사업이 시작될 때 목표가 기존 사전 내용의 개정보다 신규 항목 추가 중심으로 설정돼 뒤로 밀려나있던 인물들에 대해 손을 볼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개정 작업은 2017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김 실장은 “배재정 의원이 지적한 사항은 앞으로 수정할 사안”이라며 “사전이라는 것이 새로운 자료가 나올 때마다 수정을 해야 하는 과제기 때문에 이런 관심과 지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실장은 “예산과 전문 인력이 안정적으로 확충돼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