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에 3조원대의 영업손실을 재무제표에 한꺼번에 반영해 시장에 충격을 준 대우조선해양이 1조원 이상의 추가 부실을 안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이 지난 7월부터 진행해 온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가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추가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대우조선 실사에 정통한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면 추가 손실이 1조원을 넘길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추가 부실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전문적이고 회계적인 영역에 속한다"면서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추가 손실이 많게는 1조원을 넘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채권단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대우조선의 추가 부실 규모를 산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추가 부실 규모는 향후 대우조선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여서 정밀 분석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채권단이 어떤 잣대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추가 부실 규모가 줄어들 수는 있다.
그러나 대우조선이 지난 2분기(4~6월)에 '해양플랜트 악재'로 3조원대 손실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해외 자회사 부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추가 부실 발생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도 이를 인정했다.
그는 지난 7일 국회 정무위 종합 국정감사 때 대우조선 해외자회사의 손실 가능성에 대해 "확정해 말할 수는 없지만 (추가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올 2분기 실적이 발표되기 전부터 대우조선 해외 자회사들의 경영이 어렵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다.
이 때문에 정성립 사장 취임 직후부터 루마니아의 대우망갈리아중공업, 중국의 대우조선해양산동유한공사, 북미의 풍력부문 자회사 드윈드와 대우조선해양트렌튼 등이 정리 대상 자회사로 거론됐다.
해외 자회사까지 포함시켜 대우조선 실사를 대대적으로 진행 중인 산업은행은 독자적인 생존 역량 등을 따져 처리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추가 손실을 얼마로 잡느냐에 따라 향후 지원 규모와 방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채권기관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도 벌어지고 있다.
실제로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올 7월부터 대우조선 실사를 하고 있는 가운데 최대 신용공여기관인 수출입은행도 9월 초부터 별도 실사를 시작해 두 기관 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는 얘기가 나돌기도 했다.
실사 결과를 토대로 손실 규모가 확정되고 나면 대우조선의 정확한 경영상태와 회생 방안이 발표될 전망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추가 부실 규모를 아직은 정확히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이달 셋째나 넷째 주께 실사 결과가 발표되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이 지난 7월부터 진행해 온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가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추가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대우조선 실사에 정통한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면 추가 손실이 1조원을 넘길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추가 부실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전문적이고 회계적인 영역에 속한다"면서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추가 손실이 많게는 1조원을 넘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채권단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대우조선의 추가 부실 규모를 산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추가 부실 규모는 향후 대우조선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여서 정밀 분석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채권단이 어떤 잣대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추가 부실 규모가 줄어들 수는 있다.
그러나 대우조선이 지난 2분기(4~6월)에 '해양플랜트 악재'로 3조원대 손실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해외 자회사 부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추가 부실 발생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도 이를 인정했다.
그는 지난 7일 국회 정무위 종합 국정감사 때 대우조선 해외자회사의 손실 가능성에 대해 "확정해 말할 수는 없지만 (추가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올 2분기 실적이 발표되기 전부터 대우조선 해외 자회사들의 경영이 어렵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다.
이 때문에 정성립 사장 취임 직후부터 루마니아의 대우망갈리아중공업, 중국의 대우조선해양산동유한공사, 북미의 풍력부문 자회사 드윈드와 대우조선해양트렌튼 등이 정리 대상 자회사로 거론됐다.
해외 자회사까지 포함시켜 대우조선 실사를 대대적으로 진행 중인 산업은행은 독자적인 생존 역량 등을 따져 처리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추가 손실을 얼마로 잡느냐에 따라 향후 지원 규모와 방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채권기관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도 벌어지고 있다.
실제로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올 7월부터 대우조선 실사를 하고 있는 가운데 최대 신용공여기관인 수출입은행도 9월 초부터 별도 실사를 시작해 두 기관 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는 얘기가 나돌기도 했다.
실사 결과를 토대로 손실 규모가 확정되고 나면 대우조선의 정확한 경영상태와 회생 방안이 발표될 전망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추가 부실 규모를 아직은 정확히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이달 셋째나 넷째 주께 실사 결과가 발표되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