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Click map below !!)

Turkey Branch Office : Europe & Middle East (Click map below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Click photo here !)
Mobile Phone Cases

Monday, September 28, 2015

또 시작된 AI와의 전쟁...재발 보름만에 6건 확진 '상시발생국' 전락

5번째 AI 종식선언도 못한채 재발...상시발생국 사실상 전락
예찰과정서 발견, 확산 가능성 상당 줄여...빅데이터도 한 몫
10월초 철새도래 확산 관건...新바이러스 도래시 대처능력 숙제
"섭씨 75도에서 5분만 끓여도 바이러스 사멸"...안전 우려는 기우 

【세종=뉴시스】이상택 기자 = 조류인플루엔자(AI)와의 전쟁이 또 시작됐다.

AI는 지난 15일 전남 강진과 나주 소재 오리농장의 오리가 H5N8 AI 확진 판정을 받음으로써 지난 6월10일 이후 석달여만에 재발됐다. 

AI는 국내에서 2003~2004년 첫 발생이후 ▲2006~2007년 ▲2008년 ▲2010~2011년 ▲2014~2015년 등 1~2년의 시차를 두고 발생했다.

하지만 이번 AI는 2014~2015년 AI의 종식 선언조차 못한 채 재발함으로써 우리나라도 사실상 상시발생국에 포함되게 됐다. 

방역당국은 통상적으로 AI로 의심축을 살처분한 뒤 3개월간 AI가 발생하지 않으면 수출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 종식선언을 한다. 우리나라의 가금류 수출은 지난 2014년 1월 발생이후 가공육을 제외하고는 중단됐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AI 재발후 이날 현재 확진된 AI는 총 6건이다. 전남 강진과 나주소재 2개 오리농장에 이어 19일에는 전남 담양 말바우시장과 광주 북구 가금판매소 오리가 H5N8 AI 확진 판정을 받았다.

또한 추석연휴기간에는 광주 광산구 오리농장과 전남 담양 소재 가든형 식당도 각각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 


다행인 것은 이번에 발생한 AI가 예찰과정에서 발견돼 확산 가능성을 상당부분 줄이는 등 방역당국의 대처가 예년에 비해 상당히 체계화됐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농장에서 의심축이 발견되면 신고후 확진판정을 받아 AI 확산 여지가 있었지만 지난해 8월 AI 방역체계 개선에 따라 예찰이 강화돼 선제적 점검이 가능해졌다.

올해 AI 상시예찰물량은 48만건으로 전년 14만1000건보다 3.3배가 많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발생한 AI는 예찰과정에서 모두 발견됐다”며 “예찰을 강화함으로써 확산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농식품부가 AI 확산을 막기 위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지역을 좁혀 간 것도 AI 사전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식품부는 16개 시·군과 66개 읍·면·동이 확산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보고 있다.

특히 농식품부는 ▲광주 광산구(하산동) ▲전남 강진군(칠량면) ▲곡성군(삼기면) ▲나주시(공산면·노안면·반남면·왕곡면·산포면·세지면) 등을 위험도가 높은 지역 ▲광주(광산구 내산동) ▲전남 영암군(덕진면·영암읍) 등은 조금 높은 지역으로 구분했는데 이번에 발견된 AI가 대부분 이지역에서 발견됐다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대신 문제는 내달 초순경이면 철새가 우리나라에 도래한다는 점이다.

방역당국은 지난번 발생한 AI도 야생철새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미리 예단해도 다른 지역으로 번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치 못하고 있다.


이천일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우리나라에 철새가 곧 도래하면 다른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전혀 없지 않다”며 “모든 가금농장과 전통시장은 경각심을 갖고 방역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진화하는 바이러스에 우리 방역당국의 대처능력이 어느 정도의 수준이냐는 점도 숙제다. 

그동안 국내에 발생한 AI는 1~4번째는 H5N1형 바이러스였다. 그러다 지난해 발생한 AI가 H5N8형으로 판명나자 전파매개 등을 찾느라 방역당국은 큰 혼란을 겪었다.

올해 확진된 AI의 경우 모두 H5N8형으로 지난해와 같지만 다른 형의 바이러스가 나타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게다가 철새로 AI가 전염된다면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실제로 지난해 12월부터 올 6월까지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미국의 경우 야생조류에서 발생한 75건중 H5N8 22건, H5N2 37건, H5N1 3건, H5 13건 등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포함된 바 있다.

또한 인근인 중국에서는 H5N2와 H5N6, 대만에서는 H5N3, 베트남과 홍콩에서는 H5N6 등이 각각 발견됐다. 

대신 방역당국은 AI 바이러스가 열에 약해 익혀 먹으면 인체에 무해하다고 강조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식량농업기구(FAO)는 AI 바이러스가 70도 이상 30분, 75도 이상에서 5분간 끓이면 사멸돼 섭취해도 전염 위험은 없다고 보고한 바 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