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 동포 출신 사업가 손 마사요시(손정의·54) 소프트뱅크 회장은 태양광발전의 ‘선구자’인가, 아니면 일본의 국가적 위기를 이용해 떼돈을 벌려는 ‘정상배’인가. 손 회장의 태양광발전 사업이 본격 가동됨과 동시에 일본 언론의 ‘손 마사요시 때리기’도 함께 시작됐다.
손 회장은 지난 7월 중순 35개 현 지사와 ‘자연에너지협의회’를 결성했다. 손 회장은 이 자리에서 유휴 경작지의 20%를 태양광발전에 활용한다면 원자력발전소 50기에 해당하는 50GW (기가 와트)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손 회장은 이어 올해 안에 1000억 엔(약 1조4000억원)을 투자해 태양광발전소 10기를 시범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손 회장은 또 풍력발전 사업에도 적극 진출할 생각임을 밝혔다. 소프트뱅크는 그 일환으로 최근 10억 엔(약 140억원)을 투자해 고지 현에서 풍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그린파워 인베스먼트(GPI)의 주식 44%를 인수했다. 손 회장이 경영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지만 앞으로 건설할 태양광발전소에서 GPI의 발전 노하우를 활용할 생각이다.
간 총리와 손 회장이 의기투합한 까닭
손 회장의 ‘태양광 프로젝트’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은 호의적이다. 먼저 손 회장이 제창한 자연에너지협의회에 4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35개가 참가한 것을 보면, 일본의 지방자치단체가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 자원뿐 아니라 지역을 활성화하는 ‘무라 오코시(마을 일으키기)’의 방편으로 태양광발전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 나오토 총리 역시 손 회장의 둘도 없는 후원자이다. 두 사람은 지난 5월 아카사카의 요정에서 만난 이후 의기투합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때까지 교류가 없었던 두 사람의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간 총리는 동북 지방 재건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특별공채법안, 재생가능에너지 특별조치법이 성립하면 즉각 사임하겠다고 주변에 공언한 상태이다. 이 세 법안 중에서 간 총리가 가장 공을 들이는 것이 바로 ‘재생가능에너지 특별조치법’이다. 이 법안의 골자는 태양광·풍력·수력·지열 발전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정부가 지정한 가격에 전력회사가 의무적으로 전량 매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 총리가 국회에서 이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자연에너지 발전을 주도할 든든한 민간 기업인이 필요하다. 손 회장 역시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하기 위해서는 전력회사가 이를 전량 매입해준다는 정부 보증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해관계가 일치한 두 사람이 빠르게 접근하기 시작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그러나 일본 언론은 두 사람의 접근을 달갑지 않는 시선으로 바라본다. 우선 간 총리에 대해서는 사임 시기를 질질 끌기 위한 수단으로 자연에너지 법안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손 회장 역시 일본의 국가적 위기를 이용해 자신의 사업 영역을 넓히려는 ‘정상배’라는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
특히 <주간 신초(新潮)>(7월7일자)는 손 회장의 ‘100억 엔(약 1400억원) 기부 발표’에 대해서 조목조목 물고 늘어졌다. 먼저 ‘유니클로’의 야나기 다다시 회장이 3월14일 10억 엔을 기부한다고 발표하자, 손 회장이 라이벌을 압도하기 위해 지난 4월3일 일거에 야나기 회장의 10배인 ‘100억 엔’을 기부한다고 발표했다는 것이다. <주간 신초>는 ‘압도적 넘버원’이 아니면 안 된다는 손 회장의 평소 입버릇을 소개하면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손 회장의 발표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원들이 치르는 고생이 이만저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주간 신초>는 또 손 회장이 100억 엔을 쾌척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한 달 반이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다가 언론의 지적을 받고서야 기부를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참고로 소프트뱅크의 발표에 따르면 먼저 40억 엔으로 ‘동일본 대진재 부흥지원재단’을 설립하여 부모를 잃은 아이들이 18세가 될 때까지 사용하는 휴대전화 요금을 전액 부담할 예정이다. 나머지 60억 엔은 일본 적십자사와 재해를 당한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할 방침이다.
