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포털 편향성'을 집중 이슈화하기로 해 논란이 일 전망이다. 네이버·다음 등 포털 사이트에서 노출되는 뉴스콘텐츠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나 정부·여당에 부정적인 것이 많아, 이것이 정부·여당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퍼트린다는 새누리당의 '판단'이 깔려 있다.
새누리당 이장우 원내대변인은 3일 당 최고위원회의 비공개회의에서 포털에 노출된 뉴스콘텐츠에 편향성이 있다는 내용의 보고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날 당 최고위에 보고된 것은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최형우 교수 등 연구진이 낸 '포털 모바일뉴스(네이버·다음) 메인 화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였다. 최형우 교수는 '판도라TV' 대표이사를 지낸 콘텐츠 전문가로, 저널리즘(언론학)과는 거의 상관이 없는 경력을 갖고 있다. 현재 경기콘텐츠진흥원 이사, 서강대학교 링크사업단 공동장비활용센터장을 맡고 있다.
이 원내대변인은 "(비공개회의에서) 그동안 조사한 연구 보고서를 공식적으로 (보고)했는데, 일부 편향성이 드러났다고 해서 이 문제에 대해 국감에서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겠다는 이야기가 있었다"며 "전체적으로 굉장히 그동안 네이버나 다음에 게제되는 이런 여러가지가(기사들이) 편향성이 있다는 객관적 자료"라고 설명했다. 어디가 더 편향적이었느냐'는 질문에 이 원내대변인은 "다음이 더 심하다"고까지 말했다.
황당한 보고서, 문재인 기사·김무성 기사 갯수까지 맞춰야 하나?
이 보고서는 "중립적 기사의 수가 많기는 하지만, 긍정적 콘텐츠보다는 부정적 콘텐츠의 수가 더 많으며 표현하는 방식 역시 이슈를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의 콘텐츠가 더 많음"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특히 "사회·정치·경제·국제·북한 분야의 부정적 콘텐츠 비율이 높으며 모든 카테고리 내 부정적 콘텐츠의 다수가 정부와 청와대 관련 콘텐츠임"이라고 돼 있다.
'포털별 부정적 표현 및 당대표 언급 비교 이슈' 항목에서 이 보고서는 "네이버와 다음 모두 청와대 정부에 대해 부정적 표현을 사용한 콘텐츠를 긍정적 표현을 사용한 콘텐츠에 비해 더 많이 노출(시킨다)"고 했다. 또 "당 대표에 대한 언급의 경우 네이버, 다음 모두에서 김무성 대표보다는 문재인 대표가 더 많이 언급"된다고도 했다.
보고서는 "뉴스펀딩과 같이 직접 뉴스 생산, 유통에 관여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콘텐츠 생산과정의 정당성을 강조하여 다음이 실질적으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언론사 등록을 포함한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함"이라는 '제언'도 내놓았다. 다음이 운영하는 '뉴스펀딩'을 정면으로 겨냥한 것이다.
'부정적'의 기준은 무엇이고 '긍적적'의 기준은 무엇일까. 이 보고서는 콘텐츠 특징을 나누는 기준으로 "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 인물 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슈로 긍정(업적, 미담, 성과 등), 부정(사건, 사고 등) 중립(현상)으로 구분"한다고 돼 있다. 또 표현 성향 구분 기준은 "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이슈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긍정서술, 부정 서술, 중립 서술로 구분' 한다고 돼 있다. 상당히 자의적인 판단이다.
이 보고서는 "주요 특징은 중립적 기사를 제외하고 본다면 부정적 기사가 긍정적 기사의 약 10배"를 차지한다고 했고, "네이버와 다음 모두 새누리당과 정부 관련 콘텐츠에 부정적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카테고리별 콘텐츠 특징' 항목에서 이 보고서는 "월별 주요 이슈를 제외한 기사 카테고리 중 특히 사회, 정치, 경제 국제 북한 분야의 부정적 콘텐츠 비율이 높음"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사회 카테고리 내의 콘텐츠의 경우 청와대와 정부에 대한 부정적 콘텐츠가 다수를 차지"한다며 "여당 7건 , 청와대·정부 158건, 야당 2건"이라고 분석했다.
정부·여당에 부정적인 콘텐츠의 사례로 제시된 기사의 제목은 "지명수배자 풀어준 뒤 다시 체포한 '어수룩한 경찰'", "'헛다리' 짚은 경찰, '크림빵 아빠' 초동수사 부실", "대학은 성범죄 얼룩지는데, 교육부는 통계도 못잡아" 등이다. 단순 정부 비판 기사다.
이를 보고서는 '여당'이라는 정치적 집단을 정부와 사실상 동일시하는 방법으로, '정부 비판=여당 비판'으로 도식화하고 있는 셈이다.
정치 기사와 관련해서도 다소 황당한 분석 결과를 내놓고 있다. 이 보고서는 "정치 카테고리 역시 여당 74건, 청와대정부 210건, 야당 23건으로 사회콘텐츠와 유사한 양상을 보임"이라고 분석한 후 예시로 "한국 정책투명성 캄보디아보다 낙후"라는 제목의 기사를 들었다. 정부가 소홀한 부분을 지적하는 단순한 기사인데, 이를 정부여당에 부정적인 기사로 분류한 셈이다.
경제 분야에서도 마찬가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보고서는 "경제 역시 사회 정치 카테고리 내 기사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이라고 지적하고 있는데, 사례로 든 기사 제목은 "정부 '강소 가젤형 기업' 키운다더니, 더 벌어진 대기업 중기 성장 격차"다. 이 보고서는 또 "국제 북한의 경우 기타 부정적 기사 모두가 청와대와 국회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황당한 것은 네이버 다음이 "모두 문재인을 김무성에 비해 높은 빈도로 노출"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는 부분이다. 이 보고서는 "김무성과 문재인 대표의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네이버와 다음 모두 문재인의 등장 빈도가 높음"이라고 지적하며 "네이버의 경우 김무성 대표에 대해 부정 1건, 중립 44건, 문재인 대표에 대해 부정 2건, 중립 64건 노출"이라고 사례를 들었다. "다음의 경우 김무성 대표에 대해 부정 7건, 중립 49건, 문재인 대표에 대해 부정 3건, 중립 84건 노출"이라고도 적었다.
기사 생산 역량은 정치인 개인의 역량과 연관이 있다. 그러나 '기계적 균형'에 치우쳐 있는 이 보고서는 새누리당의 향후 '포털 대응 전략'의 밑바탕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보고서는 결론으로 "자율 규제의 정상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지적한다. 포털이 '자율 규제'를 잘 하도록 정부가 개입하겠다는 말과 다름 없다. 이는 '자율 규제'라는 말을 무색케 하는 모순 화법이다.
이 보고서는 "포털 뉴스에 대한 우려에 대한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은 역설적으로 자율규제의 정상화임"이라고 지적하며 "제도적 측면에서 보자면 현행 포털 사업자들의 자율 규제 기구인 KISO의 불완전한 거버넌스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이라고 제안했다. 이 보고서는 "포털 뉴스 관련 자발적 자료 공개 유도를 고려"한다며 "유도가 어려울 경우, 언론재단 등의 제 3의 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포털 뉴스 콘텐츠 분석 자료 발표를 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음"이라고 돼 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