<주간 분(文春)>(7월7일자)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손정의 욕망 경영의 정체’라는 제목으로 “휴대전화 사업에서 벽에 부딪힌 손 회장이 태양광발전 사업을 새로운 미끼로 삼으려 하고 있다”라고 공격했다. <주간 분>은 우선 소프트뱅크 그룹이 현재 이자를 부담해야 할 차입금이 2조5000억 엔이라고 보도하면서, ‘야후 재팬’을 인수하여 접속 기기를 무료로 배포해 시장점유율을 늘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엄청난 적자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주간 분>은 또 손 회장이 ‘보다폰’을 인수해 휴대전화 사업에 진출했지만 수도권과 후쿠오카에 기지국이 집중돼 있어 지진이 일어난 동북 지방에서는 연결이 잘 되지 않아 주민에게 큰 불만을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난국을 돌파하기 위해 손 회장이 눈독을 들이는 분야가 바로 태양광발전 사업이라는 것이다.
재일 동포라 집중 공격받는다?
<주간 분>에 따르면 ‘재생가능에너지 특별조치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전력회사가 정부가 지정한 가격에 의무적으로 전기를 전량 매입해야 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 사업은 절대 밑지는 장사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 회장이 현재의 에너지 전환 효율이 20%에 불과한 태양광발전 사업에 뛰어들어도 충분히 채산을 맞출 수 있다고 주판알을 굴리고 있으며, 정부가 공인하는 ‘전기 사업자’ 자격을 얻어 이익 폭이 큰 전력 소매업에 진출하는 것이 손 회장의 최종 목표라고 공격했다.
<주간 분>은 또 손 회장이 지난 6월 이명박 대통령과 나눈 대화를 문제 삼았다. 손 회장은 이때 “탈원자력 발전은 일본의 얘기이지 지진과 쓰나미가 없는 한국에서는 큰 문제가 될 게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잡지는 이 대목을 문제 삼아 손 회장이 본래부터 ‘탈원자력’이나 ‘자연에너지’에 관심이 있었던 게 아니라 단지 사업 영역을 확장할 절호의 기회로 국가 위기를 이용할 뿐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에서는 ‘탈원자력 발전’이 지상 과제이다. 2020년까지 자연에너지 발전 비율을 20%로 끌어올린다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려면 민간 기업이 자연에너지 발전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한다. 그럼에도 소프트뱅크가 집중 공격을 받자 손 회장이 재일 한국인 출신이기 때문 아니냐는 의혹도 커지고 있다. 이를 두고 일본의 한 지인은 “지금 국적이나 출신을 따질 때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손 회장은 지난 7월 중순 35개 현 지사와 ‘자연에너지협의회’를 결성했다. 손 회장은 이 자리에서 유휴 경작지의 20%를 태양광발전에 활용한다면 원자력발전소 50기에 해당하는 50GW (기가 와트)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손 회장은 이어 올해 안에 1000억 엔(약 1조4000억원)을 투자해 태양광발전소 10기를 시범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손 회장은 또 풍력발전 사업에도 적극 진출할 생각임을 밝혔다. 소프트뱅크는 그 일환으로 최근 10억 엔(약 140억원)을 투자해 고지 현에서 풍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그린파워 인베스먼트(GPI)의 주식 44%를 인수했다. 손 회장이 경영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지만 앞으로 건설할 태양광발전소에서 GPI의 발전 노하우를 활용할 생각이다.
ⓒAP Photo 지난 6월20일 방한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동일본 지진 피해와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
간 총리와 손 회장이 의기투합한 까닭
손 회장의 ‘태양광 프로젝트’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은 호의적이다. 먼저 손 회장이 제창한 자연에너지협의회에 4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35개가 참가한 것을 보면, 일본의 지방자치단체가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 자원뿐 아니라 지역을 활성화하는 ‘무라 오코시(마을 일으키기)’의 방편으로 태양광발전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 나오토 총리 역시 손 회장의 둘도 없는 후원자이다. 두 사람은 지난 5월 아카사카의 요정에서 만난 이후 의기투합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때까지 교류가 없었던 두 사람의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간 총리는 동북 지방 재건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특별공채법안, 재생가능에너지 특별조치법이 성립하면 즉각 사임하겠다고 주변에 공언한 상태이다. 이 세 법안 중에서 간 총리가 가장 공을 들이는 것이 바로 ‘재생가능에너지 특별조치법’이다. 이 법안의 골자는 태양광·풍력·수력·지열 발전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정부가 지정한 가격에 전력회사가 의무적으로 전량 매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 총리가 국회에서 이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자연에너지 발전을 주도할 든든한 민간 기업인이 필요하다. 손 회장 역시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하기 위해서는 전력회사가 이를 전량 매입해준다는 정부 보증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해관계가 일치한 두 사람이 빠르게 접근하기 시작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AP Photo 간 총리(위)는 ‘재생가능에너지법’ 통과를 위해 손 회장과 손을 잡았다. |
그러나 일본 언론은 두 사람의 접근을 달갑지 않는 시선으로 바라본다. 우선 간 총리에 대해서는 사임 시기를 질질 끌기 위한 수단으로 자연에너지 법안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손 회장 역시 일본의 국가적 위기를 이용해 자신의 사업 영역을 넓히려는 ‘정상배’라는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
특히 <주간 신초(新潮)>(7월7일자)는 손 회장의 ‘100억 엔(약 1400억원) 기부 발표’에 대해서 조목조목 물고 늘어졌다. 먼저 ‘유니클로’의 야나기 다다시 회장이 3월14일 10억 엔을 기부한다고 발표하자, 손 회장이 라이벌을 압도하기 위해 지난 4월3일 일거에 야나기 회장의 10배인 ‘100억 엔’을 기부한다고 발표했다는 것이다. <주간 신초>는 ‘압도적 넘버원’이 아니면 안 된다는 손 회장의 평소 입버릇을 소개하면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손 회장의 발표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원들이 치르는 고생이 이만저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주간 신초>는 또 손 회장이 100억 엔을 쾌척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한 달 반이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다가 언론의 지적을 받고서야 기부를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참고로 소프트뱅크의 발표에 따르면 먼저 40억 엔으로 ‘동일본 대진재 부흥지원재단’을 설립하여 부모를 잃은 아이들이 18세가 될 때까지 사용하는 휴대전화 요금을 전액 부담할 예정이다. 나머지 60억 엔은 일본 적십자사와 재해를 당한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할 방침이다.
<주간 분(文春)>(7월7일자)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손정의 욕망 경영의 정체’라는 제목으로 “휴대전화 사업에서 벽에 부딪힌 손 회장이 태양광발전 사업을 새로운 미끼로 삼으려 하고 있다”라고 공격했다. <주간 분>은 우선 소프트뱅크 그룹이 현재 이자를 부담해야 할 차입금이 2조5000억 엔이라고 보도하면서, ‘야후 재팬’을 인수하여 접속 기기를 무료로 배포해 시장점유율을 늘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엄청난 적자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주간 분>은 또 손 회장이 ‘보다폰’을 인수해 휴대전화 사업에 진출했지만 수도권과 후쿠오카에 기지국이 집중돼 있어 지진이 일어난 동북 지방에서는 연결이 잘 되지 않아 주민에게 큰 불만을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난국을 돌파하기 위해 손 회장이 눈독을 들이는 분야가 바로 태양광발전 사업이라는 것이다.
재일 동포라 집중 공격받는다?
<주간 분>에 따르면 ‘재생가능에너지 특별조치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전력회사가 정부가 지정한 가격에 의무적으로 전기를 전량 매입해야 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 사업은 절대 밑지는 장사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 회장이 현재의 에너지 전환 효율이 20%에 불과한 태양광발전 사업에 뛰어들어도 충분히 채산을 맞출 수 있다고 주판알을 굴리고 있으며, 정부가 공인하는 ‘전기 사업자’ 자격을 얻어 이익 폭이 큰 전력 소매업에 진출하는 것이 손 회장의 최종 목표라고 공격했다.
<주간 분>은 또 손 회장이 지난 6월 이명박 대통령과 나눈 대화를 문제 삼았다. 손 회장은 이때 “탈원자력 발전은 일본의 얘기이지 지진과 쓰나미가 없는 한국에서는 큰 문제가 될 게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잡지는 이 대목을 문제 삼아 손 회장이 본래부터 ‘탈원자력’이나 ‘자연에너지’에 관심이 있었던 게 아니라 단지 사업 영역을 확장할 절호의 기회로 국가 위기를 이용할 뿐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에서는 ‘탈원자력 발전’이 지상 과제이다. 2020년까지 자연에너지 발전 비율을 20%로 끌어올린다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려면 민간 기업이 자연에너지 발전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한다. 그럼에도 소프트뱅크가 집중 공격을 받자 손 회장이 재일 한국인 출신이기 때문 아니냐는 의혹도 커지고 있다. 이를 두고 일본의 한 지인은 “지금 국적이나 출신을 따질 때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